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1990년 강원도 철원과 양구에서 발견된 이후 최근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던 긴다리소똥구리를 강원도 영월에서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1970년대만 해도 흔하게 볼 수 있던 소똥구리는 동물 배설물을 이용해 경단을 만드는 곤충이다. 어린이들에게도 ‘파브르 곤충기’에 나오는 덕분에 친숙하게 느껴지는 곤충 가운데 하나이다.
긴다리소똥구리류는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분포한 기록이 있었으나 지난 20여년 동안 자취를 감추면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 상태다. 긴다리소똥구리류는 우리나라에서 ‘말똥구리’, ‘꼬마쇠똥구리’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긴다리소똥구리는 7~12㎜ 크기로, 5월쯤 동물의 사체나 배설물을 이용해 약 12㎜ 크기의 경단을 만들어 경단 하나당 하나의 알을 낳는다. 대부분의 곤충은 번식을 위한 생식활동에만 수컷의 역할이 한정돼 있지만 긴다리소똥구리는 암수가 함께 경단을 굴려서 옮기고, 땅에 굴을 파 경단을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앞으로 확증표본 확보사업 등을 통해 그동안 확인되지 않았던 종들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우리나라 기록종의 증거용 표본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
멸종위기 ‘긴다리 소똥구리’ 20여년 만에 서식 확인
1970년대 이후 소 사육 방법이 달라지면서 자취를 감췄던 ‘긴다리소똥구리(사진)’가 강원도 영월에서 20여년 만에 발견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1990년 강원도 철원과 양구에서 발견된 이후 최근까지 분포가 확인되지 않았던 긴다리소똥구리 2마리가 강원도 영월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소똥구리는 동물의 배설물을 이용해 경단을 만드는 곤충으로 ‘파브르 곤충기’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긴다리소똥구리류는 우리나라에서 ‘말똥구리’, ‘꼬마쇠똥구리’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분포한 기록은 있지만 1990년 강원도 철원과 양구에서 확인된 이후 최근까지 구체적인 분포 내역이 확인되지 않았다. 긴다리소똥구리는 뒷다리 발목 마디가 매우 가늘고 길며 어른벌레의 몸은 둥근 알 모양에 광택이 없는 검은색이다.
5월쯤 동물의 사체나 배설물을 이용해 약 12㎜ 크기의 경단을 만들고 경단 한 개에 하나의 알을 낳는다. 대부분의 곤충은 번식을 위한 생식활동에만 수컷의 역할이 한정돼 있지만 긴다리소똥구리는 부부가 공동으로 경단을 굴려서 옮기며 땅에 굴을 파 경단을 저장하는 습성을 가졌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앞으로 우리나라 생물종의 서식 증거로 이용하는 ‘확증표본 확보사업’ 등을 통해 그간 확인되지 않았던 종들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국내 기록종의 증거용 표본으로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