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日왕세자 고개를…" 숭례문 성곽 헐렸다

淸山에 2013. 1. 8. 17:39

 

 

 

 

 

 

"日왕세자 고개를…" 숭례문 성곽 헐렸다
[중앙일보]


5년 만에 돌아온 숭례문, 3가지 미스터리 <하> 성곽은 왜 없어졌나


조선시대 한양은 총 길이 18.6㎞ 성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숭례문(남대문)은 외교사절 등이 왕을 만나기 위해 성 안으로 들어갈 때 통과해야 했던 한양도성(서울성곽)의 정문이었다.

 

 그러나 동쪽으로는 남산, 서쪽으로는 소의문(서소문)으로 이어졌던 숭례문 양측의 성곽은 대한제국 말기인 1907년 헐려나간다. 이로 인해 우리 기억 속의 숭례문은 성곽을 떼어낸 깔끔한 사다리꼴의 석축(石築) 위에 2층짜리 문루가 올라선 모습으로 남아 있다.

 2월 중 가설덧집을 벗고 모습을 드러내는 숭례문의 가장 큰 변화는 양측 날개와도 같은 성곽의 부활이다.

 

 문화재청은 주변 교통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측으로 53m, 서측으로 16m의 성곽을 되살렸다. 숭례문 성곽의 소멸과 부활에는 여러 이야기가 숨어있다. 1396년(태조 5년) 숭례문과 함께 완공됐던 성곽은 왜 흔적도 없이 사라졌을까. 그리고 어떤 모습으로 되돌아올까.

 

 

호주 사진가 조지 로스가 1904년에 촬영한 숭례문 주변의 모습. 남산으로 이어진 숭례문 동측 성곽의 모습과 주변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다. 성곽과 주택가 사이에는 도성 안팎의 치안을 담당한 순라군(巡邏軍)이 밤마다 순찰을 위해 오가던 샛길이 나 있다. [사진 문화재청]

 


 ◆일본 왕세자 맞으려 서쪽 헐어=숭례문 성곽이 사라진 것은 1907년 10월 일본 왕세자 요시히토(嘉仁)의 조선 방문을 얼마 앞두고서였다. 당시 왕세자의 방문소식이 전해지자 일본 측이 “대일본 천황의 세자가 약소국 도성의 성문으로 들어가는 것은 치욕스런 일”이라 주장했고, 이에 따라 서측 성벽을 헐어내 큰 길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일본 왕세자가 고개를 숙이고 홍예문으로 들어설 수 없다”고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숭례문의 입구인 홍예문의 높이는 약 4.5m. 마차나 가마를 타고 들어갈 경우 천장에 닿지는 않지만 답답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높이다.

 

 이 설은 얼마나 신빙성이 있을까. 사료에는 이에 대한 기록이 전하지 않는다. 일본에 대한 반감이 만들어낸 이야기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나 당시 한양을 둘러싼 성곽 중 숭례문 주변이 가장 먼저 헐렸고, 그 시기가 왕세자의 방문과 맞물렸다는 점에서 일본으로부터의 압력이 있었을 것이라는 예측은 가능하다.

 

 숭례문 복구자문단으로 활동 중인 문화재전문가 윤홍로씨는 “정확한 기록은 찾기 힘들지만 당시 일본과 조선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며 “일본으로서는 이 기회에 조선왕조의 통치를 상징하는 성곽을 없애고, 자신들의 방식으로 근대화를 추진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차 사고도 많아=『고종실록』 고종 44년(1907년) 3월 기록에는 의정부 참정대신(參政大臣) 박제순 등이 고종 황제에게 숭례문 좌우 성곽을 8칸씩 헐자고 요청하는 내용이 나온다.

 

 “숭례문 주변에 사람들이 붐비고 수레와 말 등이 복잡하게 드나들며, 전차가 그 복판을 가로질러 다니기 때문에 접촉사고가 많이 일어난다”는 것이 이유다. 이어 같은 해 6월에는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등이 흥인지문(동대문)과 숭례문 주변의 나머지 성곽마저 모두 헐어버릴 것을 왕에게 청해 허락을 받았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앞서 1899년 5월에는 돈의문(서대문)에서 흥인지문을 거쳐 청량리로 향하는 전차가, 12월에는 종로에서 숭례문을 거쳐 용산으로 향하는 전차가 개통됐다. 홍예문을 지나는 전차와 마차, 사람들로 숭례문 주변은 혼잡했다. 이에 따라 1907에서 1908년 사이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양쪽 성곽이 헐렸다.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성곽 철거가 본격화돼 1913년 남산과 장충동 사이 성곽을 시작으로 한양도성의 성곽들이 차츰 사라지게 된다.

 

 ◆서울의 원형 살려야=숭례문 성곽 복구공사는 2008년 화재 이전부터 계획돼 있다가 복원공사와 함께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공사에 쓰인 1362m³(석축 복구공사분 포함)의 돌은 대부분 경기도 포천에서 캐 온 화강석이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과 1900년대 초반 숭례문 사진 등을 참고해 높이는 4~6m로 쌓았고, 위쪽으로 갈수록 돌의 크기가 작아지는 축조 형식도 그대로 살렸다.

 

 공사를 책임진 중요무형문화재 제120호 이의상 석장은 “남아있는 서울성곽의 돌과 포천에서 캔 돌의 성분은 95% 이상 일치한다. 성곽 복원은 성벽으로 둘러싸였던 서울의 원형을 살리는 중요한 작업”이라고 말했다.

 

 성곽 복원 외에도 1963년 숭례문 해체·복원공사에서 짧아졌던 용마루(건물의 지붕 중앙에 있는 마루)의 길이를 0.9m 늘려 원형대로 바로잡았다. 1층 문루 지붕 위의 잡상(雜像·나쁜 기운을 물리치기 위해 기와지붕의 추녀마루 위에 놓는 흙인형)도 ‘잡상은 홀수로 놓는다’는 조선시대 원칙에 따라 8개에서 7개로 줄였다. 화재 방지를 위해 숭례문 내 외부에 불꽃감지기(16개)와 열감지기(총 길이 200m), 스프링쿨러(헤드 140여개)와 CCTV 12대 등도 설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