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joinsmsn.com/media/folderlistslide.asp?uid=fabiano&folder=6&list_id=12586729
맨날 추억에 사네 블로그에서
인사를 드리지 못하고 자료를 가져 온 것이기에 이곳을 통하여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 ***
한국전쟁 당시 오키나와, 홍콩, 마카오, 필리핀의 모습
아래의 포스팅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일본 오키나와(沖繩) 주둔 美공군사령부에 복무하였던 美공군 장교가 찍은 사진 이다.
이 장교는 1953. 9월 부터 1954년 8월까지 오키나와, 홍콩, 마카오, 필리핀 등지에서 Zeiss Ikon 35mm 렌즈로
당시의 일상적인 풍경을 담아 코닥크롬의 선명한 사진으로 정감있게 촬영하였다.
오랜 세월이 흐른 후 그의 아들인 Phil Roeder씨가 사진을 정리하여 <Dad's Photos - 1950s Asia>의
타이틀로 웹사이트에 올려 놓았다.
태평양전쟁 패배 이후 일본은 전쟁의 후유증으로 극심한 혼란과 참담한 고통을 겪었으나 한국전쟁의
특수로 모든 분야에서 재도약하는 계기가 되었다.
Thank you very much for sharing these pictures. Mr. Phil Roeder.
홍콩 구룡(九龍)반도, 수상(水上)가옥. 1954. 1.
홍콩. 1954. 1.1.
홍콩 1953. 12.
홍콩, 1954. 1.3.
홍콩. 영국국기와 중공국기가 나란히 걸려있다. 1954.. 1 1.
구룡 - 홍콩의 거리. 1953. 1. 3.
성곽도시 출입문. 홍콩. 1954. 1.
검은 양복을 입은 사람이 일련의 이 사진을 찍은 美 공군장교이다. 뒤쪽으로 약 100야드에 홍콩-중공의 경계지점이다.
허가없이 출입을 금(禁)하는 팻말이 있다.
홍콩항구. 정크선에 하역작업을 하고 있다. 1953. 12.
호텔 객실에서 본 홍콩의 석양. 1953. 12. 29.
마카오. 중국식 장례모습. 1953. 12. 30.
마카오. 가운데 높은 건물이 센트럴 호텔이다. 1953. 12 30.
마카오. 1953. 12.
마카오. 예전에 포르투갈의 요새가 있던 곳이다. 1953. 12.
마카오의 정크선. 1953. 12.
타이페이. 장개석 총통의 사령부 건물. 1953. 12.
필리핀, 마닐라 시내. 1954. 9.
마닐라의 수상택시. 1954. 9.
마닐라. 천주교회. 1954 9.
마닐라. 전쟁으로 폐허가 된 천주교회. 1954. 9.
마닐라의 성곽도시. 1954. 9.
한국전쟁 당시 美공군장교로 복무하며 이 시리즈의 사진을 찍은 사람으로 Phil Roeder씨의 부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