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전주이씨 족보

淸山에 2011. 9. 30. 07:30
 
 

 

 

 

 

성씨조회
전체

 

 

전주(全州) 이(李)
유래 | 계파 | 종친회 | 소장족보목록
다른 본관
*

 


전주이씨(全州李氏) 시조는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이다. 태조 이성계(李成桂)는 시조로부터 22세, 즉 한(翰)의 21대손이다. 그러나 성계의 고조부인 목조(穆祖) 안사(安社) 이전의 사적(事蹟)은 전혀 기록에 전해지지 않는다. 안사(安社)는 원래 전주(全州)사람이었는데, 그 곳 지주(知州:지금의 지사)와 사이가 나빠 강원도 삼척(三陟)으로 옮겨 갔다가 얼마 뒤 지주(知州)가 다시 그 곳으로 부임해 오자, 가족을 데리고 바다 건너 간도(間島) 지방으로 가서 원(元)나라의 다루가치(達魯花赤:지방관)가 되었다. 그의 아들 익조(翼祖) 행리(行里:성계의 증조부), 또 그 아들 탁조(度祖) 춘(椿:성계의 조부)도 때때로 두만강 지방의 천호(千戶)로서 원나라의 벼슬을 했고, 춘의 아들 환조(桓祖) 자춘(子春)도 원(元)나라의 총관부(摠管府)가 있던 쌍성(雙城:영흥)의 천호를 지냈다. 자춘(子春)은 공민왕(恭愍王)의 북강(北彊) 회수운동에 내응하여 쌍성(雙城) 함락에 결정적인 공을 세워 이 지방의 만호(萬戶) 겸 병마사(兵馬使)로 임명되었다. 성계(成桂)는 영흥(永興)태생으로, 22세 때 처음으로 고려에서 벼슬을 했으며, 아버지의 뒤를 이어 동북면의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원군(元軍)과 왜구(倭寇)토벌에 공을 세워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에 이르러 이때부터 고려말 중앙정권의 중추에 등장하게 되었다. 전주이씨(全州李氏)의 분파(分派)는 122파로서 거의가 왕자대군(王子大君:적자)과 왕자군(王子君:서자)을 파조(派祖)로 하고 있으며, 시대 구분에 따라 세 갈래로 나눌 수 있다. 즉, 이태조의 고조부인 안사(安社)의 상계(上系)에서 갈라진 파, 안사 이후 이태조(李太祖) 이전에 갈라진 파, 이태조의 후손으로 왕자대군과 왕자군을 파조로 하는 파이다. 안사(安社:18세) 이전의 분파(分派)로는 시조 한(翰)의 14대손인 단신(端信)을 파조로 하는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 15대손 거(琚)를 파조로 하는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17대손 영습(英襲)을 파조로 하는 주부동정공파(主簿同正公派), 안사의 종손 윤경(允卿)을 파조로 하는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한의 21대손 귀을(歸乙)을 파조로 하는 문하평리공파(門下評理公派) 등이 있다. 안사 이후 이태조 이전의 분파(分派)로는 안사(安社)의 아들인 안천(安川) · 안원(安原) · 안풍(安豐) · 안창(安昌) · 안흥(安興)의 5대군파(五大君派), 행리(行里)의 아들인 함령(咸寧) · 함창(咸昌) · 함원(咸原) · 함천(咸川) · 함릉(咸陵) · 함양(咸陽) · 함성(咸城)의 7대군파(七大君派), 춘(椿)의 아들인 완창(完昌) · 완원(完原) · 완천(完川) · 완성(完城)의 4대군파(四大君派), 자춘(子春)의 아들이자 태조의 서형제(庶兄弟)인 완풍군파(完豐君派)와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 등 도합 18개의 파가 있다. 태조의 후손 분파(고종 이전까지)는 일반적으로 99파(25대군 · 74군)로 알려져 있지만 미취졸(未娶卒), 즉 미혼으로 죽었거나 무후(無後), 즉 후사(後嗣)가 없는 대군이 20명 정도가 되므로 실제로는 그 수가 줄어든다. 조선의 왕권은 전주이씨(全州李氏)인 왕족(王族 · 宗親)을 주축으로 하고 왕대비 · 왕비 · 왕세자비의 동성친(同姓親:외척)과 이성친(異姓親), 그리고 왕녀의 배우자와 그 근친 등 광범위한 혈연관계를 왕권의 일차적인 토대로 하여 발전 · 유지되어 왔다. 따라서 왕위를 둘러싸고 벌어진 골육간의 다툼은 조선 500년을 통해 거의 끊일 사이가 없었다. 역사적으로 전주이씨(全州李氏)는 그 방대한 씨족기반 위에서 정치권력 내지는 정치세력의 중추를 이루어왔다. 전주이씨(全州李氏)의 100여 파 중에서 으뜸가는 명가(名家)는 밀성군파(密城君派:침, 세종의 아들)로서 6명의 정승(政丞)과 3대의 대제학(大提學:홍문관, 예문관의 정2품벼슬)을 배출했으며, 덕천군파(德泉君派:후생, 정종의 아들)가 부자 대제학 등 3명의 대제학과 영의정(領議政:의정부의 으뜸벼슬, 정1품) 1명을 내어 밀성군파에 버금간다. 그 다음으로는 3명의 정승(政丞)을 배출한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여, 세종의 제5자), 정승 2명을 배출한 선성군파(宣城君派:무생, 정종의 아들) 정승1명과 많은 문 · 무관을 배출한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보, 태종의 제2자) 등이 뛰어나고, 무림군파(茂林君派:선생, 정종의 아들)와 덕흥대원군파(德興大阮君派:초, 선조의 생부)는 무관(武官)의 집으로 유명하다. 오늘날 전주이씨(全州李氏)의 후예가 얼마나 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전주이씨 대동종약원(全州李氏大同宗約院)측에서는 대략 200만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100여 파 가운데 후손이 가장 번창하는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가 으뜸이고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 덕춘군파(德泉君派) · 밀성군파(密城君派) · 양녕대군파(讓寧大君派) 등이다. 역대주요인물(歷代主要人物) *이준양(李俊陽) ?~1146(의종 즉위) 고려의 문신. 전주의 말단 관리로 있다가, 1108년(예종3) 녹사(錄事)로 여진 정벌에 공을 세웠다. 1129년(인종7) 전중감.추밀원 부사가 되고, 동지추밀원사, 상서.지추밀원사를 역임, 0032년 참지정사(參知政事)로서 문공인(文公仁)과 함께 서경(西京)에 가서 지세(地勢)를 살피고 천도론(遷都論)을 주장하는 묘청(妙淸)의 음모를 폭로했다. 뒤에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 *이의방(李義方) ?~1174(명종4) 고려의 무신. 1170년(의종24) 산원(散員)으로서 견룡행수(牽龍行首)가 되어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등 무신과 함께 난을 일읔켜 문신들을 학살했다. 이에 두려움을 느낀 의종으로부터 응양.용호군 중랑장에 임명되었으며, 1171년 명종을 즉위케 하여 대장군.전중감 겸 집주가 되고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올랐다. 1173년(명종3) 김보당(金甫當)의 난을 평정하여 위위경.흥위위 섭대장군.지병부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딸이 태자빈(太子嬪)이 됨으로써 부귀와 권세를 누리고 살육을 자행했다. 이 해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토벌하기 위해 서경(西京)에 갔다가 패하고 돌아오는 길에 선의문(宣義門) 밖에서 정중부의 아들 균(筠)이 보낸 자객(刺客) 종참(宗참)에게 살해되었다. *이준의(李俊義) ?~1174(명종4) 고려의 문신. 의방(義方)의 형. 1170년(의종24) 이의방이 정중부(鄭仲夫) 등과 함께 의종을 몰아내고 명종을 옹립하자 이듬해 좌승선.급사중(左承宣給事中)에 오르고 두에 위위 소경(衛尉少卿)이 되었으나, 문신들에 대해 지나치게 살육을 자행하는 동생 의방과 항상 의견이 대립되었다. 1174년 의방과 세력을 다투던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의 사주를 받은 중(중) 종참(宗참)에 의해 의방과 함께 살해당했다. *이원계(李元桂) 고려.조선의 장군. 시호는 양평(襄平), 자춘(子春:桓祖)의 아들, 조선 태조의 이복형. 공민왕 초 내부령(內府令)이 되고, 1361년(공민왕10)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하자 안우(安祐).김득배(金得培)의 휘하에 종군, 박주(博州)에서 승전하고 개경(開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워 1363년 2등공신에 책록되었다. 1380년(우왕6) 원수(元帥)가 되어 삼도 도순찰사 이성계(李成桂)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 많은 포로와 말 1천 6백여 필을 노획하였다 1388년 요동(요東) 정벌 때 팔도도통사 조전원수로 이성계의 막료가 되고, 1392년 조선 건국 후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지고 개국공신(開國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이서림(李瑞林) ?~1213(강종2) 고려의 문신. 자는 비민(庇民), 검교태자첨사 언균(彦均)의 아들. 17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수년 후 문과(文科)에 급제, 안변도호부 판관 겸 장서기.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을 지냈다. 경사(經史)에 정통했으며, 특히 글씨에 능하여 이름을 떨쳤다. *이 영(李 寧) 화가(화家). 내전숭반(內殿崇班) 이준이(李俊異)에게 사사(師事), 그림에 뛰어나 인종과 의종의 총애를 받고 내합(內閤)의 그림에 관한 모든 일을 주재했다. 인종 때에 추밀사(樞密使) 이자덕(李資德)을 따라 송나라에 들어가서 송나라 휘종(徽宗)의 명으로 <예성강도(禮成江圖)> 를 그려 바치고 포상(褒賞)받았다. 뒤에 송나라 상인(商人)이 인종에게 그림을 바치자 중화(中華)의 기품(奇品)을 얻었다 하여 왕은 그를 불러 자랑하자 작품을 본 그는 그것이 자기 작품이라 했으나, 왕이 믿지 않다가 뒷면에 씌어 있는 그의 서명을 보고 감탄했다 한다. *이광필(李光弼) 고려의 화가. 화가 영(寧)의 아들. 문신들이 지은 소상팔경(瀟湘八景)의 부(賦)에 따라 그림을 그리는 등, 명종과 함께 종일 그림만 그림으로써 명종으로 하여금 나랏일까지 잊게 만들었다. *이양우(李良祐) ?~1417(태종17) 조선의 문신. 시호는 안소(安昭), 원주(元住)의 아들, 태조의 조카. 1398년(태조7)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으로 영안군(寧安君)에 봉해졌고 1403년(태종3) 의정부 찬성사(議政府 贊成事)가 되었다. 1409년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12년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에 진봉(進封)된 후 품계가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이르렀다. *이천우(李天祐) ?~1417(태종7) 조선의 문신. 시호은 양도(襄度), 원계(元桂)의 아들,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조카. 1369년(공민왕18) 야인(野人) 동녕부(東寧府)의 수령으로 있다가 이성계의 휘하에 들어가 여러번 왜구를 토벌했고, 1392년(태조1)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웠다. 1394년 상의중추원사가 되고 2년 후 강원도 조전절제사를 거쳐 1398년 동지중추원사가 되었으며, 이 해 제1차 왕자의 난에 방원(芳遠:太宗)을 도와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으로 완산후(完山侯)에 봉해졌다. 1400년(정종2)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거쳐 지삼군부사(知三郡府事)로 제2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 2등이 되고 안주 도절제사를 지낸 후 1403년(태종3) 완산군(完山君)에 개봉(改封)되었다. 판사평부사(判司平府事)를 지내고 1407년 정조부사(正朝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의정부 찬성사에 오르고, 1409년 병조판서로서 삼군진무소(三軍鎭無所)가 신설되자 도진무도총제를 겸했다. 그 후 판의흥부사(判義興府事)에 이어 다시 찬성사가 되어 판의용순금사사를 겸임, 1413년 이조판서가 되어 서북면 도체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진봉(進封)되고, 의금부도제조를 지낸 후 다시 찬성사에 보직되었다. 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 영광(靈光)의 무장영당(畝長影堂)에 제향(祭享) *이 숙(李 淑) 1368 (공민왕17)~1406 (태종6) 조선의 문신. 시호는 제의(齊懿), 이성계(李成桂)의 이복 동생인 의안대군(義安大君)화의 아들. 이성계가 즉위하자 응양위 전령장군이 되고, 1398(태조7) 우부승지(右副承旨)에 이어 우승지(右承旨)가 되고, 1400년(정종2)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졌다. 1401년(태종1) 좌명공신(左命功臣) 3등이 되고, 1405년(태종5) 찬성사(贊成事)에 올랐다가 대간(臺諫)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이정은(李貞恩) 조선의 마지막 왕족. 자는 정중(正中), 호는 월호(月湖), 설창(雪窓), 남곡(남谷), 태종의 손자, 익녕군(益寧君) 치의 아들. 수천부정(秀川副正)에 봉해졌다가 후에 수천도정(秀川都正)에 진봉(進封)되었으며, 종친부 도정(宗親府都正)을 지냈다. 음률(音律)에 뛰어나고 시(詩)에 능했다. *이경동(李瓊仝) 조선의 문신. 자는 여옥(如玉), 호는 추탄(楸灘), 달신(撻信)의 아들. 1461년(세조7) 진사(進士)로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 1466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1등, 이 해 다시 발영시(拔英試)에 3등으로 급제, 대교(待敎)를 거쳐 선전관(宣傳官)을 지냈다. 1497년(성종10)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이 해 우승지(右承旨)가 되어 왕비(王妃) 윤씨(尹氏)의 폐위(廢位)를 극력 반대하다가 투옥되었다. 뒤에 석방되어 1486년 대사헌이 되고, 예조참판.병조참판.동지중추부사.동지경연사 등을 역임, 1504년(연산군10)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앞서 성종의 윤비(尹妃 : 燕山君의 生母) 폐위 때 승지(承旨)였다. 해서 유배되었다. *이사철(李思哲) 1405(태종5)~1456(세조2) 조선의 문신. 자는 성지(誠之), 시호는 문안(文安), 난(蘭)의 아들. 1432년(세종14) 문과(文科)에 급제,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등용되고, 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역임, 1448년(세종30) 도승지(都承旨)로 [선원록(璿源錄)] [종친록(宗親錄)] [유부록(類附錄)]을 개수(改修)했고, 이어 이조와 예조의 판서를 지냈다. 1452년(단종 즉위) 사은사(謝恩使) 수양대군(首陽大君)의 부사(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이듬해 우참찬(右參贊)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하는 데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이 되었다. 1455년 좌찬성(左贊成)에 오르고, 이 해 세조가 즉위하자 좌의정이 되어 좌익공신(佐益功臣) 2등으로 견성부원군(甄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이 총(李 摠) ?~1504(연산군10) 조선의 문신. 자는 백원(百源), 호는 서호주인(西湖主人). 구로주인(鷗鷺主人). 월창(月창), 시호는 충민(忠愍), 태종의 증손으로 무풍부정(茂豊副正)에 봉해졌다. 1498년(연산군4) 무오사화(戊午史禍)로 유배되었다가 1504년(연산군10) 갑자사화(甲子史禍)에 7부자가 함께 사형당했다. 남효온(南孝溫). 손유손(孫裕孫) 등과 함께 청담파(淸談派)의 중심인물로 시문(詩文)에 능하고, 필법(筆法)이 뛰어났다. 시조(시조) 약간이 전한다. *이유녕(李幼寧) ?~1504(연산군10) 조선의 문신. 조선 제3대 왕 태종(太宗)의 5세손, 주계군(朱溪君) 심원(深源)의 아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문과(文科)에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 뒤에 이조좌랑(吏曹佐郞).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역임했다. 1504년 갑자사화(甲子史禍) 때에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참형(斬刑) 당했다. *이 목(李 穆) 1471(성종2)~1498(연산군4) 조선의 문신. 자는 중옹(仲雍), 호는 한재(寒齋), 시호는 정간(貞簡), 개국공신(開國功臣) 백유(伯由)의 후손, 윤생(潤生)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19세로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성균관 유생(儒生)이 되어 왕대비(王大妃)가 성균관에 음사(淫祠)를 설치하여 무당을 부르자 이를 쫓아냈으며, 한편 유생을 이끌고 윤필상(尹弼商)을 탄핵하다가 공주(公州)에 부처(付處)되었다. 뒤에 풀려나와 1495년(연산군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고, 전적(典籍)으로 종학사회(宗學司誨)를 겸하고, 이어 영안도평사(永安道評事)가 되었다. 1498년(연산군4)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윤필상(尹弼商)의 모함을 받고 김일손(金馹孫). 권오복(權五福) 등과 함께 사형되었다. 갑자사화(甲子士禍 : 1504)때 다시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뒤에 신원(伸寃), 이조판서 추증(追贈), 공주(公州)의 충현서원(忠賢書院)에 제향(祭享) *이세장(李世璋) 1497(연산군3)~1562(명종17) 조선의 문신. 자는 도성(道盛), 호는 금강(錦江), 어수(漁叟), 평사(評事) 목(穆)의 아들. 1516년(중종11) 진사가 되고, 1534년(중종29)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정자(正字), 지평(持平), 교리(校理), 장령(掌令) 등을 지냈다. 1514년 큰 흉년이 들자 지방관들의 구제사업을 독찰(督察)하기 위해 함경도 암행어사로 나갔고, 이듬해 집의(執義), 부응교(副應敎), 시강관(侍講官), 전한(典翰) 등을 역임, 1545년(명종 즉위) 사인(舍人)에서 직제학(直提學)에 승진, [중종실록(中宗實錄)]편수관(編修官)을 겸했다. 1549년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우승지(右承旨)가 되고, 이후 예조참의(禮曹參議), 도승지(都承旨), 호조참의(戶曹參議)를 거쳐 1552년 강원도 관찰사가 되고, 1544년 황주목사(黃州牧使)로 좌천되었으나 양사(兩司)의 상소로 다시 호조참의가 되었으며, 1557년 호분위 대호군에 보직되었다. 명종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이희손(李希孫) 1497(연산군3)~1566(명종21) 조선의 문신. 자는 공망(公望), 수남(壽男)의 아들. 1531년(중종26) 생원(生員)이 되고, 1533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을 거쳐 1555년(명종10)에 광주목사(光州牧使)가 되었다. 이 해 왜구(倭寇)가 남해안에 침입하자, 강진현(康津縣)을 지키라는 명을 받았으나 왜구를 막지 못하여 제주(濟州)에 장류(杖流)되었다. 1556년 왜구가 제주를 침략할 때 종군(從軍)하여 공을 세워 용서받고, 뒤에 오위장(五衛將).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등을 역임했다. *이 의(李 艤) 조선의 학자. 자는 의지(艤之). 시호는 장민(長敏), 정종의 4대손 백성군(栢城君) 수원(守源)의 아들. 계림부수(桂林副守)에 봉해졌으며, 1502년(연산군8) 시예(試藝)에 장원하여 명선대부(明善大夫)에 올랐다. 1506년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 1531년(중종26) 계원군(桂原君)에 진봉(進封) 되었다. *이상좌(李上佐) 조선의 화가. 자는 공우(公祐), 호는 학포(學圃), 본래 어느 선비의 노복(奴僕)이었으나 그림에 뛰어나 중종의 특명으로 도화서(圖畵署)에 보직되었다. 특히 산수(山水)와 인물(人物)에 뛰어났고 북종화풍(北宗畵風)의 그림을 그렸다. 중종이 죽자 그 초상을 그렸고, 1546년(명종1) 공신들의 초상을 그림으로써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고 아들 흥효(興孝)도 군직(軍職)에 등용되었다. *이 식(李 拭) 1500(연산군6)~1587(선조20) 조선의 문신. 자는 청지(淸之), 호는 손암(損菴). 외암(畏菴), 승상(承常)의 아들. 1553년(명종8) 별시문과(別試문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검열(檢閱)이 되고 1559년 병조좌랑(兵曹佐郞), 다음해 수찬(修撰). 이조좌랑(吏曹佐郞) 등을 역임했다. 1562년 문학(文學). 이조정랑(吏曹正郞)을 지내고 검상(檢詳). 집의(執義). 사간(司諫)을 거쳐 1565년(명종20) 홍문관 직제학이 되었다. 다음해 동부승지(同副承旨). 우승지(右承旨). 형조참의(刑曹參議)에 이어 1570년(선조3) 대사간을 역임, 대사헌을 거쳐 이조참의를 지낸 후 행호군(行護軍)에 이르렀다. *이중호(李仲虎) 1512(중종7)~1554(명종9) 조선의 학자. 자는 풍후(風后), 호는 이소재(履素齋), 시호는 문경(文敬),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현손, 고양부정(高陽副正) 억손(億孫)의 서자(庶子) 유우(柳藕)의 문인.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김안국(金安國)의 절찬을 받았으며, 동몽훈도(童蒙訓導)를 거쳐 1554년 사과(司果)가 되었다. 시문(詩文)에 뛰어났다. *이희검(李希儉) 1516(중종11)~1579(선조12) 조선의 문신. 자는 경질(景質), 호는 동고(東皐). 국재(菊齋), 경녕군(敬寧君) 비의 현손(玄孫), 수광(晬光)의 아버지. 1546년(명종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학유(學諭). 정랑(正郞). 교리(校理) 등을 역임, 승지(承旨). 오위장(五衛將)을 거쳐 사간(司諫)에 이르렀다. 이 때 왕실의 인척임을 기화로 횡포를 부리는 이양(李梁)을 탄핵했다가 도리어 장단부사(長湍府使)로 좌천, 1572년(선조5) 진하부사(進賀府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우승지(右承旨). 병조참의(兵曹參議). 대사헌, 호조와 형조 및 병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냈다. *이충작(李忠綽) 1521(중종16)~1577(선조10) 조선의 문신. 자는 군정(君貞), 호는 낙빈(洛濱). 졸암(拙庵), 임영대군(臨瀛大君)의 후손, 당은부수(唐恩副守) 휘(徽)의 아들. 직산(稷山)출신. 1559년(명종14)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562년 저작(著作)으로 재직중 효행(孝行)으로 형조좌랑(刑曹佐郞)에 특진되고, 장령(掌令) 때 중 보우(普雨)의 죄상을 논핵했다가 제주도(濟州島)에 유배되었다. 후에 승지(承旨)를 거쳐 충청도 관찰사에 이르렀다. 시(詩)에 능했고,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가 죽자 통곡하다가 눈이 멀기까지 했다. *이 구(李 球) ?~1573(선조6) 조선의 학자. 자는 숙옥(叔玉), 호는 연방(蓮坊), 왕족으로서 종성령(鍾城令)에 봉해지고 엄용공(嚴用恭). 윤정(尹鼎)에게 학문을 배우다가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 들어가 그의 학문을 계승. 기일원론(氣一元論)을 발전시켰으며 심무체용론(心無體用論)을 주창했다. 당시에 가장 조선의 전통적인 특색을 발휘한 학자로 알려졌다. *이헌국(李憲國) 1525(중종20)~1602(선조35) 조선의 문신. 자는 흠재(欽哉), 호는 유곡(柳谷), 수창부정(壽昌副正) 칭(稱)의 아들. 1551년(명종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75년(선조8)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고 1578년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도승지(都承旨)로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다스리는데 공을 세워 1590년 평난공신(平難功臣) 3등이 되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조판서로 세자(世子)를 강계(江界)에 호종(扈從), 이듬해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이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는 좌참찬(左參贊)으로 김시헌(金時獻) 등과 복수군(復讎軍)을 조직했으며, 1599년 우의정을 거쳐 이듬해 좌의정에 올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가 1601년 병으로 사직했다. 호성공신(扈城功臣) 3등에 책록(策錄)되고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으로 추봉(追封)되었다. *이숭효(李崇孝) 조선 선조 때의 화가. 자는 백달(伯達), 배련(陪連)의 아들. 그림의 명문(名門) 출신으로 조부,아버지,아들 4대에 걸쳐 그림에 능숙했다. 유작으로[귀어도(歸漁圖)]가 덕수궁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영신(李榮臣) 1532(중종27)~1592(선조25) 조선의 문신. 자는 응인(應仁), 주부(主簿) 길(佶)의 아들. 1561년(명종16)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제원도찰방(濟源道察訪). 사근도찰방(沙斤道察訪)을 역임. 음성현감(陰城縣監)을 거쳐 1592년 함열현감(咸悅縣監)에 임명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부임하지 못하고 철원(鐵原)에서 적군에게 사살되었다. *이양중(李養中) 1525(중종20)~? 조선의 문신. 자는 공호(公浩), 호는 서천(西川), 계양군(桂陽君) 증(僧)의 현손(玄孫), 금천부수(錦川副守) 감(瑊)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 1567년(명종22) 생원(生員)이 되고, 1572년(선조5)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史官)에 뽑히고, 1574년 봉교(奉敎).전적(典籍), 1578년 병조정랑(兵曹正郞), 1583년 사간(司諫), 1585년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역임. 이듬해 의주목사(義州牧使)가 되었다. *이희득(李希得) 1525(중종20)~1604(선조37) 조선의 문신. 자는 덕부(德夫), 호는 하담(荷潭), 판서 희검(希儉)의 동생. 1572년(선조5)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83년 사간(司諫), 1587년 대사간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북도순검사(北道巡檢使)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이경록(李慶綠) 1533(중종28)~1599(선조32) 조선의 문신. 오위장(五衛將) 간(幹)의 아들. 1576년(선조9)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여러 벼슬을 거쳐 1587년 고성현령(固城縣令)에서 경흥부사(慶興府使)로 승진, 오랑캐가 녹둔도(鹿屯島)를 침공하자 조산 만호(造山 萬戶) 이순신과 함께 이를 격퇴했으나, 피해가 많았기 때문에 처벌을 받고 백의종군(白衣從軍)했다. 이듬해 다시 오랑캐의 침입에 선봉에서 용전한 공으로 김해부사(金海府使)가 되고, 이어 1592년 나주목사(羅州牧使)가 되어 선정을 베풀어 관찰사의 표창을 받았다. 이 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義兵將) 김천일(金千鎰)을 도와 전공을 세우고 1593년 제주목사(濟州牧使)가 되어 7년간 재직하는 동안 많은 치적을 올렸다. *이 휘(李 徽) ?~1594(선조27) 조선의 왕족. 자는 사미(士美), 은계군(銀溪君) 말숙(末叔)의 아들. 시예과(試藝科)에 장원, 원천군(原川君)에 봉해졌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총부 도총관으로 서울의 수비를 담당, 의주(義州) 행재소(行在所)에 이르러 명(明)나라 신종(神宗)의 조칙(詔勅)을 맞이하는 의례(儀禮)를 주선하고 세자를 호종(扈從)했다. *이양원(李陽元) 1533(중종28)~1592(선조25) 조선의 문신. 자는 백춘(伯春), 호는 노저(鷺渚). 남파(南坡), 시호는 문헌(文憲), 선성군(宣城君 : 定宗의 아들)의 후손, 학정(鶴丁)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 1555년(명종10) 진사(進士)가 되고, 이듬해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에 초임(初任)된 뒤 저작(著作)을 거쳐 1563년 호조참의(戶曹參議)가 되었다. 이해에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서 명나라에 들어가 객사한 정사(正使) 김주(金澍)를 대신하여, 명나라의 [태조실록(太祖實錄)]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가 고려의 이인임(李仁任)으로 오기(誤記)된 것을 바로잡고 돌아와 그 공으로 가자(加資)되었다. 평안.충청.경기도 등 3도의 관찰사, 형조판서, 대제학, 대사헌 등을 역임, 1590년(선조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 3등이 되고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에 봉해진 후 이듬해 우의정에 승진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도대장(留都大將)으로 한강을 지키다가 양주(楊州)로 철수, 분군(分軍)의 부원수 신각(申恪)과 함경도 병마절도사 이흔(李渾) 등의 군사와 합세하여 해유치(蠏踰峙)에 주둔, 적군을 맞아 크게 승리한 후 영의정에 올랐다. 이때 의주(義州)에 피란 중이던 선조가 요동(遼東)으로 건너가 내부(內附)했다는 와전된 소문을 듣고 통분히 여겨 단식(斷食) 8일 만에 죽었다. 시문(詩文)에도 능했으며 시조(時調)가 전해진다. *이종인(李宗仁) ?~1593(선조26) 조선의 무신. 자는 인언(仁彦), 병마절도사 귀침(龜琛)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하(門下)에서 수학(修學), 후에 무예를 익혀 무과(武科)에 급제, 1583년(선조16) 군관(軍官)으로 이제신(李濟臣)의 반란을 토평하는데 종군, 그후 북방수비에 여러번 공을 세웠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이듬해 김해부사(金海府使)로서 진주성(晋州城)이 왜군에게 포위되자, 전라도 관찰사 황진(黃進) 등과 함께 성을 방어, 끝까지 용전했으나 성이 함락당하게 되자 적병을 한 명씩 양팔에 끼고 남강(南江)에 뛰어들어 순국했다. 호조판서에 추증(追贈), 진주의 충민사(忠愍祠)에 제향(祭享) *이의건(李義健) 1533(중종28)~1621(광해군13) 조선의 문인. 자는 의중(宜中), 호는 동은(峒隱), 세종의 6대손, 백천군수(白川郡守) 수한(守漢)의 아들. 1564년(명종19)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시명(詩名)을 떨치고, 당시의 명현(名賢)들과 교유(交遊)했다. 뒤에 학행(學行)으로 돈령부 직장(敦寧府 直長)이 되었으나 친상(親喪)으로 한때 사직, 1610년 이항복(李恒福)의 천거로 공조좌랑(工曹佐郞)이 되고, 이어 공조정랑(工曹正郞)에 올랐으나 사퇴했다. 글씨에도 뛰어났다. 광주(廣州)의 수곡서원(秀谷書院), 영평(永平)의 옥병서원(玉屛書院)에 제향(祭享) *이 노(李 輅) 1536(중종31)~1614(광해군6) 조선의 문신. 자는 홍재(弘載), 호는 동진(東津), 양녕대군(讓寧大君)의 6대손, 원우(元友)의 아들. 1558년(명종13)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567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예조좌랑(禮曹佐郞). 지평(持平). 헌납(獻納)을 거쳐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된 후 사관(史官)으로 발탁되었다. 1581년(선조14) 장령(掌令), 뒤에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1596년 호조참판(戶曹參判) 때 진향사(進香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 경기도 관찰사를 지내고, 형조.공조의 판서를 역임, 판돈령부사(判敦寧府事)에 이르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이충원(李忠元) 1537(중종32)~1605(선조38) 조선의 문신. 자는 원보(元甫). 원포(圓圃), 호는 송암(松菴). 여수(驪叟), 시호는 충헌(忠憲),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현손(玄孫), 1566년(명종21)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 수찬(修撰)을 지내고, 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떄 형조참의(刑曹參議)에 특진되었다. 그후 첨지중추부사.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을 역임.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완양부원군(完陽府院君)에 봉해졌으며, 그후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글씨에도 뛰어났다. *이흥효(李興孝) 1537(중종32)~1593(선조26) 조선의 화가. 자는 중순(仲順), 배련(陪連)의 아들. 화원(畵員)으로 명종의 초상화를 그려 군직(軍職)에 보직, 벼슬이 수문장(守門將)에 이르렀다. 인물화에 능했다. *이 빈(李 빈) 1537(중종 32)~1603(선조 36) 조선의 무신. 자는 문원(聞遠), 왕족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4대손. 1570년(선조 3) 무과(武科)에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회령 부사(會寧府使)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경상좌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충주(忠州)에서 신입(申砬)의 휘하에 들어가 싸웠으나 패전, 도원수(都元師) 김명원(金命元)의 휘하에서 임진강(臨津江)을 방어중 다시 패하고 평안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평양을 방위했다. 성이 함락되자 관찰사 이원익(李元翼)을 따라 순안(順安)에서 북상하는 적과 싸우고 명나라 장군 이여송(李如松)과 함께 평양을 탈환한 후 이듬해 순변사(巡邊使)가 디어 권율(權慄)과 함께 파주산성(坡州山城)을 수비했다. 왜병이 서울에서 철수하자 상주(尙州)까지 추격, 많은 전공을 세웠고, 남원(南原)이 전략적으로 더 중요한 곳이라 하여 포위된 진주성(晉州城)을 구원하라는 명령에 불복한 탓으로 한 때 대죄종군(戴罪從軍)했다. 1594년 경상도 순변사에 복직. 이듬해 상부와의 의견 대립으로 물러났다가 임진왜란이 평정된 후 포도 대장(捕盜大將)에 임명되었으나 연로(年老)를 이유로 사퇴했다. *이 축(李 軸)1538(중종 33)~1614(광해군 6) 조선의 문신. 자는 자임(子任), 호는 사촌(沙村), 시호는 안양(安蘘),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현손(玄孫), 희남(希男)의 아들. 1576년(선조 9)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보직되고 그 후 여러 벼슬을 거쳐 1589년(선조 22) 안악군수(安岳郡守)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모반을 꾀하자 이를 탐지, 조정에 보고한 공으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으로 승진했다. 이듬해 평난공신(平難功臣) 1등으로 완산군(完山郡)에 봉해지고 공조참판(工曹參判)이 되었다. 그 후 형조판서,우참찬(右參贊)을 역임. 1592년 임진왜란 때는 건의대장(建義大將) 심수경(沈守慶)의 부장(副將)으로 의병을 지휘했다. 1594년 진휼사(賑恤使)로 난국 수습에 공헌, 1611년(광해군 3)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진봉(進封)되었다. 영의정에 추증(追贈) *이성중 1539(중종 34)~1593(선조 26) 조선의 문신. 자는 공저(公著), 호는 파곡(坡谷), 시호는 충간(忠簡), 계양군(桂陽君) 증(僧)의 현손, 금천 부수(錦川副守) 감(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 이황(李滉)의 문인. 1558년(명종 13) 진사(進士)가 되고, 1570년(선조 3)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74년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승문원(承文院) 벼슬에 등용 되었다. 이어 사관(史官)이 되었다가 1576년 지평(持平)을 지내고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1587년 부제학(副提學), 1591년 충청도 관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수어사(守禦使)로 왕을 호종(扈從), 의주(義州)에 이르러 호조판서가 되었고, 1593년 군량조달을 맡고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영남에 내려가 대군(大軍)의 군량미를 보급, 그 후 전란의 뒷수습을 하다 과로로 죽었다.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추봉(追封), 영의정에 추증(追贈). *이 철(李 鐵) 1540(중종 35)~1604(선조 37) 조선의 문신. 자는 강중(剛中), 관찰사 세장(世璋)의 아들. 1582년(선조 15)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 부정자가 되고, 1592년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義州)에 호종(扈從), 돌아와 양양부사(蘘陽府使)에 올랐다. 1594년 지평(持平). 장령(掌令) 등을 거쳐 이듬해 수찬(修撰)을 지내고 1596년 집의(執義).동부승지(同副承旨).좌부승지(左副承旨)를 역임하고, 1598년 형조참의(刑曹參議), 다음해 호조참의.우승지(右承旨)를 지냈다. 1603년(선조 36) 예조참의로 사은겸 천추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追贈) *이경중(李敬中) 1543(중종 38)~1585(선조 18) 조선의 문신. 자는 공직(公直), 호는 단애(丹崖), 계양군(桂陽君) 증(贈)의 4대손. 이황(李滉)의 문인. 1568년(선조 1) 성균관(成均館) 유생(儒生)이 되었으며, 1570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74년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가 되었다. 이어 저작(著作), 정언(正言)등을 역임하고 1581년 이조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계속 높이 등용되면 장차 후환이 있을 것을 예측(豫測), 그를 극력 배척하다가 논핵(論劾)을 당했다. 뒤에 응교(應敎)를 거쳐 1584년 집의(執義)에 이르렀으나 대사헌 정철(鄭澈)의 시기를 받고 경상도 추쇄어사(推刷御史)로 나가 밀양(密陽)에서 병사했다. 1589년의 정여립의 모반이 일어난 뒤 그의 예측이 사실화 됨으로써 유성룡(柳成龍)의 상소로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追贈)되었다. *이 준(李 準)1545(인종 1)~1624(인조 2) 조선의 문신. 자는 평숙(平叔), 호는 뇌진자(櫴眞子).서파(西坡), 시호는 숙헌(肅憲),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후손. 1568(선조 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주서(注書), 정언(正言), 헌납(獻納), 의주목사(義州牧使) 등을 지냈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1590년 평난공신(平難功臣) 2등으로 전성군(全城君)에 봉해지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운향사(運餉使)가 되어 명군(明軍)의 군량조달을 맡았으나 병(病)을 핑계로 은거했다.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춘천부사(春川府使), 예조참판(禮曹參判), 병조참판을 지내고 1600년(선조 33)에 대사간으로 홍여순(洪汝詢)의 일파로 몰려 한때 파직, 그 후 안동부사(安東府使), 경주부윤(慶州府尹) 등을 거쳐 광해군 때 좌참찬(左參贊), 형조판서, 공조판서 등 을 역임하고, 1615년(광해군 7)에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가 되었다. 이조판서에 이르렀으나 대북(大北)의 난정(亂政)으로 은퇴했다. 영의정에 추증(追贈) *이경윤(李慶胤) 1545(인종 1)~ ? 조선의 화가. 자는 수질(秀吉), 호는 낙파(駱坡), 낙촌(駱村), 학록(鶴麓), 청성군(靑城君) 걸(傑)의 아들. 처음 학림수(鶴林守)에 뛰어났고, 인물(人物), 영모(翎毛), 우마(牛馬)를 잘 그렸으며 모두 색감과 정취가 뚜렷했다. *이직언(李直彦)1545(인종 1)~1628(인조 6) 조선의 문신. 초명은 시언(時彦), 자는 군미(君美), 호는 추천(秋泉),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5대손, 형(泂)의 아들. 1573년(선조 6)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576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갑과(甲科)로 급제, 전적(典籍), 호조좌랑(戶曹佐郞), 호조정랑(戶曹正郞). 지평(持平), 사성(司成)을 역임하고 평산군수(平山郡守)로 나갔다가 1589년 사직했다. 그후 상의원정(尙衣院正)을 거쳐 태복사정(太僕寺正)을 지내고 강릉부사(江陵府使)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뒤에 장령(掌令), 사재감정(司宰監正)을 거쳐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통어사(統禦使)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었다가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사예(司藝)에 보직되고, 이어 헌납(獻納), 장령(掌令) 등을 역임한 뒤 명나라에 가서 군량미의 원조를 청했다. 이듬해 사간(司諫)으로 경상도 진휼어사(賑恤御使)가 되어 백성을 선유(宣諭), 돌아와 [시사팔조(時事八條)]를 상소하여 척화(斥和)를 주장했으며 이 때 정철(鄭澈)의 죄를 추론(追論)하는 의론이 일어나자 이를 반대하여 파직되었다. 1596년 해주목사(海州牧使)에 기용, 이어 인천(仁川), 수원(水原) 등을 다스리고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1601년 승지(承旨)에 올라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뒤에 여주목사(驪州牧使), 경주부윤(慶州府尹)을 역임하며 치적을 쌓아 경기도 관찰사로 승진, 1605년(선조 38)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에 전직했다. 1609년(광해군 1) 대사헌이 되었으나 이해 임해군(臨海君)의 옥사(獄事)로 사직, 1612년(광해군 4)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가 되었으나 곧 사퇴, 이듬해 계축옥사(癸丑獄事)가 일어나자 은퇴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우참찬(右參贊)에 기용되고, 1627년(인조 5)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우찬성(右贊成)으로 임금을 강화(江華)에 호종(扈從), 척화(斥和)를 주장했다. 이수곤(李壽崑) 1546(명종 1)~1594(선조 27) 조선의 문신. 자는 경로(景老), 시호는 충효(忠孝), 임영대군(臨瀛大君) 구()의 증손, 신성군(信城君) 후(珝)의 아들, 절신정(節愼正)에 봉해지고 1592년의 임진왜란때 북으로 피란하는 왕을 따라 개성(開城)에 이르러 묘사(廟社)의 신주(神主)를 그곳 목청전(穆淸殿)에 묻으라는 왕명에 반대하여 종묘서 제조(宗廟署提調)가 되어, 이를 모시고 피란하여 보전케 했다. 박천(朴川)에 이르러 분조(分朝)의 계획이 서자 사옹원 제조(司甕院提調)로서 이천(伊川), 성천(成川) 등지에서 광해군(光海君)을 보좌했고, 이듬해 적군이 남쪽으로 퇴각하자 광해군을 따라 양호(兩湖)의 군사를 안무(按無)하는데 힘썼으나 적군이 계속 영남지방에 진을 치고 있음을 울분하던 끝에 이듬해 병사했다. 뒤에 충신효자 정문(忠臣孝子旌門)이 세워졌다.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추록(追錄), 절신군(節愼君)에 진봉(進封) *이원익(李元翼) 1547(명종 2)~1634(인조12) 조선의 문신. 자는 공려(公勵), 호는 오리(梧里), 시호는 문충(文忠), 익녕군(益寧君) 치(치:太宗의 아들)의 손자. 함천부수(咸川副守) 억재(億載)의 아들. 1564년(명종 19) 생원(生員)이 되고, 1569년(선조 2)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 부정자에 초임(初任), 저작(著作), 봉상시 직강(奉常寺直長) 등을 역임. 1573년 전적(典籍)으로 성절사(聖節使)의 질정관(質正官)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호조좌랑(戶曹佐郞)을 지내고, 이듬해 예조와 형조의 좌랑,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역임. 1575년 정언(正言)이 되었다. 다음해 지평(持平), 형조정랑, 1577년 예조정랑,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 헌납(獻納) 등을 거쳐 사간(司諫)에 오르고, 1582년 동부승지(同副承旨), 첨지중추부사,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역임했다. 이듬해 우부승지(右副承旨)로 도승지(都承旨) 박근원(朴謹元)의 죄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1587년(선조 20) 안주목사(安州牧使)에 기용되어 1591년 대사헌, 호조,예조,이조의 판서를 지내면서 도총관(都摠管),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겸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평안도 도순찰사가 되어 왕의 피란길을 선도하고 군사를 모아 적군과 싸웠다. 1593년 평양 탈환작전에 공을 세우고 평안도 관찰사로서 순찰사를 겸하다가 1595년 우의정에 오르고 제도 도체찰사(濟道都體察使), 영원수부사(領元師府事)를 겸직하여 작전의 대임을 맡았으며, 변무사(辨誣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1598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일본과 화의를 주장한 죄로 북인(北人)의 탄핵을 받아 삭직(削職)된 유성룡(柳成龍)을 변호하다 사직하고 은퇴했다. 이 해 영의정에 재임, 1600년 이항복(李恒福)이 사직하자 좌의정이 되고 4도 도체찰사로 나갔다가 병으로 사직, 이듬해 다시 3도 도체잘사가 되어 전후의 질서회복에 공헌, 1604년 호성공신(戶聖功臣) 2등으로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에 봉해졌다. 1608년(광해군 즉위) 영의정에 재임, 수차 사의를 표했으나 허락되지 않던 중 1615년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홍천(洪川)에 유배, 1619년 풀려나왔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영의정이 되고 인목대비(仁穆大妃)가 광해군의 처형을 명했으나 이에 반대하여 유배에 그치게 했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이 일어나자 도체찰사가 되어 세자를 전주에 시종, 이어 훈련도감 도제조를 지내고 치사(致仕)했다. 앞서 1608년 대동법(大同法)의 실시를 건의하여 경기, 강원도를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이를 실시. 불합리한 조세(租稅)제도를 시정하여 국민의 부담을 덜었고, 안주목사(安州牧使)로 있을 때 군병방수제도를 개혁, 1년에 3개월 복무를 2개월로 단축, 법제(法制)로 채택하게 했다.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남인(南人)에 속했으나 성품이 원만하여 정적(政敵)들에게도 호감을 받았고, 서민적(庶民的)인 인품으로서 오리정승(梧理政丞)이란 이름으로 많은 일화가 전한다. 인조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 여주(驪州)의 기천서원(沂川書院), 시흥(始興)의 충현서원(忠賢書院), 안주(安州)의 청천사(淸川祠)에 제향(祭享) *이신성(李愼誠) 1552(명종 7)~1596(선조 29) 조선의 학자. 자는 흔중(欣仲), 1579년(선조 12)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성균관유생(儒生)이 되어 이조판서 이이(李珥)가 동인(東人)들의 탄핵을 받자 동료 유생들을 이끌고 그의 신구(伸救)를 상소, 탄핵의 주동자인 송응개(宋應慨), 허봉(許篈), 박근원(朴謹元)등을 유배케 했다. 천거를 받아 참봉(參奉)을 거쳐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에 전임. 1592년 임진왜란에 왕을 호종(戶從)하여 개성(開城)에 이르러 상원군수(祥原郡守)인 동생이 봉양하던 모친이 전란으로 행방불명임을 듣고 사직, 모친의 시체를 찾아 장례를 치른 뒤 함열(咸悅)에 은거했다. *이성임(李聖任) 1555(명종 10)~? 조선의 문신. 자는 군중(君重), 호는 월촌(月村), 태조의 7대손, 형(浻)의 아들. 1577년(선조 10)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83년(선조 16)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이듬해 5월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었다. 1590년 담양부사(潭陽府使)가 되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도 관찰사에 순찰부사(巡察府使)로 전임. 민병(民兵) 8백명을 풀어 임진강(臨津江) 연안을 수비하고 경상우도 순찰사가 되었다. 패전하여 도망한 죄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한때 파직당했다가 1594년 황해도 관찰사에 올랐다. 문장과 글씨에 능했고 목소리와 용모가 아름다와서 필한(筆翰), 문사(文辭), 언어(言語), 가성(歌聲), 용모(容貌)를 합하여 오옥(五玉)으로 불리었다. * 이 욱(李 郁) 1558(명종 13)~1619(광해군 11) 조선의 문신. 자는 질부(質夫), 호는 팔계(八溪), 현감(縣監) 인건(仁健)의 아들. 성혼(成渾)의 문인. 1588년(선조 21) 천거로 봉선전 참봉(奉先殿參奉)이 되고, 돈령부(敦寧府)에 전직. 1592년 임진왜란 때 경상도에 있다가 이듬해 분호조좌랑(分戶曹佐郞)이 되어 가산(嘉山)의 병량 보급을 관할했다. 함흥 통판(咸興通判)을 거쳐 1608년(광해군 즉위) 대동법(大同法) 실시를 위해 선혜청(宣惠廳)이 설치되자 그 낭관(郎官)을 지내고, 1610년 봉산군수(鳳山郡守)가 되었다. 진주(晉州)의 충민사(忠愍祠)에 제향(祭享) *이성록(李成祿) 1559(명종 14)~? 조선의 문신. 자는 성지(成之). 1591년(선조 24)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600년 문학(文學), 정언(正言), 헌납(獻納)을 거쳐 이듬해 사예(司藝), 장령(掌令), 집의(執義)를 지내고, 1602년 파주목사(坡州牧使)로 있을 때 동인(東人)들의 탄핵으로 삭직(削職)되었다. 뒤에 기용되어 직강(直講)이 되고, 1609년(광해군 1) 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으로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지냈다. *이호의(李好義) 1560(명종 15)~? 조선의 문신. 자는 사의(士宜), 천경(天擎)의 아들. 1597년(선조 30) 진사(進士)로서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장원, 병조좌랑(兵曹佐郞), 정언(正言), 사서(司書), 지평(持平), 평안도 도사(平安道都事), 헌납(獻納), 장령(掌令), 통례원 상례(通禮院相禮)등을 지냈다. 1609년(광해군 1) 고부사(告訃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동부승지(同副承旨), 우승지(右承旨)를 거쳐 1615년 형조참판(刑曹參判), 1623년(인조 1) 양양부사(襄陽府使)가 되었다. 앞서 임진왜란으로 불 탄 왕조실록(王朝實錄)을 중간(重刊)할 때 부교리(副校理)로서 기주관(記注官)이 되어 참여했다. *이영윤(李英胤) 1561(명종 16)~1611(광해군 3) 조선의 화가. 자는 가길(嘉吉), 청성군(靑城君) 걸(傑)의 아들. 종친(宗親)으로 죽림수(竹林守)에 봉해졌다. 산수(山水), 우마(牛馬), 영모(영毛)를 잘 그렸다. *이 종(李 嵕) 1561(명종 16)~1594(선조 27) 조선의 의병장. 자는 자첨(子瞻), 군자감정(軍資監正) 언유(彦瑜)의 아들. 젊어서 무뢰배와 배회하다 25세 때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修學),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 북진하는 적군의 배후를 교란하며 싸웠으마 전염병에 걸려 죽었다. *이 구(李 구) 1561(명종 16)~1623(인조 1) 조선의 문신. 자는 사영(士瑩), 호는 이환(泥丸), 언순(彦詢)의 아들. 진사(進士)로서 1583년(선조 1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1615년(광해군 7) 대사헌이 되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삭호(削號)를 발의(發議)했다. 이듬해 병조판서에 오랐다가 1618년(광해군 10) 완창군(完昌君)에 봉해지고 우참찬(右參贊)에 승진,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폐모론(廢母論)의 원흉으로 지탄받아 주살(誅殺)되었다. *이성부(李聖符) ?~1624(인조 2) 조선의 무신. 자는 존중(存中), 시호는 충장(忠壯), 참봉(參奉) 문익(文益)의 아들. 1608년(광해군 즉위)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이어 비변사(備邊司)의 낭관(郎官)으로 상신(相臣) 이덕형(李德馨), 이항복(李恒福)의 공첩(公牒)을 맡아 처리했다. 그 후 만포진 첨절제사로 재직중 계축옥사(系丑獄事:1613)에 연루, 삭직(削職)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선봉장(先鋒將)으로 가담하여 품계(品階)가 올랐고,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에 우방어사(右防禦使)가 되어 좌방어사 이중로(李重老)와 함께 평산(平山)의 마탄(馬灘)에 진을 치고 적과 대전했으나 반군의 기습으로 패전, 물에 투신 자결했다. 병조판서에 추증(追贈), 충신정문(忠臣旌門)이 세워졌으며, 금천(金川)의 민충사(愍忠祠)에 제향(祭享) *이사홍(李士洪) ?~1613(광해군 5) 조선의 유생. 자는 양원(養源), 호는 창해(滄海), 광평대군(廣平大君)의 6대손. 1606년(선조 39) 생원시(生員試)에 합격, 유생(儒生)으로 일본 정벌을 주장하는 소(疎)를 올려 주목을 끌었다. 허균(許均), 박응서(朴應犀), 서양갑(徐羊甲) 등과 교유하다가 1613년 계축옥사(系丑獄事)에 연루, 사형되었다. *이억기(李億 ) 1561(명종 16)~1597(선조 30) 조선의 무신. 자는 경수(景受), 시호는 의민(毅愍), 필주군(泌洲君) 연손(連孫)의 아들. 어려서부터 무예에 뛰어나고 용맹하여 찬탄을 받았으며, 17세 때에 사복시 내승(司僕寺內乘)이 되고, 그 후 무과(武科)에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경흥부사(慶興府使), 온성부사(穩城府使)를 역임하면서 북방의 경비에 만전을 기했다. 1591년(선조 24) 순천부사(順天府使)를 거쳐 전라우도 수군절도사가 되고,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옥포(玉浦), 당포(唐浦), 안골포(安骨浦), 절영도(絶影島) 등의 해전에서 적의 병선(兵船)을 대파, 제해권(制海權)을 잡는데 크게 공헌했다. 이순신이 무고로 토옥되자 이항복(李恒福), 김명원(金命元) 등과 함께 그의 무죄를 주장, 구명에 앞장섰으며,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통제사(統制使) 원균(元均)의 휘하에서 좌익군(左翼軍)을 지휘, 용전하다가 칠천량(漆川梁) 싸움에서 크게 패하여 원균과 함께 전사했다. 난이 끝난 후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완흥군(完興君)으로 추봉(追封), 병조판서에 추증(追贈), 1600년 순천(順天)의 충민사(忠愍祠)에 이순신과 함께 제향(祭享) *이덕온(李德溫) 1562(명종 17)~? 조선의 문신. 자는 사화(士和), 호는 귀촌(龜村), 임영대군(臨瀛大君) 구(璆)의 현손. 뇌(雷)의 아들. 1585년(선조 18)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591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필선(弼善), 지평(持平), 사예(司藝), 장령(掌令)을 거쳐 1607년(선조 40) 우부승지(右副承旨)에 올랐다가 이듬해 광해군이 즉위하자 대북파(大北派)에 의해 관직이 삭탈(削奪)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관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가 성리학(性理學)에 몰두했다. *이유징(李幼澄) 1562(명종 17)~1593(선조 26) 조선의 문신. 자는 징원(澄源), 시호는 정민(貞敏), 판서 성중(誠中)의 아들, 1583년(선조 16)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90년 지평(持平)으로 증광별시(增廣別試)의 감독관이 되었으나 시험문제의 누설로 면직되었다. 이듬해 기용되어 예조정랑(禮曹正郞), 검열(檢悅)을 거쳐 수찬(修撰)이 되고, 사가독서(賜暇讀書)했다. 이어 이조좌랑(吏曹佐郞), 교리(校理)를 지내고, 1592년 임진왜란 때 왕을 평양(平壤)에 호종(扈從)하여 응교(應敎), 사간(司諫)을 거쳐 이듬해 의주목사(義州牧使)를 지냈다. 죽은 뒤 1604년(선조 37)에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완흥군(完興君)에 봉해졌고 이조판서에 추증(追贈) *이홍주(李弘胄) 1562(명종 17)~1638(인조 16) 조선의 문신. 자는 백윤(伯胤), 호는 이천(梨川), 시호는 충정(忠貞), 군수(郡守) 극인(克仁)의 아들. 1582년(선조 15) 진사(進士)가 되고, 1594년(선조 27)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史官)으로 뽑힌 후 1599년 예조의 좌랑(佐郞), 정랑(正郞)을 지냈다. 1612년(광해군 4) 의주부윤(義州府尹)으로 나갔다가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1618년 전라도 관찰사, 형조참의(刑曹參議)를 역임. 이 해 의주성(義州城)의 신축에 공을 세워 가자(加資)가 되었으나 병으로 사직, 1620년에 병조참판, 이어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도승지(都承旨)를 지내고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 도원수(都元帥) 장만(張晩)과의 연락이 두절되어 팔도 도원수(八道都元帥)가 되어 난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다. 1626년 우참찬(右參贊)으로 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임. 다음해 호태감 접반사(胡太監接伴使), 대사헌, 이어 전주부윤(全州府尹), 도승지, 1629년 병조와 예조의 판서를 역임. 1632년 인목대비(人穆大妃)가 죽자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로 국장도감(國葬都監) 서사관(書寫官)이 되고, 이듬해 병조판서를 지내고 판의금부사(判義禁府使)를 거쳐 1636년 우의정에 올랐다. 이 해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적진에 왕래하면서 화의를 교섭했으나 항복에는 끝까지 반대했다. 수차 사직하려 했으나 허락되지 않고 이듬해 영중추부사를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이춘영(李春英) 1563(명종 18)~1606(선조 39) 조선의 문신. 문장가. 자는 실지(實之), 호는 체소재(體素齋), 시호는 문숙(文肅), 윤조(胤祖)의 아들. 성혼(成渾)의 문인.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검열(檢閱)로 재직중 같은 서인(西人)인 정철(鄭澈)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유배될 때 이에 연루되어 삼수(三水)에 귀양갔다. 1592년 풀려나와 예조정랑(禮曹正郞)에 등용되고, 지평(持平), 장령(掌令)을 거쳐 봉상시 첨정(奉常時僉正)이 되었다. 시문에 능했으며 [해동사부(海東辭賦)]에 그의 시가(詩歌)가 수록되어 있다. 좌찬성(左贊成)에 추증(追贈) *이수광(李晬光) 1563(명종 18)~1628(인조 6) 조선의 문신. 학자. 자는 윤경(潤卿), 호는 지봉(芝峰), 시호는 문간(文簡), 병조판서 희검(希儉)의 아들. 1582년(선조 15) 진사(進士)가 되고, 1585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수찬(修撰), 지평(持平), 교리(校理)등을 거쳐 이조좌랑(吏曹佐郞)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경상우도 방어사 조경(趙儆)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전했으나 황간(黃澗)에서 패전한 뒤 의주(義州)에 왕을 따라가 부교리(副校理)가 되었다. 돌아와서 지평(持平), 예조참판(禮曹參判), 대사간, 대사헌을 역임. 1597년 형조참판(刑曹參判)으로 진위사(陳慰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대사성(大司成), 부제학(副提學), 안변부사(安邊府使)를 거쳐 광해군 초 첨지중추부사, 도승지(都承旨), 예조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다. 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系丑獄事)가 일어나자 사직하고 두문불출하다가 1616년 다시 등용되어 순천부사(順天府使)가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다시 도승지에 기용,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 대사간, 이조참판(吏曹參判)을 역임,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扈從), 돌아와서 좌,우참찬(左右參贊), 공조판서, 대사헌을 지내고 12조의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시무책(時務策)을 논했다.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에 다시 왕을 강화도로 호종했고 이듬해 이조판서가 되었다. 임진왜란을 전후해 수차 사신으로 명나라에 왕래, 당시 명나라에 와 있던 이탈리아 신부 맛테오릿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중우론(重友論)] 및 유변(劉변), 심인기(沈인奇)의 [속이담(續耳潭)]을 얻어와 1614년(광해군 6) [지봉유설(芝峰類說)]을 간행,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와 서양문물을 소개함으로써 실학(實學) 발전의 선구자가 되었다. 한편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명나라에 왔던 안남(安南), 유구(琉球), 섬라(暹羅) 등의 사신이 그의 글을 본국에 소개했다. 영의정에 추증(追贈), 순천의 청수서원(淸水書院)에 제향(祭享). *이수록(李綏祿) 1564(명종 19)~1620(광해군 12) 조선의 문신.자는 수지(綏之), 호는 동고(東皐), 밀성군(密城君) 침(琛)의 5대손, 첨정(僉正) 극강(克綱)의 아들. 1585년(선조 18) 진사(進士)가 되고, 이듬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93년 병조좌랑(兵曹佐郞), 1602년 사예(司藝), 정언(正言), 문학(文學)을 역임. 이 해 서북면 체찰사 이원익(李元翼)의 종사관(從事官)으로 활약했다. 이어 교리(校理), 응교(應敎)를 거쳐 이듬해 대동도 찰방(大同道察訪), 1605년(선조 38) 내자시정(內資寺正), 이듬해에 상주목사(尙州牧使)를 역임하였다. 광해군 때 수찬(修撰), 장령(掌令), 사인(舍人), 봉상시정(奉常寺正)을 지내다가 1417년(광해군 9) 페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에 반대,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가 이원익, 정엽(鄭曄) 등과 교유했다. 뒤에 여주목사(驪州牧使)에 임명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취임하지 않았다. *이형령(李亨齡) 1566(명종 21)~1614(광해군 6) 조선의 왕족. 자는 수원(壽元), 하원군(河原君) 정(鋥)의 아들. 1579년(선조 12) 익성정(益城正)에 봉해지고, 1592년 임진왜란 때 왕을 의주(義州)에 호종(扈從), 1596년 익성군(益城君)에 진봉(進封)되었다. 이 해 왕이 구하던 서적 수십권을 헌상하여 가자(加資), 그 서적이 약탈한 것이라는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았으나 왕의 두호로 무사했다. 1610년(광해군 2) 종1품에 올랐으며,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거제도(巨濟島)에 유배, 배소(配所)에서 죽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신원(伸寃)되고 유배된 아들들도 방환(放還)되었다. *이중계(李重繼) 1566(명종 21)~1619(광해군 11) 조선의 문신. 자는 술부(述夫), 호는 송파(松坡),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6대손, 부사직(副司直) 경림(景霖)의 아들. 1591년(선조 24)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가 되고 1609년(광해군 1) 호조정랑(戶曹正郞)으로 춘추관 기주관을 겸임하여 [선조실록(宣祖實錄)]편찬에 참여했다. 1615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618년 문학(文學), 헌납(獻納)을 거쳐 지평(持平)이 되었을 때 대북(大北)의 음모로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서궁(西宮)에 유폐당하자 이를 탄핵하다가 관직을 삭탈(削奪)당하고 은퇴했다. *이유홍(李惟弘) 1567(명종 22)~1619(광해군 11) 조선의 문신. 자는 대중(大仲), 호는 간정(艮庭),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후손. 현감(縣監) 정필(廷弼)의 아들. 1596년(선조 29)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주서(注書), 정언(正言), 병조정랑(兵曹正郞), 지평(持平) 등을 지내고, 1603년 평안도 암행어사(暗行御使)가 되었다. 이 해 영천군수(永川郡守)를 거쳐 이듬해 죽산부사(竹山府使)로 승진했고, 1606년 병조좌랑(兵曹佐郞)에 이어 부제학(副提學)이 되어 경연(經筵)에 참가했다. 이듬해 예조참의(禮曹參議), 병조참지(兵曹參知)를 지냈으나,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유영경(柳永慶)의 일당이라는 탄핵을 받고 강계(江界)에 유배되었다. *이정익(李廷翼) ?~1597(선조 30) 조선의 의병(義兵), 자는 군익(軍翼), 호는 죽와(竹窩), 임영군(臨瀛君) 구(璆)의 후손.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한호성(韓好誠)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유격장(遊擊將) 조경남(趙慶男)의 휘하에 들어가 방곡(旁谷)에서 적을 대파했으나 추격해 온 적의 응원부대와 교전중 전사했다. 지평(持平)에 추증(追贈), 구례(求禮)의 남전사(藍田祠)에 제향(祭享). *이의전(李義傳) 1568(선조 1)~1647(인조 25) 조선의 문신. 자는 의중(宜仲), 영의정 원익(元翼)의 아들. 31세 때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가 4현(縣), 5군(郡), 2부(府)를 다스리는 동안 가는 곳마다 치적(治績)을 올렸으며, 양근군수(楊根郡守) 때는 치행(治行)이 으뜸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고 재임(再任)했다. 완선군(完善君)을 습봉(襲封), 1647년 자헌대부(資憲大夫)가 되었다. *이구징(李久澄) 1568(선조 1)~1648(인조 26) 조선의 문신. 자는 징원(澄源), 호는 백촌(栢村), 좌승지(左承旨) 철(鐵)의 아들. 1591년(선조 24) 진사(進士)가 되고 1597년(선조 30)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을 거쳐 광해군 때 장령(掌令)이 되어 이항복(李恒福)의 처벌을 반대하다가 파직, 4년 후에 문천군수(文川郡守)가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내자시정(內資寺正)에 올랐다가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扈從), 돌아와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고, 고산(高山), 선산(善山), 청송(靑松)의 군수를 역임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다시 왕을 남한산성(南漢山城)에 호종, 이어 형조참의(刑曹參議), 동지중추부사 겸 부총관을 거쳐 공조참판(工曹參判)이 되고, 1647년 지중추부사로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이 충(李 沖) 1568(선조 1)~1619(광해군 11) 조선의 문신. 자는 거용(巨容), 호는 칠택(七澤), 양(樑)의 손자. 정빈(廷賓)의 아들. 1600년(선조 3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무장현감(茂長縣監)을 거쳐 1602년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1606년 성천부사(成川府使)로 나갔다. 이어 형조정랑(刑曹正郞), 상례(相禮), 광주목사(廣州牧使) 등을 거쳐 1609년(광해군 1) 사도시정(司導寺正)으로 춘추관 편수관을 겸직하여 [선조실로(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다. 이어 대간(臺諫)으로부터 간신의 손자라 하여 탄핵을 받고 나주목사(羅州牧使)로 좌천되었다가 1612년 전라도 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행대사간(行大司諫), 병조참판(兵曹參判), 1616년 선수도감 제조를 거쳐 다음 해 좌참찬(左參贊)에 승진, 이어 우찬성(右贊成)이 되고, 1618년 좌부빈객(左副賓客),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 등을 역임했다. 우의정에 추증(追贈). *이 명(李 溟) 1570(선조 3)~1648 신판 2009년 6월 8일 전주이씨 역대주요인물(全州李氏 歷代 主要人物) 이준양(李俊陽) ?~1146(의종 즉위) 고려의 문신. 전주의 말단 관리로 있다가, 1108년(예종 3) 녹사(錄事)로 여진 정벌에 공을 세웠다.1129년(인종 7) 전중감․추밀원 부사가 되고, 동지추밀원사, 상서․지추밀원사를 역임, 1132년 참지정사(參知政事)로서 문공인(文公仁)과 함께 서경(西京)에 가서 지세(地勢)를 살피고 천도론(遷都論)을 주장하는 묘청(妙淸)의 음모를 폭로했다. 뒤에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 이의방(李義方) ?~1174)(명종 4) 고려의 무신. 1170 년(의종 24) 산원(散員)으로서 견룡행수(牽籠行首)가 되어 정중부(鄭 仲◎夫 )․이고(李高) 등 무신과 함께 난을 일으켜 문신들을 학살했다. 이에 두려움을 느낀 의종으로부터 응양․용호군 중량장에 임명되었으며, 1171 년 명종을 즉위케 하여 대장군․전중감 겸 집주가 되고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올랐다. 1173 년(명종 3) 김보당(金甫當)의 난을 평정하여 위위경․홍위위 섭대장군․지병부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딸이 태자빈(太子嬪)이 됨으로써 부귀와 권세를 누리고 살육을 자행했다. 이해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토벌하기 위해 서경(西京)에 갔다가 패하고 돌아오는 길에 선의문(宣義門) 밖에서 정중부의 아들 균(筠)이 보낸 자객(刺客) 종참(宗旵)에게 살해되었다. 이준의(李俊儀) ?~1174(명종 4) 고려의 문신. 의방(義方)의 형. 1170 년(의종 24) 이의방이 정중부(鄭仲夫) 등과 함께 의종을 몰아내고 명종을 옹립하자 이듬해 좌승선․급사중(左承宣給事中)에 오르고 뒤에 위위 소경(衛尉少卿)이 되었으나, 문신들에 대해 지나치게 살육을 자행하는 동생 의방과 항상 의견이 대립되었다. 1174년 의방과 세력을 다투던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 사주를 받은 중() 종참(宗旵)에 의해 의방과 함께 살해당했다. 이원계(李元桂) 고려․조선시대 장군. 시호는 양평(襄平), 자춘(子春:桓祖)의 아들, 조선 태조의 이복형. 공민왕 초 내부령(內府令)이 되고, 1361년(공민왕10)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하자 안우(安祐)․김득배(金得培)의 휘하에 종군, 박주(博州)에서 승전하고 개경(開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워 1363년 2등공신에 책록되었다. 1380년(우왕6) 원수(元帥)가 되어 삼도 도순찰사 이성계(李成桂)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 많은 포로와 말 1천 6백여 필을 노획하였다.1388년 요동(遼東) 정벌 때 팔도도통사 조전원수로 이성계의 막료가 되고, 1392년 조선 건국 후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지고 개국공신(開國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이서림(李瑞林) ?~1213(강종2) 고려의 문신. 자는 비민(庇民), 검교태자첨사 언균(彦均)의 아들. 17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수년 후 문과(文科)에 급제, 안변도호부 판관 겸 장서기․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을 지냈다. 경사(經史)에 정통했으며, 특히 글씨에 능하여 이름을 떨쳤다. 이 영(李 寧) 고려의 화가(畵家). 내전숭반(內殿崇班) 이준이(李俊異)에게 사사(師事), 그림에 뛰어나 인종과 의종의 총애를 받고 내합(內閤)의 그림에 관한 모든 일을 주재했다. 인종 때에 추밀사(樞密使) 이자덕(李資德)을 다라 송나라에 들어가서 송나라 휘종(徽宗)의 명으로 ⌈예성강도(禮成江圖)⌋를 그려 바치고 포상(褒賞)받았다. 뒤에 송나라 상인(商人)이 인종에게 그림을 바치자 중화(中華)의 기품(奇品)을 얻었다 하여 왕은 그를 불러 자랑하자 작품을 본 그는 그것이 자기 작품이라 했으나, 왕이 믿지 않다가 뒷면에 씌어 있는 그의 서명을 보고 감탄했다 한다. 이광필(李光弼) 고려의 화가. 화가 영(寧)의 아들. 문신들이 지은 소상팔경(0湘八景)의 부(賦)에 따라 그림을 그리는 등, 명종과 함께 종일 그림만 그림으로써 명종으로 하여금 나랏일까지 잊게 만들었다. 이양우(李良祐) ?~1417(태종17) 조선시대 문신. 시호는 안소(安昭), 원주(元柱)의 아들, 태조의 조카. 1398년(태조7) 제 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으로 영안군(寧安君)에 봉해졌고 1403년(태종3)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가 되었다.1409년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12년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에 진봉(進封)된 후 품계가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이르렀다. 이천우(李天祐) ?~1417(태종17) 조선시대 문신. 시호는 양도(襄度), 원계(元桂)의 아들,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조카. 1369년(공민왕18) 야인(野人) 동녕부(東寧府)의 수령으로 있다가 이성계의 휘하에 들어가 여러번 왜구를 토벌했고, 1392년(태조1)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웠다. 1394년 상의중추원사가 되고 2년 후 강원도 조전절제사를 거쳐 1398년 동지중추원사가 되었으며, 이 해 제 1차 왕자의 난에 방원(芳遠: 太宗)을 도와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으로 완산후(完山侯)에 봉해졌다.1400년(정종20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거쳐 지삼군부사(知三郡府事)로 제 2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 2등이 되고 안주 도절제사를 지낸 후 1403년(태종3) 완산군(完山君)에 개봉(改封)되었다. 판사평부사(判司平府事)를 지내고 1407년 정조부사(正朝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의정부 찬성사에 오르고, 1409년 병조판서로서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가 신설되자 도진무도총제를 겸했다. 그후 판의흥부사(判義興府事)에 이어 다시 찬성사가 되어 판의용순금사사를 겸임, 1413년 이조판서가 되어 서북면 도제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진봉(進封)되고, 영광(靈光)의 무장영당(畝長影堂)에 제향(祭享). 이 숙(李 淑) 1368(공민왕 170~1406(태종6) 조선시대 문신. 시호는 제의(齊懿), 이성계(李成桂)의 이복 동생인 의안대군(義安大君) 화(和)의 아들. 이성계가 즉위하자 응양위 전령장군이 되고, 1398년(태조7) 우부승지(右副承旨)에 이어 우승지(右承旨)가 되고, 1400년(정종20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졌다. 1401년(태종1) 좌명공신(佐命功臣) 3등이 되고, 1405년(태종5) 찬성사(贊成事)에 올랐다가 대간(臺諫)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이정은(李貞恩) 조선시대 왕족. 자는 정중(正中), 호는 월호(月湖)․설창(雪窓)․남곡(嵐谷), 태종의 손자, 익녕군(益寧君) 치(0)의 아들. 수천부정(秀川副正)에 봉해졌다가 후에 수천도정(秀川都正)에 진봉(進封)됭었으며, 종친부 도정(宗親府都正)을 지냈다.음률(音律)이 뛰어나고 시(詩)에 능했다. 이경동(李瓊仝) 조선시대 문신. 자는 여옥(如玉), 호는 추탄(楸灘), 달신(達信)의 아들. 1461년(세조7) 진사(進士)로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 대교(待敎)를 거쳐 선전관(宣傳官)을 지냈다.1479년(성종10)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이 해 우승지(右承旨)가 되어 왕비(王妃) 윤씨(尹氏)의 폐위(廢位)를 극력 반대하다가 투옥되었다. 뒤에 석방되어 1486년 대사헌이 되고, 예조참판․병조참판․동지중추부사․동지경연사 등을 역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앞서 성종의 윤비(尹妃: 燕山君의 生母) 페위 때 승지(承旨)였다 해서 유배되었다. 이사철(李思哲) 1405(태종50~1546(세조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성지(誠之), 시호는 문안(文安), 난(蘭)의 아들. 1432년(세종14) 문과(文科)에 급제,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등용되고, 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동부승지(同副承旨)를 역임, 1448년(세종30) 도승지(都承旨)로 ⌈선원록(0源錄)⌋ ⌈종친록(宗親錄)⌋ ⌈유부록(類附錄)⌋을 개수(改修)했고, 이어 이조와 예조의 판서를 지냈다. 1452년(단종 즉위) 사은사(謝恩使0 수양대군(首陽大君)의 부사(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이듬해 우참찬(右參贊)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하는 데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이 되었다. 1455년 좌찬성(左贊成)에 오르고, 이 해 세조가 즉위하자 좌의정이 되어 좌익공신(佐翼功臣) 2등으로 견성부원군(甄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이 총(李 摠) ?~1504(연산군10) 조선시대 문신. 자는 백원(百源), 호는 서호주인(西湖主人)․구로주인(鷗鷺主人)․월창(月牕), 시호는 충민(忠愍), 태종의 증손으로 무풍부정(茂豊副正)에 봉해졌다. 1498년(연산군4) 무오사화(戊午史禍)로 유배되었다가 1504년(연산군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7부자가 함께 사형당했다. 남효온(南孝溫)․손유손(孫裕孫) 등과 함께 청담파(淸談派)의 중심인물로 시문(詩文)에 능하고, 필법(筆法)이 뛰어났다. 시조(詩調) 약간이 전한다. 이유녕(李幼寧) ?~1504(연산군10) 조선시대 문신. 조선 제 3대 왕 태종(太宗)의 5세손, 주계군(朱溪君) 심원(深源)의 아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문과(文科)에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 뒤에 이조 좌랑(吏曹佐郞)․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역임했다. 1504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에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참형(斬刑)당했다. 이 목(李 穆) 1471(성종20~1498(연산군4) 조선시대 문신. 자는 중옹(仲雍), 호는 한재(寒齋), 시호는 정간(貞簡), 개국공신(開國功臣) 백유(伯由)의 후손, 윤생(閏生)이 되어 왕대비(王大妃)가 성균관에 음사(淫祠)를 설치하여 무당을 부르자 이를 쫓아냈으며, 한편 유생을 이끌고 윤필상(尹弼商)을 탄핵하다가 공주(公州)에 부처(付處)되었다. 뒤에 풀려나와 1495년(연산군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고, 전적(典籍)으로 종학 사회(宗學司誨)를 겸하고, 이어 영안도 평사(永安道評事)가 되었다. 1498년(연산군40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윤필상(尹弼商)의 모함을 받고 김일손(金馹孫)․권오복(權五福) 등과 함께 사형되었다. 갑자사화(甲子士禍: 1504) 때 다시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뒤에 신원(伸寃), 이조판서에 추증(追贈), 공주(公州)의 충현서원(忠賢書院)에 제향(祭享). 이세장(李世璋) 1497(연산군30~1562(명종17) 조선시대 문신. 자는 도성(道盛), 호는 금강(錦江)․어수(漁叟), 평사(評事) 목(穆)의 아들. 1516년(중종11) 진사가 되고, 1534년(중종29)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정자(正字)․지평(持平)․교리(校理)․장령(掌令) 등을 지냈다. 1541년 큰 흉년이 들자 지방관들의 구제사업을 독찰(督察)하기 위해 함경도 암행어사로 나갔고, 이듬해 집의(執義)․부응교(副應敎)․시강관(侍講官)․전한(典翰) 등을 역임, 1545년(명종 즉위) 사인(舍人)에서 직제학(直提學)에 승진,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수관(編修官)을 겸했다.1549년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우승지(右承旨)가 되고, 이후 예조참의(禮曹參議)․도승지(都承旨)․호조참의(戶曹參議)를 거쳐 1552년 강원도 관찰사가 되고, 1544년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좌천되었으나 양사(兩司)의 상소로 다시 호조참의가 되었으며, 1557년 호분위 대호군에 보직되었다. 명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이희손(李希孫) 1497(연산군3)~1566(명종21)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공망(公望), 수남(壽男)의 아들. 1531년(중종26) 생원(生員)이 되고 1533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을 거쳐 1555년(명종10)에 광주 목사(光州牧使)가 되었다. 이 해 왜구(倭寇)가 남해안에 침입하자, 강진현(康津縣)을 지키라는 명을 받았으나 왜구를 막지 못하여 제주(濟州)에 장류(杖流)되었다.1556년 왜구가 제주를 침략할 때 종군(從軍)하여 공을 세워 용서받고, 뒤에 오위장(五衛將)․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했다. 이 의(李 艤) 조선시대 학자. 자는 의지(艤之), 시호는 장민(長敏), 정종의 4대손 백성군(栢城君) 수원(守源)의 아들. 계림 부수(桂林副守)에 봉해졌으며, 1502년(연산군8) 시예(試藝)에 장원하여 명선대부(明善大夫)에 올랐다.1506년 돈령부 도정(敦寧府都正), 1531년(중종26) 계원군(桂原君)에 진봉(進封)되었다. 이상좌(李上佐) 조선시대 화가. 자는 공우(公祐), 호는 학포(學圃), 본래 어느 선비의 노복(奴僕)이었으나 그림에 뛰어나 중종의 특명으로 도화서(圖畵署)에 보직되었다. 특히 산수(山水)와 인물(人物)에 뛰어났고 북종화풍(北宗畵風)의 그림을 그렸다. 중종이 죽자 그 초상을 그렸고, 1546년(명종1) 공신들의 초상을 그림으로써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고 아들 흥효(興孝)도 군직(軍職)에 등용되었다. 이 식(李 拭) 1500(연산군6)~1587(선조20) 조선시대 문신. 자는 청지(淸之), 호는 손암(損菴)․외암(畏菴), 승상(承常)의 아들. 1553년(명종8)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검열(檢閱)이 되고 1559년 병조 좌랑(兵曹佐郞), 다음해 수찬(修撰)․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역임했다.1562년 문학(文學)․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내고 검상(檢詳)․집의(執義)․사간(司諫)을 거쳐 1565년(명종20) 홍문관 직제학이 되었다.다음해 동부승지(同副承旨)․우승지(右承旨)․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이어 1570년(선조30 대사간을 역임, 대사헌을 거쳐 이조 참의를 지낸 후 행호군(行護軍)에 이르렀다. 이중호(李仲虎) 1512(중종70~1554(명종9) 조선시대 학자. 자는 풍후(風后), 호는 이소재(履素齋), 시호는 문경(文敬),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현손, 고양 부정(高陽副正) 억손(億孫)의 서자(庶子) 유우(柳藕)의 문인.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김안국(金安國)의 절찬을 받았으며, 동몽 훈도(童蒙訓導)를 거쳐 1554년 사과(司果)가 되었다. 시문(詩文)에 뛰어났다. 이희검(李希儉) 1516(중종11)~1579(선조12)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질(景質), 호는 동고(東皐)․국재(菊齋), 경녕군(敬寧君) 비(裶)의 현손(玄孫), 수광(晬光)의 아버지. 1546년(명종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학유(學諭)․정랑(正郞)․교리(校理) 등을 역임, 승지(承旨)․오위장(五衛將)을 거쳐 사간(司諫)에 이르렀다. 이때 왕실의 인척임을 기화로 횡포를 부리는 이양(李0)을 탄핵했다가 도리어 장단부사(長湍府使)로 좌천, 1572년(선조5) 진하부사(進賀副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우승지(右承旨)․병조참의(兵曹參議)․대사헌, 호조와 형조 및 병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냈다. 이충작(李忠綽) 1521(중종16)~1577(선조10) 조선시대 문신. 자는 군정(君貞), 호는 낙빈(洛濱)․졸암(拙庵), 임영대군(臨瀛大君)의 후손, 당은 부수(唐恩副守) 휘(徽)의 아들. 직산(稷山) 출신. 1559년(명종14)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562년 저작(著作)으로 재직중 효행(孝行)으로 형조 좌랑(刑曹佐郞)에 특진되고, 장령(掌令) 때 중 보우(普雨)의 죄상을 논핵했다가 제주도(濟州島)에 유배되었다.후에 승지(承旨)를 거쳐 충청도 관찰사에 이르렀다. 시(詩)에 능했고,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가 죽자 통곡하다가 눈이 멀기까지 했다. 이 구(李 球) ?~1573(선조6) 조선시대 학자. 자는 숙옥(叔玉), 호는 연방(蓮坊), 왕족으로서 종성령(鍾城令)에 봉해지고 엄용공(嚴用恭)․윤정(尹鼎)에게 학문을 배우다가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 들어가 그의 학문을 계승, 기일원론(氣一元論)을 발전시켰으며 심무체용론(心無體用論)을 주창했다. 당시에 가장 조선시대 전통적인 특색을 발휘한 학자로 알려졌다. 이헌국(李憲國) 1525(중종20)~1602(선조350 조선시대 문신. 자는 흠재(欽哉), 호는 유곡(柳谷), 수창 부정(壽昌副正) 칭(秤)의 아들. 1551년(명종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75년(선조80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고 1578년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도승지(都承旨)로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1590년 평난공신(平難功臣) 3등이 되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조판서로 세자(世子)를 강계(江界)에 호종(扈從), 이듬해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이 되어싿.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란亂) 때는 좌참찬(左參贊)으로 김시헌(金時獻) 등과 복수군(復讎軍)을 조직했으며, 1599년 우의정을 거쳐 이듬해 좌의정에 올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가 1601년 병으로 사직했다.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록(策錄)되고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으로 추봉(追封)되었다. 이숭효(李崇孝) 조선 선조 때의 화가. 자는 백달(伯達), 배련(陪連)의 아들. 그림의 명문(名門) 출신으로 조부․아버지․아들 4대에 걸쳐 그림에 능숙했다. 유작으로 ⌈귀어도(歸漁圖)⌋가 덕수궁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영신(李榮臣) 1532(중종27)~1592(선조250 조선시대 문신. 자는 응인(應仁), 주부(主簿) 길(佶)의 아들. 1561년(명종160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제원도 찰방(濟源道察訪)․사근도 찰방(沙斤道察訪)을 역임, 음성 현감(陰城縣監)을 거쳐 1592년 함열 현감(咸悅縣監)에 임명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부임하지 못하고 철원(鐵原)에서 적군에게 사살되었다. 이양중(李養中0 1525(중종20)~?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공호(公浩), 호는 서천(西川), 계양군 증(0)의 현손(玄孫), 금천 부수(錦川副守) 감(瑊)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 1567년(명종22) 생원(生員)이 되고, 1572년(선조5)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史官)에 뽑히고, 1574년 봉교(奉敎)․전적(典籍), 1578년 병조 정랑(兵曹正郞), 1583년 사간(司諫), 1585년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역임, 이듬해 의주 목사(義州牧使)가 되었다. 이희득(李希得) 1525(중종20)~1604(선조37) 조선시대 문신. 자는 덕부(德夫0, 호는 하담(荷潭), 판서 희검(希儉)의 동생. 1572년(선조50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83년 사간(司諫), 1587년 대사간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북도 순검사(北道巡檢使)가 되고, 그후 이조참판(吏曹參判)을 거쳐 1604년(선조37)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이경록(李慶祿) 1533(중종28)~1599(선조30 조선시대 문신. 오위장(五衛將) 간(幹)의 아들. 1576년(선조9)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여러 벼슬을 거쳐 1587년 고성 현령(固城縣令)에서 경흥 부사(慶興府使)로 승진, 오랑캐가 녹둔도(鹿屯島)를 침공하자 조산 만호(趙山萬戶) 이순신(李舜臣)과 함께 이를 격퇴했으나, 피해가 많았기 때문에 처벌을 받고 백의종군(白衣從軍)했다. 이듬해 다시 오랑캐의 침입에 선봉에서 용전한 공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가 되고, 이어 1592년 나주 목사(羅州牧使)가 되어 7년간 재직하는 동안 많은 치적을 올렸다. 이 휘(李 徽) ?~1594(선조27) 조선시대 왕족. 자는 사미(士美), 은계군(銀溪君) 말숙(末叔)의 아들. 시예과(試藝科)에 장원, 원천군(原川君0에 봉해졌다.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총부 도총관으로 서울의 수비를 담당, 의주(義州) 행재소(行在所)에 이르러 명(明)나라 신종(神宗)의 조칙(詔勅)을 맞이하는 의례(儀禮)를 주선하고 세자를 호종(扈從)했다. 이양원(李陽元) 1533(중종28)~1592(선조25) 조선시대 문신. 자는 백춘(伯春), 호는 노저(鷺渚)․남파(南坡), 시호는 문헌(文憲), 선성군(宣城君: 定宗의 아들)의 후손, 학정(鶴丁)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 1555년(명종10) 진사(進士)가 되고, 이듬해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에 초임(初任)된 뒤 저작(著作)을 거쳐 1563년 호조참의(戶曹參議)가 되었다. 이해에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의 사장관(書狀官)으로서 명나라에 들어가 객사한 정사(正使) 김주(金澍)를 대신하여, 명나라의 ⌈태조실록(太祖實錄)⌋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가 고려의 이인임(李仁任)으로 오기(誤記) 된 것을 바로잡고 돌아와 그 공으로 가자(加資)되었다. 평안․충청․경기도 등 3도의 관찰사, 형조판서․대제학․대사헌 등을 역임, 1590년(선조230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 3등이 되고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에 봉해진 후 이듬해 우의정에 승진했다.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도대장(留都大將)으로 한강을 지키다가 양주(楊洲)로 철수, 분군(分軍)의 부원수 신각(申恪)과 함경도 병마절도사 이혼(李渾) 등의 군사와 합세하여 해유치(0踰峙)에 주둔, 적군을 맞아 크게 승리한 후 영의정에 올랐다.이때 의주(義州)에 피란 중이던 선조가 요동(遼東)으로 건너가 내부(內附)했다는 와전된 소문을 듣고 통분히 여겨 단식(斷食) 8일 만에 졸하였다.시문(詩文)에도 능했으며 시조(時調)가 전해진다. 이종인(李宗仁) ?~1593(선조26) 조선시대 무신. 자는 인언(仁彦), 병마절도사 귀침(龜琛)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하(門下)에서 수학(修學), 후에 무예를 익혀 무과(武科)에 급제, 1583년(선조16) 군관(軍官)으로 이제신(李濟臣)의 반란을 토평하는 데 종군, 그후 복방 수비에 여러번 공을 세웠다.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이듬해 김해 부사(金海府使)로서 진주성(晋州城)이 왜군에게 포위되자, 전라도 관찰사 황진(黃進) 등과 함께 성을 방어, 끝까지 용전했으나 성이 함락당하게 되자 적병을 한 명씩 양팔에 끼고 남강(南江)에 뛰어들어 순국했다.호조판서에 추증(追贈), 진주의 충민사(忠愍祠)에 제향(祭享). 이의건(李義健) 1533(중종28)~1621(광해군13) 조선시대 문인. 자는 의중(宜中), 호는 동은(峒隱), 세종의 6대손, 배천 군수(白川郡守) 수한(守漢)의 아들. 1564년(명종19)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시명(詩名)을 떨치고, 당시의 명현(名賢)들과 교유(交遊)했다.뒤에 학행(學行)으로 돈령부 직장(敦寧府直長)이 되었으나 친상(親喪)으로 한때 사직, 1610년 이항복(李恒福)의 천거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이 되고, 이어 공조 정랑(工曹正郞)에 올랐으나 사퇴했다. 글씨에도 뛰어났다. 광주(廣州)의 수곡서원(秀谷書院), 영평(永平)의 옥병서원(玉屛書院)에 제향(祭享). 이 노(李 0) 15369중종31)~1614(광해군6) 조선시대 문신. 자는 홍재(弘載), 호는 동진(東津), 양녕대군(讓寧大君)의 6대손, 원우(元友)의 아들. 1558년(명종13)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567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예조 좌랑(禮曹佐郞)․지평(持平)․헌납(獻納)을 거쳐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된 후 사관(史官)으로 발탁되었다. 1581년(선조140 장령(掌令), 뒤에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1596년 호조참판(戶曹參判) 때 진향사(進香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 경기도 관찰사를 지내고, 형조․공조의 판서를 역임, 판돈령부사(判敦寧府事)에 이르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이충원(李忠元) 1537(중종32)~1605(선조38) 조선시대 문신. 자는 원보(元甫)․원포(圓圃), 호는 송암(松菴)․여수(驪叟), 시호는 충헌(忠憲),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현손(玄孫). 1566년(명종21)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 수찬(修撰)을 지내고, 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때 형조 참의(刑曹參議)로 왕을 호종(扈從), 돌아와 형조참판(刑曹參判)에 특진되었다.그후 첨지중추부사․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역임,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완양부원군(完陽府院君)에 봉해졌으며, 그 후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글씨에도 뛰어났다. 이흥효(李興孝) 1537(중종32)~1593(선조26) 조선시대 화가. 자는 중순(仲順), 배련(陪連)의 아들. 화원(畵員)으로 명종의 초상화(肖像畵)를 그려 군직(軍職)에 보직, 벼슬이 수문장(守門將)에 이르렀다. 이물화에 능했다. 이 빈(李 蘋) 1537(중종32)~1603(선조36) 조선시대 무신. 자는 문원(聞遠), 왕족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4손. 1570년(선조3) 무과(武科)에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회령 부사(會寧府使)가 되었다.1592년 임진왜란 때 경상좌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충주(忠州)에서 신입(申o)의 휘하에 들어가 싸웠으나 패전, 도원수(都元帥) 김명원(金命元)의 휘하에서 임진강(臨津江)을 방어중 다시 패하고 평안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평양을 방위했다. 성이 함락되자 관찰사 이원익(李元翼)을 따라 순안(順安)에서 북상하는 적과 싸우고 명나라 장군 이여송(李如松)과 함께 평양을 탈환한 후, 이듬해 순변사(巡邊使)가 되어 권율(權慄)과 함께 파주산성(坡州山城)을 수비했다. 왜병이 서울에서 철수하자 상주(尙州)까지 추격, 많은 전공을 세웠고, 남원(南原)이 전략적으로 더 중요한 곳이라 하여 포위된 진주성(晋州城)을 구원하라는 명령에 불복한 탓으로 한때 대죄종군(戴罪從軍)했다. 1594년 경상도 순변사에 복직, 이듬해 상부와의 의견 대립으로 물러났다가 임진왜란이 평정된 후 포도 대장(捕盜大將)에 임명되었으나 연로(年老)를 이유로 사퇴했다. 이 축(李 軸) 1538(중종33)~1614(광해군6)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임(子任), 호는 사촌(沙村), 시호는 안양(安襄),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현손(玄孫), 희남(希男)의 아들. 1576년(선조9)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보직되고 그후 여러 벼슬을 거쳐 1589년(선조22)안악군수(安岳郡守)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모반을 꾀하자 이를 탐지, 조정에 보고한 공으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으로 승진했다. 이듬해 평난공신(平難功臣) 1등으로 완산군(完山郡)에 봉해지고 공조참판(工曹參判)이 되었다. 그후 형조판서․우참찬(右參贊)을 역임, 1592년 임진왜란 때는 건의대장(建義大將) 심수경(沈守慶)의 부장(副將)으로 의병을 지휘했다. 서기1594년 진휼(賑恤使)로 난국 수습에 공헌, 1611년(광해군3)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진봉(進封)되었다. 영의정에 추증(追贈). 이성중(李誠中) 1539(중종34)~1593(선조26)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공저(公著), 호는 파곡(坡谷), 시호는 충간(忠簡), 계양군(桂陽君) 증(o)의 현손, 금천 부수(錦川副守) 감(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이황(李滉)의 문인. 1558년(명종13) 진사(進士)가 되고, 1570년(선조3)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74년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승문원(承文院) 벼슬에 등용되었다. 이어 사관(史官)이 되었다가 1576년 지평(持平)을 지내고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1587년 부제학(副提學), 1591년 충청도 관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수어사(守禦使)로 왕을 호종(扈從), 의주(義州)에 이르러 호조판서가 되었고, 1593년 군량조달을 맡고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영남에 내려가 대군(大軍)의 군량미를 보급, 그후 전란의 뒷수습을 하다 과로로 졸하였다.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추봉(追封), 영의정에 추증(追贈). 이 철(李 鐵) 1540(중종35)~1604(선조37) 조선시대 문신. 자는 강중(剛中), 관찰사 세장(世璋)의 아들. 1582년(선조15)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 부정자가 되고, 1592년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義州)에 호종(扈從), 돌아와 양양 부사(襄陽府使)에 올랐다. 1594년 지평(持平)․장령(掌令) 등을 거쳐 이듬해 수찬(修撰)을 지내고 1596년 집의(執義)․동부승지(同副承旨)․좌부승지(左副承旨)를 역임하고, 1598년 형조참의(刑曹參議), 다음해 호조참의․우승지(右承旨)를 지냈다. 1603년(선조36) 예조참의로 사은겸 천추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追贈). 이경중(李敬中) 1543(중종38)~1585(선조18)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공직(公直), 호는 단애(丹崖), 계양군(桂陽君) 증(贈)의 4대손. 이황(李滉)의 문인. 1568년(선조1) 성균관(成均館) 유생(儒生)이 되었으며, 1570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74년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가 되었다. 이어 저작(著作)․정언(正言) 등을 역임하고, 1581년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계속 높이 등용되면 장차 후환이 있을 것을 예측(豫測), 그를 극력 배척하다가 논핵(論劾)을 당했다. 뒤에 응교(應敎)를 거쳐 1584년 집의(執義)에 이르렀으나 대사헌 정철(鄭澈)의 시기를 받고 경상도 추쇄어사(推刷御史)로 나가 밀양(密陽)에서 병사했다. 1589년의 정여립의 모반이 일어난 뒤 그의 예측이 사실화 됨으로써 유성룡(柳成龍)의 상소로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追贈)되었다. 이 준(李 準) 1545(인종1)~1624(인조2) 조선시대 문신. 자는 평숙(平叔), 호는 뇌진자(o眞子)․서파(西坡), 시호는 숙헌(肅憲),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후손. 1568년(선조10)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주서(注書)․정언(正言)․헌납(獻納)․의주 목사(義州牧使) 등을 지냈다. 1589년(선조22)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1590년 평난공신(平難功臣) 2등으로 전성군(全城君)에 봉해지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운향사(運餉使)가 되어 명군(明軍)의 군량조달을 맡았으나 병(病)을 핑계로 은거했다.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춘천 부사(春川府使)․예조참판(禮曹參判)․병조참판을 지내고 1600년(선조33)에 대사간으로 홍여순(洪汝諄)의 일파로 몰려 한때 파직, 그후 안동 부사(安東府使)․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거쳐 광해군 때 좌참찬(左參贊)․형조판서․공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615년(광해군7)에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가 되었다. 이조판서에 이르렀으나 대북(大北)의 난정(亂政)으로 은퇴했다. 영의정에 추증(追贈). 이경윤(李慶胤) 1545(인종1)~? 조선시대 화가. 자는 수길(秀吉), 호는 낙파(駱坡)․낙촌(駱村)․학록(鶴麓), 청성군(靑城君) 걸(傑)의 아들. 처음 학림수(鶴林守)에 봉해졌다가 후에 학림정(鶴林正) 에 진봉되었다. 특히 산수화(山水畵)에 뛰어났고, 인물(人物)․영모(o毛)․우마(우(牛)마(馬))를 잘 그렸으며 모두 색감과 정취가 뚜렷했다. 이직언(李直彦) 1545(인종1)~1628(인조6) 조선시대 문신. 초명은 시언(詩彦), 자는 군미(君美), 호는 추천(秋泉),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5대손, 형(泂)의 아들. 1573년(선조6)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576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갑과(甲科)로 급제, 전적(典籍)․호조 좌랑(戶曹佐郞)․호조 정랑(戶曹正郞)․지평(持平)․사성(司成)을 역임하고 평산 군수(平山郡守)로 나갔다가 1589년 사직했다. 그후 상의원정(尙衣院正)을 거쳐 태복시정(太僕寺正)을 지내고 강릉 부사(江陵府使)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뒤에 장령(掌令)․사재감정(司宰監正)을 거쳐 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때 통어사(統禦使)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었다가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사예(司藝)에 보직되고, 이어 헌납(獻納)․장령(掌令) 등을 역임한 뒤 명나라에 가서 군량미의 원조를 청했다. 이듬해 사간(司諫)으로 경상도 진휼어사(賑恤御使)가 되어 백성을 선유(宣諭), 돌아와 ⌈시사팔조(時事八條)⌋를 상소하여 척화(斥和)를 주장했으며 이 때 정철(鄭澈)의 죄를 추론(追論)하는 의론이 일어나자 이를 반대하여 파직되었다.1596년 해주 목사(海州牧使)에 기용, 이어 인천(仁川)․수원(水原) 등을 다스리고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1601년 승지(承旨)에 올라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뒤에 여주 목사(驪州牧使)․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역임하며 치적을 쌓아 경기도 관찰사로 승지, 1605년(선조38)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전직했다. 1609년(광해군1) 대사헌이 되었으나 이해 임해군(臨海君)의 옥사(獄事)로 사직, 1612년(광해군4)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가 되었으나 곧 사퇴, 이듬해 계축옥사(癸丑獄事)가 일어나자 은퇴했다. 서기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우참찬(右參贊)에 기용되고, 1627년(인조5)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우찬성(右贊成)으로 임금을 강화(江華)에 호종(扈從), 척화(斥和)를 주장했다. 이수곤(李壽崑) 1546(명종1)~1594(선조27)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로(景老), 시호는 충효(忠孝), 임영대군(臨瀛大君) 구(o)의 증손, 신성군(信城君) 후(珝)의 아들. 절신정(節愼正)에 봉해지고 1592년의 임진왜란 때 북으로 피란하는 왕을 따라 개성(開城)에 이르러, 묘사(廟社)의 신주(神主)를 그곳 목청전(穆淸殿)에 묻으라는 왕명에 반대하여 종묘서 제조(宗廟署提調)가 되어, 이를 모시고 피란하여 보전케 했다. 박천(朴川)에 이르러 분조(分朝)의 계획이 서자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로서 이천(伊川)․성천(成川) 등지에서 광해군(光海君)을 보좌했고, 이듬해 적군이 남쪽으로 퇴각하자 광해군을 따라 양호(兩湖)의 군사를 안무(按撫)하는데 힘썼으나 적군이 계속 영남지방에 진을 치고 있음을 울분하던 끝에 이듬해 병사했다. 뒤에 충신효자 정문(忠臣孝子旌門)이 세워졌다.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추록(追錄), 절신군(節愼君)에 진봉(進封). 이원익(李元翼) 1547(명종2)~1634(인조12)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공려(公勵), 호는 오리(梧里), 시호는 문충(文忠), 익녕군(益寧君) 치(o:太宗의 아들)의 손자, 함천 부수(咸川副守) 억재(億載)의 아들. 1564년(명종190 생원(生員)이 되고, 1569년(선조2)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 부정자에 초임(初任), 저작(著作)․봉상사 직장(奉常寺直長) 등을 역임, 1573년 전적(典籍)으로 성절사(聖節使)의 질정관(質正官)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내고, 이듬해 예조와 형조의 좌랑,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역임, 1575년 정언(正言)이 되었다. 다음해 지평(持平)․형조 정랑, 1577년 예조정랑․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 헌납(獻納) 등을 거쳐 사간(司諫)에 오르고, 1582년 동부승지(同副承旨)․첨지중추부사․호조참의(戶曹參議)를 역임했다. 이듬해 우부승지(右副承旨)로 도승지(都承旨) 박근원(朴謹元)의 죄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1587년(선조20) 안주 목사(安州牧使)에 기용되어 1591 대사헌, 호조․예조․이조의 판서를 지내면서 도총관(都摠管)․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겸했다.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평안도 도순찰사가 되어 왕의 피란길을 선도하고 군사를 모아 적군과 싸웠다. 1593년 평양 탈환작전에 공을 세우고 평안도 관찰사로 순찰사를 겸하다가 1595년 우의정에 오르고 제도 도체찰사(諸道都體察使)․영원수부사(領元帥府事)를 겸직하여 작전의 대임을 맡았으며, 변무사(辨誣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1598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일본과 화의를 주장한 죄로 북인(北人)의 탄핵을 받아 삭직(削職)된 유성룡(유(柳)성(成)룡(龍))을 변호하다 사직하고 은퇴했다. 이 해 영의정에 재임, 1600년 이항복(李恒福)이 사직하자 좌의정이 되고 4도 도체찰사로 나갔다가 병으로 사직, 이듬해 다시 3도 도체찰사가 되어 전후의 질서회복에 공헌,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에 봉해졌다. 1608년(광해군 즉위) 영의정에 재임, 수차 사의를 표했으나 허락도지 않던 중 1615년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홍천(洪川)에 유배, 1619년 풀려나왔다.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영의정이 되고 인목대비(仁穆大妃)가 광해군의 처형을 명했으나 이에 반대하여 유배에 그치게 했다. 이듬해 이괄(이(李)괄(适))의 난 때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 1627년 정묘(丁卯)호란(胡亂)이 일어나자 도제찰사가 되어 세자를 전주에 시종, 이어 훈련도감 도제조를 지내고 치사(致仕)했다. 앞서 1608년 대동법(大同法)의 실시를 건의하여 경기․강원도를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이를 실시, 불합리한 조세(租稅)제도를 시정하여 국민의 부담을 덜었고, 안주 목사(安州牧使)로 있을 때 군병방수제도를 개혁, 1년에 3개월 복무를 2개월로 단축, 법제(法制)로 채택하게 했다.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남인(南人)에 속했으나 성품이 원만하여 정적(政敵)들에게도 호감을 받았고, 서민적(庶民的)인 인품으로서 오리정승(梧理政丞)이란 이름으로 많은 일화가 전한다. 인조의 묘정(廟廷)에 배향(配享), 여주(驪州)의 기천서원(沂川書院), 시흥(始興)의 충현서원(忠賢書院), 안주(安州)의 청천사(淸川祠)에 제향(祭享)되였다. 이신성(李愼誠) 1552(명종7)~1596(선조29) 조선시대 학자. 자는 흔중(欣仲), 1579년(선조12)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성균관 유생(儒生)이 되어 이조판서 이이(李珥)가 동인(東人)들의 탄핵을 받자 동료 유생들을 이끌고 그의 신구(伸救)를 상소, 탄핵의 주동자인 송응개(宋應慨)․허봉(許o)․박근원(朴謹元) 등을 유배케 했다. 천거를 받아 참봉(參奉)을 거쳐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에 전임, 1592년 임진왜란에 왕을 호종(扈從)하여 개성(開城)에 이르러 상원 군수(祥原郡守)인 동생이 봉양하던 모친이 전란으로 행방불명임을 듣고 사직, 모친의 시체를 찾아 장례를 치른 뒤 함열(咸悅)에 은거했다. 이순신(李純信) 1554(명종9)~1611(광해군3) 조선시대 무신. 자는 입부(立夫), 시호는 무의(武毅)․양녕대군(讓寧大君)의 후손. 1578년(선조11)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온성 판관(穩城判官)․의주 판관(義州判官) 등을 거쳐 혜산진 첨절제사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에 방답진 첨절제사로서 이순신(李舜臣)의 중위장(中衛將)이 되어 당항포(唐項浦)에서 왜선을 크게 무찔렀다. 유도 방위대장(留都防衛大將)․전주 부윤(全州付尹)․전라도 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598년 경상우도 수군절도사로서 노량(露梁) 싸움에서 이순신(李舜臣)이 전사한 뒤 전군을 지휘,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이듬해 포도 대장(捕盜大將)으로서 무고한 사람을 장살(杖殺)한 죄로 파직되었다. 1600년 충청도 수군절도사에 이어 이듬해 황해도 명마절도사로서 재물을 탐냈다 하여 파직, 이 해 수원 부사(水原府使)에서 또 파직, 1602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서 다시 파직당하는 등 여러 차례에 걸쳐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았다. 1604년 첨지중추부사가 되고, 이 해 임진왜란 때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에 완산군(完山君)으로 봉해졌으며, 1606년 다시 수원 부사를 거쳐 이듬해 완천군(完川君)에 개봉(改封)되었다. 광해군 때 전라도 병마절도사로서 졸하였다. 인조 때 좌찬성(左贊成)에 추증(追贈). 이성임(李聖任) 1555(명종10)~? 조선시대 문신. 자는 군중(君重), 호는 월촌(月村), 태조의 7대손, 형(浻)의 아들. 1577년(선조10)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83년(선조16)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이듬해 5월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었다. 1590년 담양 부사(潭陽府使)가 되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도 관찰사에서 수찰 부사(巡察副使)로 전임, 민병(民兵) 8백명을 풀어 임진강(臨津江) 연안을 수비하고 경상우도 순찰사가 되었다. 패전하여 도망한 죄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한때 파직당했다가 1594년 황해도 관찰사에 올랐다. 문장과 글씨에 능했고 목소리와 용모가 아름다워서, 필한(筆翰)․문사(文辭)․언어(言語)․가성(歌聲)․용모(容貌)를 합하여 오옥(五玉)으로 불리었다. 이 욱(李 郁) 1558(명종13)~1619(광해군1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질부(質夫), 호는 팔계(八溪), 현감(縣監) 인건(仁健)의 아들. 성혼(成渾)의 문인. 1588년(선조21) 천거로 봉선전 참봉(奉先殿參奉)이 되고, 돈령부(敦寧府)에 전직, 1592년 임진왜란 때 경상도에 있다가 이듬해 분호조좌랑(分戶曹佐郞)이 되어 가산(嘉山)의 병량 보급을 관할했다. 함흥 통판(咸興通判)을 거쳐 1608년(광해군 즉위) 대동법(大同法) 실시를 위해 선혜청(宣惠廳)이 설치되자 그 낭관(郎官)을 지내고, 1610년 봉산 군수(鳳山郡守)가 되었다. 진주(晋州)의 충민사(忠愍祠)에 제향(祭香). 이성록(李成祿0 1559(명종14)~?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성지(成之), 1591년(선조24)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600년 문학(文學)․정언(正言)․헌납(獻納)을 거쳐 이듬해 사예(司藝)․장령(掌令)․집의(執義)를 지내고, 1602년 파주 목사(坡州牧使)로 있을 대 동인(東人)들이 탄핵으로 삭직(削職)되었다. 뒤에 기용되어 직강(直講)이 되고, 1609년(광해군1) 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으로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지냈다. 이호의(李好義) 1560(명종15)~? 조선시대 문신. 자는 사의(士宜), 천경(天擎)의 아들. 1597년(선조30) 진사(進士)로서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장원, 병조 좌랑(兵曹佐郞)․정언(正言)․사서(司書)․지평(持平)․평안도 도사(平安道都事)․헌납(獻納)․장령(掌令)․통례원 상례(通禮院相禮)등을 지냈다. 1609(광해군1) 고부사(告訃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동부승지(同副承旨)․우승지(右承旨)를 거쳐 1615년 형조참판(刑曹參判), 1623년(인조1) 양양 부사(襄陽府使)가 되었다. 앞서 임진왜란으로 불 탄 왕조 실록(王朝實錄)을 중간(重刊)할 때 부교리(副校理)로서 기주관(記注官)이 되어 참여했다. 이영윤(李英胤) 1561(명종16)~1611(광해군3) 조선시대 화가. 자는 가길(嘉吉), 청성군(靑城君) 걸(傑)의 아들. 종친(宗親)으로 죽림수(竹林守)에 봉해졌다. 산수(山水)․우마(牛馬)․영모(o毛)를 잘 그렸다. 이 종(李 嵕) 1561(명종 16)~1594(선조27) 조선시대 의병장. 자는 자첨(子瞻), 군자감정(軍資監正) 언유(彦瑜)의 아들. 젊어서 무뢰배와 배회하다 25세 때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修學),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 북진하는 적군의 배후를 교란하며 싸웠으나 전염병에 걸려 졸하였다. 이 구(李 o) 1561(명종16)~1623(인조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사영(士塋), 호는 이환(泥丸), 언순(彦諄)의 아들. 진사(進士)로서 1583년(선조1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1615년(광해군7) 대사헌이 되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삭호(削號)를 발의(發議)했다. 이듬해 병조판서에 올랐다가 1618년(광해군10) 완창군(完昌君)에 봉해지고 우참찬(右參贊)승진,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폐모론(廢母論)의 원흉으로 지탄받아 주살(誅殺)되었다. 이성부(李聖符) ?~1624(인조2) 조선시대 무신. 자는 존중(存中), 시호는 충장(忠壯), 참봉(參奉) 문익(文益)의 아들. 1608년(광해군 즉위0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이어 비변사(備邊司)의 낭관(郎官)으로 상신(相臣) 이덕형(李德馨)․이항복(李恒福)의 공첩(公牒)을 맡아 처리했다. 그 후 만포진 첨절제사로 재직중 계축옥사(癸丑獄事:1613)에 연루, 삭직(削職)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선봉장(先鋒將)으로 가담하여 품계(品階)가 올랐고,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에 우방어사(右防禦使)가 되어 좌방어서 이중로(李重老)와 함께 평산(平山)의 마탄(馬灘)에 진을 치고 적과 대전했으나 반군의 기습으로 패전, 물에 투신 자결했다. 병조판서에 추증(追贈), 충신정문(忠臣旌門)이 세워졌으며, 금천(金川)의 민충사(愍忠祠)에 제향(祭享). 이사홍(李士洪) ?~1613(광해군5) 조선시대 유생. 자는 양원(養源), 호는 창해(滄海), 광평대군(廣平大君)의 6대손. 1606년(선조39) 생원시(生員試)에 합격, 유생(儒生)으로 일본 정벌을 주장하는 소(疏)를 올려 주목을 끌었다. 허균(許筠)․박응서(朴應犀)․서양갑(徐羊甲) 등과 교유하다가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에 연루, 사형되었다. 이억기(李億 ) 1561(명종16)~1597(선조30) 조선시대 무신. 자는 경수(景受), 시호는 의민(毅愍),필주군(泌洲君0 연손(連孫)의 아들. 어려서부터 무예에 뛰어나고 용맹하여 찬탄을 받았으며, 17세 때에 사복시 내승(司僕寺內乘)이 되고, 그후 무과(武科)에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경흥 부사(慶興府使)․온성 부사(穩城府使)를 역임하면서 북방의 경비에 만전을 기했다. 1591년(선조24) 순천 부사(順天府使)를 거쳐 전라우도 수군절도사가 되고,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옥포(玉浦)․당포(唐浦)․안골포(安骨浦)․절영도(絶影島) 등의 해전에서 적의 병선(兵船)을 대파, 제해권(制海權)을 잡는 데 크게 공헌했다. 이순신이 무고로 투옥되자 이항복(李恒福)․김명원(金命元) 등과 함께 그의 무죄를 주장, 구명에 앞장섰으며, 1597년(선조30)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통제사(統制使) 원균(元均)의 휘하에서 좌익군(左翼軍)을 지휘, 용전하다가 칠천량(漆川梁) 싸움에서 크게 패하여 원균과 함께 전사했다. 난이 끝난 후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완흥군(完興君)으로 추봉(追封), 병조판서에 추증(追贈), 1600년 순천(順天)의 충민사(忠愍祠)에 이순신과 함께 제향(祭享). 이덕온(李德溫) 1562(명종17)~? 조선시대 문신. 자는 사화(士和), 호는 귀촌(龜村), 임영대군(臨瀛大君) 구(o)의 현손, 뇌(雷)의 아들. 1585년(선조18)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591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필선(弼善)․지평(持平)․사예(司藝)․장령(掌令)을 거쳐 1607년(선조40) 우부승지(右副承旨)에 올랐다가 이듬해 광해군이 즉위하자 대북파(大北派)에 의해 관직이 삭탈(削奪)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관되었으나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가 성리학(性理學)에 몰두했다. 이유징(李幼澄) 1562(명종17)~1593(선조26) 조선시대 문신. 자는 징원(澄源), 시호는 정민(貞敏), 판서 성중(誠中)의 아들. 1583년(선조16) 알서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90년 지평(持平)으로 증광별시(增廣別試)의 감독관이 되었으나 시험문제의 누설로 면직되었다. 이듬해 기용되어 예조 정랑(禮曹正郞)․검열(檢閱)을 거쳐 수찬(修撰)이 되고, 사가독서(賜暇讀書)했다. 이어 이조 좌랑(吏曹佐郞)․교리(校理)를 지내고, 1592년 임진왜란 때 왕을 평양(平壤)에 호종(扈從)하여 응교(應敎)․사간(司諫)을 거쳐 이듬해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냈다. 죽은 뒤 1604년(선조37)에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완흥군(完興君)에 봉해졌고 이조판서에 추증(追增). 이홍주(李弘冑) 1562(명종17)~1638(인조16) 조선시대 문신. 자는 백윤(伯胤), 호는 이천(梨川), 시호는 충정(忠貞), 군수(郡守) 극인(克仁)의 아들. 1582년(선조15) 진사(進士)가 되고, 1594년(선조27)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史官)으로 뽑힌 후 1599년 예조의 좌랑(佐郞)․정랑(正郞)을 지냈다. 1612년(광해군40 의주 부윤(義州府尹)으로 나갔다가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1618년 전라도 관찰사․형조참의(刑曹參議)를 역임, 이 해 의주성(義州城)의 신축에 공을 세워 가자(加資)된 후 이듬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다시 진주사(陳奏使)가 되었으나 병으로 사직, 1620년에 병조참판, 이어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도승지(都承旨)를 지내고 1624년(인조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 도원수(都元帥) 장만(張晩)과의 연락이 두절되어 팔도 도원수(八道都元帥)가 되어 난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다. 1626년 우참찬(右參贊)으로 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임, 다음해 호태감 접반사(胡太監接伴使)․대사헌, 이어 전주 부윤(全州府尹)․도승지, 1629년 병조와 예조의 판서를 역임, 1632년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죽자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로 국장도감(國葬都監) 서사관(書寫官)이 되고, 이듬해 병조판서를 지내고 판의금부사(判義禁府使)를 거쳐 1636년 우의정에 올랐다. 이 해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적진에 왕래하면서 화의를 교섭했으나 항복에는 끝까지 반대했다. 수차 사직하려 했으나 허락되지 않고 이듬해 영중추부사를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이춘영(李春英) 1563(명종18)~1606(선조39) 조선시대 문신․문장가. 자는 실지(實之), 호는 체소재(體素齋), 시호는 문숙(文肅), 윤조(胤祖)의 아들. 성혼(成渾)의 문인. 1590년(선조23)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유배될 때 이에 연루되어 삼수(三水)에 귀양갔다. 1592년 풀려나와 예조 정랑(禮曹正郞)에 등용되고, 지평(持平)․장령(掌令)을 거쳐 봉상시 첨정(奉常時僉正)이 되었다. 시문에 능했으며 ⌈해동사부(海東辭賦)⌋에 그의 시가(詩歌)가 수록되어 있다. 좌찬성(左贊成)에 추증(追贈). 이수광(李晬光) 1563(명종18)~1628(인조6) 조선시대 문신․학자. 자는 윤경(潤卿), 호는 지봉(芝峰),시호느 문간(文簡), 병조판서 희검(希儉)의 아들. 1582년(선조15) 진사(進士)가 되고, 1585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수찬(修撰)․지평(持平)․교리(校理) 등을 거쳐 이조 좌랑(吏曹佐郞)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경상우도 방어사 조경(趙儆)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전했으나 황간(黃澗)에서 패전한 뒤 의주(義州)에 왕을 따라가 부교리(副校理)가 되었다. 돌아와서 지평(持平)․예조 참판(禮曹參判)․대사간․대사헌을 역임, 1597년 형조참판(刑曹參判)으로 진위사(陳慰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대사성(大司成)․부제학(副提學)․안변 부사(安邊府使)를 거쳐 광해군 초 첨지중추부사․도승지(都承旨)․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다. 1613년(광해군5) 계축옥사(癸丑獄事)가 일어나자 사직하고 두문불출하다가 1616년 다시 등용되어 순천 부사(順天府使)가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다시 도승지에 기용, 홍문과 제학(弘文館提學)․대사간․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역임, 1624년(인조2) 이괄(李括)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扈從), 돌아와서 좌․우참찬(左右參贊)․공조판서․대사헌을 지내고 12조의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시무책(時務策)을 논했다.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에 다시 왕을 강화도로 호종했고 이듬해 이조판서가 되었다. 임진왜란을 전후해 수차 사신으로 명나라에 왕래, 당시 명나라에 와 있던 이탈리아 신부 맛테오릿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중우론(重友論)⌋ 및 유변(劉汴)․심인기(沈遴奇)의 ⌈속이담(續耳潭)⌋을 얻어와 1614년(광해군6) ⌈지봉유설(芝峰類說)⌋을 간행,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와 서양문물을 소개함으로써 실학(實學) 발전의 선구자가 되었다. 한편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명나라에 왔던 안남(安南)․유구(琉球)․섬라(暹羅) 등의 사신이 그의 글을 본국에 소개했다. 영의정에 추증(追贈), 순천의 청수서원(淸水書院)에 제향(祭享). 이수록(李綏祿) 1564(명종19)~1620(광해군1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수지(綏之), 호는 동고(東皐), 밀성군(密城君) 침(琛)의 5대손, 첨정(僉正) 극강(克綱)의 아들. 1585년(선조18) 진사(進士)가 되고, 이듬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93년 병조 좌랑(兵曹佐郞), 1602년 사예(司藝)․정언(正言)․문학(文學)을 역임, 이 해 서북면 체찰사 이원익(李元翼)의 종사관(從事官)으로 활약했다. 이어 교리(校理)․응교(應敎)를 거쳐 이듬해 대동도 찰방(大同道察訪), 1605년(선조38) 내자시정(內資寺正), 이듬해에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역임하였다. 광해군 때 수찬(修撰)․장령(掌令)․사인(舍人)․봉상시정(奉常寺正)을 지내다가 1417년(광해군9)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에 반대,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가 이원익․정엽(鄭曄) 등과 고유했다. 뒤에 여주 목사(驪州牧使)에 임명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취임하지 않았다. 이형령(李亨齡) 1566(명종21)~1614(광해군6) 조선시대 왕족. 자는 수원(壽元), 하원군(河原軍) 정(o)의 아들. 1579년(선조12) 익성정(益城正)에 봉해지고, 1592년 임진왜란 때 왕을 의주(義州)에 호종(扈從), 1596년 익성군(益城君)에 진봉(進封)되었다. 이 해 왕이 구하던 서적 수십권을 헌상하여 가자(加資), 그 서적이 약탈한 것이라는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았으나 왕의 두호로 무사했다. 서기1610년(광해군2) 종 1품에 올랐으며, 1612년(광해군4)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거제도(巨濟島)에 유배, 배소(配所)에서 졸하였다. 서기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신원(伸寃)되고 유배된 아들들도 방환(放還)되었다. 이중계(李重繼) 1566(명종21)~1619(광해군1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술부(述夫), 호는 송파(松坡),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6대손, 부사직(副司直) 경림(景霖)의 아들. 1591년(선조24)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가 되고 1609년(광해군1) 호조 정랑(戶曹正郞)으로 춘추관 기주관을 겸임하여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1615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618년 문학(文學)․헌납(獻納)을 거쳐 지평(持平)이 되었을 때 대북(大北)의 음모로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서궁(西宮)에 유폐당하자 이를 탄핵하다가 관직을 삭탈(削奪)당하고 은퇴했다. 이유홍(李惟弘) 1567(명종22)~1619(광해군11) 조선시대 문신. 자는 대중(大仲), 호는 간정(艮庭),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후손, 현감(縣監) 정필(廷弼)의 아들. 1596년(선조29)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주서(주(注)서(書))․정언(正言)․병조정랑(兵曹正郞)․지평(持平) 등을 지내고,1603년 평안도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었다. 이 해 영천 군수(永川郡守)를 거쳐 이듬해 죽산 부사(竹山府使)로 승진했고, 1606년 병조 좌랑(兵曹佐郞)에 이어 부제학(副提學)이 되어 경연(經筵)에 참가했다. 이듬해 예조참의(禮曹參議)․병조참지(兵曹參知)를 지냈으나,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유영경(柳永慶)의 일당이라는 탄핵을 받고 강계(江界)에 유배되었다. 이정익(李廷翼) ?~1597(선조30) 조선시대 의병(義兵). 자는 군익(軍翊), 호는 죽와(竹窩), 임영군(臨瀛君) 구(o)의 후손. 1597년(선조30)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한호성(韓好誠)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유격장(遊擊將) 조경남(趙慶男)의 휘하에 들어가 방곡(旁谷)에서 적을 대파했으나 추격해 온 적의 응원부대와 교전중 전사했다. 지평(持平)에 추증(追贈), 구례(求禮)의 남전사(藍田祠)에 제향(祭享).되였다 이의전(李義傳) 1568(선조1)~1647(인조25) 조선시대 문신. 자는 의중(宜仲), 영의정 원익(元翼)의 아들. 31세 때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가 4현(縣)․5군(郡)․2부(府)를 다스리는 동안 가는 곳마다 치적(治績)을 올렸으며, 양근 군수(楊根郡守) 때는 치행(治行)이 으뜸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고 재임(再任)했다. 완선군(完善君)을 습봉(襲封), 1647년 자헌대부(資憲大夫)가 되었다. 이구징(李久澄) 1568(선조1)~1648(인조26) 조선시대 문신. 자는 징원(澄源), 호는 백촌(柏村), 좌승지(左承旨) 철(鐵)의 아들. 서기1591년(선조24) 진사(進士)가 되고 1597년(선조30)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을 거쳐 광해군 때 장령(掌令)이 되어 이항복(李恒福)의 처벌을 반대하다가 파직, 4년 후에 문천 군수(文川郡守)가 되었다. 서기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내자시정(內資寺正)에 올랐다가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扈從), 돌아와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고, 고산(高山)․선산(善山)․청송(靑松)의 군수를 역임했다. 서기1636년(인조14)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다시 왕을 남한산성(南漢山城)에 호종, 이어 형조참의(刑曹參議)․동지중추부사 겸 부총관을 거쳐 공조참판(工曹參判)이 되고, 1647년 지중추부사로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이 충(李 沖) 1568(선조1)~1619(광해군11) 조선시대 문신. 자는 거용(巨容), 호는 칠택(七澤), 양(0)의 손자. 정빈(廷賓)의 아들. 1600년(선조3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무장 현감(茂長縣監)을 거쳐 서기1602년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1606년 성천 부사(成川府使)로 나갔다. 이어 형조 정랑(刑曹正郞)․상례(相禮)․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거쳐 1609(광해군1) 사도시정(司導寺正)으로 춘추관 편수관을 겸직하여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다. 이어 대간(臺諫)으로부터 간신의 손자라 하여 탄핵을 받고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좌천되었다가 1612년 전라도 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행대사간(行大司諫)․병조참판(兵曹參判), 1616년 선수도감 제조를 거쳐 다음 해 좌참찬(左參贊)에 승진, 이어 우찬성(右贊成)이 되고, 1618년 좌부빈객(左副賓客)․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 등을 역임했다. 우의정에 추증(追贈). 이 명(李 溟) 1570(선조3)~1648(인조28)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연(子淵), 호는 귀촌(歸村),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후손, 연빈(延賓)의 아들. 서기1591년(선조24) 진사(進士)가 되고, 서기1606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설서(設書)․정언(正言)을 지냈다. 광해군초 어사(御史)로 의주(義州)에 가서 부윤(府尹) 이이첨(李爾瞻)의 우대를 받았으나 그의 사람됨을 꺼려 사이가 나빠졌다. 그 후 이조 정랑(吏曹正郞)이 되어 이이첨이 추천한 정조(鄭造)가 지평(持平)이 되자 이를 반대하고 사임, 1613년(광해군5) 응교(應敎)로서 계축옥사(癸丑獄事)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이 죽게 되자 그 부당함을 주창하다가 파직되었다. 뒤에 서천 군수(舒川郡守)․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내고 황해도 관찰사로 있을 때 평산 군수(平山郡守) 이귀(李貴) 등과 접촉, 반정(反正)을 협의했다. 인조반정(仁祖反正: 1623) 후 전라도․경기도․평안도․경상도 등의 관찰사를 역임, 호조․형조의 참판(參判)을 지내고 1637년(인조15) 호조판서가 되어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 이후 고갈된 재정을 맡아 국고(國庫)의 충실을 기하는 한편 물가를 안정시켰다. 그 후 형조판서를 거쳐 다시 호조판서가 되었다가 나이가 많아 사직,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전임되었다. 이 목(李 楘) 1572(선조5)~1646(인조24) 조선시대 문신. 자는 문백(文伯), 호는 송교(松郊), 시호는 충정(忠正),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후손,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 신계(愼誡)의 아들. 성혼(成渾)․김장생(金長生)의 문인. 1603년(선조36) 성균관 유생(儒生)이 되고, 1611년 동료 유생들과 함께 성혼(成渾)의 신원을 상소하고 이황(李滉)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한 정인홍(鄭仁弘)을 유적(儒籍)에서 삭제케 했다. 서기1612년(광해군4)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갑과(甲科)로 급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교검(校檢)을 거쳐 1615년에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다가 대북(大北)의 무고로 파직되었다. 인조반정(仁祖反正: 1623) 후에 정언(正言)․수찬(修撰)․교리(校理)․이조좌랑(吏曹佐郞)을 역임, 서기1624년(인조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공주(公州)로 왕을 호종(扈從), 부교리(副校理)가 되어 이귀(李貴)의 패전 책임을 탄핵하여 파직을 건의했다. 이어 사인(舍人)․집의(執義), 예조와 이조의 참의(參議)를 거쳐 서기1626년 대사간에 승진, 다음해 정묘호란(丁卯胡亂)에는 강화(江華)로 왕을 호종했다. 서기1631년 부제학(副提學)에 전직, 참찬(參贊)을 거쳐 서기1636년(인조14) 형조참판(刑曹參判)이 되고 이 해 병자호란(丙子胡亂)에 협수사(協守使)로 남한산성을 수비하면서 청나라와의 화의에 적극 반대했다. 1638년 대사헌이 되고,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도승지(都承旨)․부제학(副提學)을 거쳐 서기1643년 원손 보양관(元孫輔養官)을 겸했다. 좌찬성(左贊成)에 추증(追贈). 이창정(李昌廷) 1572(선조5)~? 조선시대 문신. 자는 이삼(而參), 총(叢)의 아들. 1605년(선조38)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을 지내고 1618년(광해군10) 사예(司藝)․지평(持平)을 거쳐 평안도 순안어사․사성(司成)을 역임, 이듬해 호조참의(戶曹參議)가 되었다. 이 척(李 滌) 1572(선조5)~? 조선시대 문신. 자는 급지(汲之), 호는 영호정(映湖亭),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7대손. 음보(蔭補)로 훈련원 도정(訓練院都正)이 되고, 1636년(인조14)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죽산 부사(竹山府使)로 군사를 이끌고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비, 왕으로부터 금대(金帶)․금권(金圈)을 하사받은 후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올랐으나 청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하고 사퇴했다. 후에 ⌈절의록(節義錄)⌋에 수록되었으며, 글씨에도 뛰어났다. 이경직(李景稷) 1577(선조10)~1640(인조18) 조선시대 문신. 자는 상고(尙古), 호는 석문(石門), 시호는 효민(孝敏), 동지중추부사 유간(惟侃)의 아들, 정종의 8대손. 이항복(李恒福)․김장생(金長生)의 문인. 1601년(선조34)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06년(선조39)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史官)이 되었다가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를 거쳐 1613년(광해군5) 병조 정랑(兵曹正郞)으로 지제교(知製敎)를 겸했다. 1617년 행사과(行司果)로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회답사(回答使) 오윤겸(吳允謙)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고, 다음해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에 반대하여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갔다. 서기1622년(광해군14) 명나라 장수 모문룡(毛文龍)이 가도(椵島)에 주둔하게 되자 철산 부사(鐵山府使)가 되어 모문룡의 신임을 얻었으며, 1624년(인조20 이괄(李适)의 난 때 황해도 병마절도사에서 전라도 병마절도사가 되고, 이어 수원 부사(水原府使)가 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에 병조참판(兵曹參判)이 되어 왕을 강화(江華)에 호종(扈從), 후금 사신을 접대하여 화의를 성취시키고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다. 서기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에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했다가 청영(淸營)에 가서 청태종(淸太宗)의 칙서(勅書)를 가져왔고, 화의 성립 뒤 호조판서를 거쳐 도승지(都承旨)․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를 지냈다. 글씨에 능했으며, 우의정에 추증(追贈). 이 정(李 楨) 1578(선조11)~1607(선조40) 조선시대 화가. 자는 공간(公幹), 호는 나옹(懶翁)․나재(懶齋)․나와(懶窩)․설악(雪嶽), 숭효(崇孝)의 아들. 증조부 때부터 화가의 가정으로 10세 때에 이미 그림으로써 이름이 알려졌고, 13세 때 장안사(長安寺)가 개수(改修)되자 벽화를 그려 절찬을 받았다. 과음(過淫)으로 30세에 요절(夭折)했다. 특히 산수화(山水畵)․인물화를 잘 그렸고, 글씨도 잘 썼다. 이구원(李久源) 1579(선조12)~1675(숙종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원지(源之), 호는 월담(月潭), 군수(郡守) 견(0)의 아들. 1615년(광해군7) 진사(進士)가 되고 1623년(인조1) 개시문과(改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한성부 우윤․지돈령부사에 이르러 기로소에 들어갔다. 이순형(李純馨) 1579(선조12)~1648(인조26)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계훈(季薰), 금계군(錦溪君) 인수(仁壽)의 아들, 금평군(錦平君) 의수(義壽)에게 입양(入養). 어려서 최입(崔岦)에게서 문장 공부를 했고, 1605년(선조38) 진사(進士試)에 합격, 1618년(광해군10) 정인홍(鄭仁弘) 등이 폐모론(廢母論)을 일으키자 성균관 유생으로 성균관생 3백명과 함께 그 불가함을 상소하다 5년간 옥에 갇혔다. 서기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와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가 되고, 1635년(인조1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판교(判校)에 특진되었다. 이 해 10월 북청부 판관(北靑府判官)에 전직, 이듬해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남한산성이 포위되자 격문을 돌려 3천여 명의 의병(義兵)을 모집, 남진하다가 강화(講和)가 이루어지자 들아갔다. 이 서(李 曙) 1580(선조13)~1637(인조15) 조선시대 무신. 자는 인숙(寅叔), 호는 월봉(月峰), 시호는 충정(忠正), 효령대군(孝寧大君)의 10대손, 목사(牧使) 경록(慶祿)의 아들. 서기1603년(선조36) 무과(武科)에 급제, 진도 군수(珍島郡守) 등을 역임, 1623년 장단부사(長湍府使)로 경기 방어사(京畿防禦使)를 겸임, 이 해 김유(金瑬)․이귀(李貴) 등과 군사를 일으켜 광해군을 내쫓고 인조를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 1등으로 완풍부원군(完豊府院君)에 봉해지고 호조판서에 보직되었다. 서기1624년(인조2) 경기도 관찰사․총융사(摠戎使), 이듬해 호위 대장(扈衛大將)을 역임, 1626년 수어사(守禦使)가 되어 남한산성을 수축했고 1630년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서기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남한산성에서 적군을 막다가 이듬해 진중에서 병으로 졸하였다. 산수(算數)에 능하고 독서를 즐겨하여 장서가 많았으며 효성이 지극했다. 남한산성의 온조왕(溫祚王) 사당과 인조의 묘정에 배향(配享), 영의정에 추증(追贈). 이 징(李 澄) 1581(선조14)~? 조선시대 화가. 자는 자함(子涵), 호는 허주(虛舟), 학림정(鶴林正) 경윤(慶胤)의 서자. 인조(仁祖) 때 화원(畵員)으로서 문신적의 6품(品)에 임명되었다. 안견(安堅)풍의 청록산수(靑綠山水) 등 착색화(着色畵)를 많이 그렸다. 이경여(李敬與) 1585(선조18)~1657(효종8) 조선시대 문신. 자는 직부(直夫), 호는 백강(白江)․봉암(鳳巖), 시호는 문정(文貞), 목사(牧使) 수록(綏祿)의 아들. 1601년(선조34)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09년(광해군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611년 검열(檢閱)이 되었으나 광해군의 실정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했다. 서기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부수찬(副水撰)․부교리(副校理)를 거쳐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扈從), 이어 체찰사(體察使) 이원익(李元翼)의 종사관(從事官)이 되고, 서기1630년(인조8) 부제학(副提學)․청주 목사(淸州牧使)․좌승지(左承旨)․전라도 관찰사를 역임했다. 서기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왕을 남한산성(南漢山城)에 호종했고, 이듬해 경상도 관찰사, 그 후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대사성을 겸임하여 선비 양성의 방책을 상주(上奏)했고, 이조 참판(吏曹參判)․형조판서를 역임했다. 서기1642년 배청친명파(排淸親明派)로 청나라 연호(年號)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이계(李0)가 청나라에 밀고함으로써 심양(瀋陽)에 억류되었다가 이듬해 세자와 함께 귀국, 우의정이 되었다. 1644년 사은사(謝恩使)로 청나라에 갔다가 다시 억류되었으나 그 동안 본국에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귀국, 1646년 민회빈(愍懷嬪) 강씨(姜氏:昭顯世子嬪)의 사사(賜死)를 반대하다가 진도(珍島)에 유배, 다시 1648년 삼수(三水)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으나 이듬해 효종이 즉위하자 풀려나와 1650년 다시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이어 영의정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온 뒤 청나라의 압력으로 영중추부사로 전임했다. 시문(時文)에 능하고 글씨에도 뛰어났다. 부여(扶餘)의 부산서원(浮山書院), 진도(珍島)의 봉암사(鳳巖祠), 흥덕(興德)의 동산서원(東山書院)에 제향(祭享). 이상형(李尙馨) 1585(선조18)~1645(인조23) 조선시대 문신. 자는 덕선(德先), 호는 천묵재(天黙齋), 시호는 충경(忠景), 효령대군(孝寧大君)의 7대손.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광해군 때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25년(인조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가주서(假注書)로 경연관(經筵官)이 되고, 1636년(인조14)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척화(斥和)를 주장, 화의를 건의하는 최명길(崔鳴吉) 등을 탄핵했으며, 집의(執義)를 거쳐 교리(校理)에 이르렀다. 경사(經史)에 뛰어났고 특히 역학(易學)에 밝았다. 남원(南原)의 요계서원(蓼溪書院)에 제향(祭享), 이조판서에 추증(追贈). 이민구(李敏求) 1589(선조22)~1670(현종1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시(子時), 호는 동주(東州)․관해(觀海), 지봉(芝峰) 수광(晬光)의 아들. 1609년(광해군1) 진사(進士),1612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 수찬(修撰)․지평(持平)․교리(校理)․응교(應敎) 등을 거쳐 1623년(인조1) 사가독서(賜暇讀書)했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도원수(都元帥) 장만(張晩)의 종사관(從事官)으로 난의 평정에 공헌, 1962년 대사간을 거쳐 이듬해 정묘호란(丁卯胡亂)때는 병조참판(兵曹參判)으로 세자(世子)를 모시고 남쪽으로 피란했다. 1936년(인조14) 이조참판(吏曹參判)․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역임, 이 해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도 검찰부사가 되어 왕을 강화에 모시기 위해 선편(船便)을 준비했으나 적군이 어가(御駕)의 길을 막았으므로 책임을 완수하지 못했다. 난이 끝난 후 관무(官務)를 다하지 못했다는 죄로 아산(牙山)에 유배, 1643년(인조21) 영변(寧邊)에 이배(移配)되었다가 1649년 풀려나왔다. 문장이 뛰어나고 특히 사부(詞賦)에 능했다. 이 현(李 0)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보(磬甫), 호는 환성(喚醒),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6세손(世孫), 군수(郡守) 경춘(慶春)의 아들. 1601년(선조34)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1605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에 등용되고 이어 여러 내외 벼슬을 역임하고 우승지(右承旨)에 올라 선조의 총애를 받았고, 정사(政事)를 공정히 처리하여 명성이 높았다. 서기1623년 광해군의 축출 모의에 참여해 달라는 이후원(李厚源)의 권유를 거절, 두문불출(杜門不出)한 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후부터 벼슬길이 막히고 당국의 감시와 천대를 받았다. 이기축(李起築) 1589(선조22)~1645(인조23) 조선시대 무신. 자는 희열(希說), 시호는 양의(襄毅),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8대손. 무과(武科)에 급제, 이서(李曙)와는 종형제(從兄弟)로 뜻이 통하여 1622년(광해군14) 이서가 장단 부사(長湍府使)로 부임하자 함께 내려가 광해군의 실정을 개탄, 반정(反正)을 협의하고 인조의 잠저(潛邸)에 왕래하면서 사전공작을 했다. 서기1623년 거사하는 날 선봉장이 되어 장단에서 군사를 이끌고 입성했고, 인조 즉위 후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이 되고 금군장(禁軍將)에 임명되었으며, 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왕을 남한산성(南漢山城)에 호종(扈從), 어영 별장(御營別將)으로 활약했다. 이듬해 환도하여 완성군(完城君)에 봉해졌으며, 강화 후 볼모로 가는 세자(世子)를 심양(瀋陽)에 배종(陪從)했다가 3년 후 병으로 먼저 귀국, 1642년(인조20) 장단 부사가 되었으나 부친의 병으로 사직했다. 이명웅(李命雄) 1590(선조23)~1642(인조20) 조선시대 문신. 자는 정이(挺而), 호는 송사(松沙), 판서 성중(誠中)의 손자, 목사(牧使) 유징(幼澄)의 아들. 광해군의 난정으로 벼슬을 단념하고 있다가 1626년(인조4) 음보(蔭補)로 세마(洗馬)가 되고, 이어 시직(侍直)에 전임했다. 이해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정언(正言)이 되고, 1631년(인조9) 형조 좌랑(刑曹佐郞)에 특진, 이듬해 헌납(獻納)이 되어 인조의 사친(私親) 원종(元宗)의 추존(追尊)을 반대했다가 한때 삭출(削黜), 수찬(修撰)으로 기용되었다. 서기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사간(司諫)으로 인조를 남한산성(南漢山城)에 호종(扈從)하여 척화(斥和)를 주장했고, 이듬해 세자(世子)가 볼모로 심양(瀋陽)에 갈 때 보덕(輔德)으로 수행한 공으로 예조참의(禮曹參議)에 승진되었다. 서기1644년 귀국하여 공조참의(工曹參議)․대사간 부제학(副提學)을 지내고, 경상도 관찰사 때 영남의 요충지인 칠곡(漆谷)에 성(城)을 쌓고 칠곡 도호부(漆谷都護府)를 설치했다. 예조참의를 지낸 후 홍주목사(洪州牧使)로 재직중 졸하였다. 축성의 공으로 이조판서에 추증(追贈), 완양군(完陽君)에 추봉(追封). 이 확(李 廓) 1590(선조23)~1665(현종6) 조선시대 무신. 자는 여량(汝量), 시호는 충렬(忠烈), 경녕군(敬寧君) 비(裶)의 후손, 함경도 관찰사 유인(裕仁)의 아들. 3세 때 임진왜란으로 아버지를 여의었고, 장성하여 키가 8척에 힘이 장사였다. 광해군 때 이항복(李恒福)의 권유로 무과(武科)에 응시하여 급제,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1618년(광해군10) 수성도 찰방(輸城道察訪)이 되었다. 서기1623년 중군 포수(中軍砲手)로 이귀(李貴) 등의 인조반정(仁祖反正) 거사에 내응(內應), 상신(相臣) 박승종(朴承宗)의 명으로 반정군을 막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나갔다가 도리어 반정군을 영접함으로써, 반정을 성공시켜 평산 부사(平山府使)가 되었다. 서기1624년(인조2) 이괄(李适)의 난에도 도원수(都元帥) 장만(張晩) 휘하의 선봉장(先鋒將)으로서 전공을 세웠고 안악 군수(安岳郡守)․자산 부사(慈山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인조14) 부총관(副摠管)으로 회답사(回答使)가 되어 금나라에 갔다가 조선을 속국으로 취급한 금나라의 국서(國書)를 받아온 죄로 선천(宣川)에 유배되었다. 이 해 겨울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남한산성(南漢山城)에 들어가 항전, 화의가 성립된 후 총관(摠管)․충청도 병마절도사를 거쳐 1641년 상도 수군통제사에 승진했다. 병조판서에 추증(追贈). 이척연(李惕然) 1591(선조24)~1663(현종4)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성오(省吾), 호는 동이(同異)․동포(東圃), 덕천군(德泉君: 定宗의 10男) 후생(厚生)의 6대손, 구(球)의 아들. 1627년(인조5) 진사(進士)가 되고, 이듬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전적(典籍)을 거쳐 1630년 정언(正言)에 올랐다. 지평(持平)․문학(文學)을 거쳐 직산 현감(稷山縣監)에 이어 1641년 지평(持平)이 되고, 장령(掌令)․군자감정(軍資監正)을 거쳐 선산 부사(善山府使)로 나갔다. 서기1655년(효종6) 승지(承旨)에 오르고 1660년(현종1) 형조․예조의 참의(參議) 등을 지내다가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가 독서와 저술로 만년을 보냈다. 이응시(李應蓍) 1594(선조27)~1660(현종1) 조선시대 문신. 자는 군서(君瑞), 호는 취죽(翠竹)․죽창(竹窓), 세종의 7대손, 정신(廷臣)의 아들. 1633년(인조1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643년 장령(掌令)이 되고 1645년 동지(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가서 이듬해 귀국, 이 해 왕에게 여색(女色)을 멀리할 것을 상소했다가 원배(遠配)되었다. 서기1649년(효종 즉위) 직산(稷山)을 멀리할 것을 상소했다가 원배(遠配)되었다. 서기1649년(효종 즉위) 직산(稷山)에 양이(量移)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와서 사간(司諫)이 되고, 이어 승지(承旨)․도승지(都承旨)․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역임했다. 서기1655년(효종6) 함경도 관찰사로서 도민(道民)이 청나라에 월경(越境)하여 살인한 사건으로 청나라의 항의를 받고 파직당했으나 1656년 도승지로 다시 기용되었다. 서기1658년 대사간이 되고, 이듬해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승진, 효종이 죽자 ⌈효종실록(孝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했고, 1660년(현종1) 관상감 제조(觀象監提調)를 겸했다. 글씨에도 뛰어났다. 이경석(李景奭) 1595(선조28)~1671(현종1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쌍계(雙溪), 시호는 문충(文忠), 왕족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6대손, 동지중추부사 유간(惟侃)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1613년(광해군5) 진사(進士)가 되고 1623년(인조1)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 이듬해 주서(注書)․대교를 지냈다. 1626년(인조4) 문과중시(文科重試)에 장원한 후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1636년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굴복하자 부제학(副提學)으로 삼전도(三田渡)의 비문을 찬진(撰進), 대제학․이조판서를 지내고 1642년 세자 이사(世子貳師)로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신(斥和臣)으로 심양(瀋陽)에 잡혀가 1년간 봉황성(鳳凰城)에 구금되었다. 돌아와 대사헌․이조판서를 지내고 1645년 우의정이 되어 이듬해 사은사(謝恩使)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좌의정을 거쳐 1649년(효종 즉위) 영의정에 올랐다. 이 해 김자점(金自點)의 밀고로 효종의 북벌계획(北伐計劃)이 청나라에 알려져 추궁당하자 책임질 것을 자청, 청나라에 의해 백마성(白馬城)에 감금을 당했다. 1651년(효종2) 석방되었으나 청나라의 압력으로 등용되지 못했다가 1659년 영돈령부사(領敦寧府事)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남인(南人)으로 현종이 즉위한 뒤 송시열(宋時烈) 등 서인(西人)으로부터 여러번 배척을 받았으나 왕의 총애로 유임(留任)되었으며, 1668년(현종9)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문장과 글씨에도 뛰어났다. 남원(南原)의 방산서원(方山書院)에 제향(祭享). 이위국(李緯國) 1597(선조30)~? 조선시대 문신. 자는 태언(台彦), 호는 운포(雲浦), 학림정(鶴林正) 경윤(慶胤)의 아들. 광해군 초 원주 목사(原州牧使)로 있다가 정치가 어지러워지자 사직하고 향리에 돌아갔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등용되어 1628년(인조6) 용인 현령(龍仁縣令)이 되고 1634년 곡산 군수(谷山郡守)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황해도 암행어사 오전(吳0)의 천거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았다. 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을 예언, 그 방비책을 상소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서기1658년(효종9) 강화 경력(江華經歷)이 되고, 이 해 14만석의 정부 양곡을 차용하고도 갚지 않는 한양 사대부(士大夫)를 통박하다가 파직당했다. 후에 다시 등용되어 상원 군수(祥原郡守)․이천 부사(伊川府使)를 역임, 여러 지방 관직을 거치며 선정을 베풀어 청렴 강직한 명관으로 알려졌다. 초서(草書)․예서(隸書)에 일가를 이루었다. 이상질(李尙質) 1597(선조 30)~1633(인조1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문(子文), 호는 가주(家洲), 순흥군(順興君) 몽우(夢禹)의 손자, 현감(縣監) 진(瑱)의 아들. 권필(權韠)의 문인. 정엽(鄭曄)에게 학행(學行)이 인정되어 그 사위가 되었다. 서기1616년(광해군8) 진사(進士)가 되었으나 광해군의 난정을 보고 춘천(春川)의 산중에 들어가 농업에 종사,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비로소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했고,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후에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세마(洗馬)․시직(시侍直)․위수(衛0)를 역임하였다. 서기1629년(인조7)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장원, 예조 좌랑(禮曹佐郞)이 되고, 부수찬(副修撰)․정언(正言)을 거쳐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교리(校理)에 이르렀다. 서기1632년 인조가 사친(私親)을 추숭(追崇)하고자 하는 것을 극간(極諫)하다가 종성(鍾城)에 유배, 이듬해 방환(放還)되어 오는 도중 회양(淮陽)에서 병사했다. 이후원(李厚源) 1598(선조31)~1660(현종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사심(士深), 호는 우재(迂齋)․남항거사(南港居士), 시호는 충정(忠貞),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7대손, 군수(郡守) 욱(郁)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서기1623년(인조1)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으로 완남군(完南君)에 봉해지고 태인 현감(泰仁縣監)이 되어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 출전했다. 서기1635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지평(持平)을 지내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척화(斥和)를 주장했으며, 1637년 승지(承旨), 이어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를 거쳐 1642년 대사간을 역임했다. 서기1648 함경도 관찰사가 되고, 1649년 효종이 즉위하자 대사성(大司成)․호조참판(戶曹參判)․대사헌을 거쳐 1655년(효종6) 예조판서로서 추쇄도감(推刷都監)의 제조(提調)가 되어 전국의 노비(奴婢)를 추쇄, 강화(江華)를 방비하게 했으며 또한 장악원(掌樂院)에 소장(所藏)되어 있던 ⌈악학궤범(樂學軌範)⌋을 개간(改刊)하여 사고(史庫)에 분장(分藏)되어 있던 ⌈악학궤범(樂學軌範)⌋을 개간(改刊)하여 사고(史庫)에 분장(分藏)케 했다. 서기1657년 우의정에 이르러 효종을 도와 북벌계획(北伐計劃)을 추진하고 송준길(宋浚吉)을 병조판서, 송시열(宋時烈)을 이조판서에 추천하여 임명케 하는 등 인재 등용에도 힘을 썼다. 1685년(숙종11) 광주(廣州)의 수곡서원(秀谷書院)에 제향(祭享). 이후석(李後奭) 1598(선조31)~1666(현종7) 조선시대 문신. 자는 군보(軍保), 평림군(平林君) 지철(祉澈)의 아들. 이영언(李英彦)․정문부(鄭文孚)의 문인. 1624년(인조2) 성균관(成均館)에 입학, 1628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좌통례(左通禮)를 거쳐 울산 군수(蔚山郡守)가 되어 대기근으로 굶주리는 관내 백성을 구휼(救恤)했으나 세부(稅賦)를 잘 다스리지 못해 한때 파직되었다. 서기1647年(인조25) 병조 좌랑(兵曹佐郞)으로서 자기 처자(妻子)에게 나례(儺禮)를 거쳐 다시 파직되었다. 뒤에 상의원정(尙衣院正)을 거쳐 1666년(헌종7) 좌통례․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겸 편수관(編修官)에 이르렀다. 이 쉬(李 晬) ?~1645(인조23) 조선시대 무신. 자는 명원(明遠), 시호는 충숙(忠肅), 왕족 풍산군(豊山君) 종린(宗麟)이 아들. 1613년(광해군5) 귀천군(龜川君)에 봉해졌으나 이이첨(李爾瞻)이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일으키자 종사(宗社)를 그르친다고 상소했다가 유배되었다. 서기1621년(광해군13) 풀려나와 벽지(僻地)에 은거,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관(復官),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가 되었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 어가(御駕)를 공주(公州)에 호종(扈從)했고, 오위도총부도총관에 올랐다. 이시해(李時楷) 1600(선조33)~1657(효종8)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범(子範), 호는 남곡(南谷)․송애(松崖), 춘영(春英)의 아들. 1630년(인조8) 생원(生員)이 되고, 이 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정언(正言)을 거쳐 1635년(인조13) 지평(持平)에 이어 교리(校理)를 지냈다. 이듬해 문학(文學)이 되어 청나라 심양(瀋陽)에 볼모로 가는 소현세자(昭顯世子)를 호종(扈從), 1638년 보덕(輔德)에 오르고, 단오절(端午節)에 왕명으로 심양에 있는 세자를 문안, 이듬해 암행어사가 되어 전국을 순찰했다. 응교(應敎)․사헌부 집의(執義)를 거쳐 1645년 동부승지(同副承旨), 이듬해 우승지(右承旨), 1647년 전라도 관찰사를 지내고 1650년(효종1) 좌승지(左承旨)로서 춘추관 수찬관이 되어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다. 서기1652년 대사간을 지내고 한때 파직되었다가 다시 등용, 1653년 도승지(都承旨)에 이어 우부빈객(右副賓客)․판결사(判決事)를 지냈다. 서기1654년 대사헌․대사간․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 등을 거쳐 1657년(효종8) 이조참판(吏曹參判)이 되고, 사은부사(謝恩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시만(李時萬) 1601(선조34)~1672(현종13)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석여(錫汝), 영해군(寧海君) 당(瑭: 세종의 第9庶子)의 후손, 양휴(楊休)의 아들. 1624년(인조2)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30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이 되고, 주서(注書)․정언(正言)․지평(持平) 등을 지냈다. 서기1644년 수찬(修撰)․교리(校理)․장령(掌令), 이듬해 응교(應敎)․집의(執義) 등을 역임, 1646년 사간(司諫)에 오르고, 이어 병조와 예조의 좌랑을 지내다가 1648년에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었다. 이해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병조 참지(兵曹參知)가 되고 1650년(효종1) 전라도 관찰사를 지냈다. 1660년(현종1)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전적, 1663년 병으로 사직했다가 1665년 다시 등용되어 철원 부사(鐵原府使)를 지냈다. 이정환(李廷煥) 조선시대 학자. 자는 휘원(輝遠), 호는 송암(松巖), 관찰사 세장(觀察使世璋)이 현손(玄孫). 1633년(인조11)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으나 병자호란(丙子胡亂)의 국치(國恥)를 통분히 여겨 지은 ⌈비가(悲歌)⌋ 10수가 한역시(漢譯詩)와 함께 그의 유고(遺稿)에 전한다. 이 형(李 逈) 1603(선조36)~1655(효종6) 조선시대 문신. 자는 여근(汝近),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후재(厚載)의 아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 때에 공을 세워 육품직에 오르고, 1630년(인조8) 진사시에 합격, 사옹원 주부(司饔院主簿)․감찰(監察)․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냈다. 서기1636년 동복 현감(同福縣監),이어 군수(郡守) 등을 역임하고, 1650년(효종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사예(司藝)가 되고, 이듬해 정언(正言)․필선(弼善)을 거쳐 1653년 헌납(獻納)이 되어 같은 언관(言官)인 신상(申恦)의 죄를 탄핵했다가 경솔한 사람으로 지탄받아 경성 판관(鏡城判官)에 좌천, 이듬해 김육(金堉)의 주선으로 헌납에 복직되었다. 이 계(李 烓) 1603(선조36)~1642(인조20) 조선시대 문신. 자는 희원(熙遠), 호는 명고(鳴皐), 정랑(正郞) 진영(晋英)의 아들. 서기1621년(광해군13) 정시문과(庭試文科)을 을과(乙科)로 급제, 1637년(인조15) 지평(持平)을 지내고 이듬해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에 등용, 뒤에 사간(司諫)이 되었다. 서기1642년(인조200 선천 부사(宣川府使)로서 명나라 상선(商船)과 밀무역을 하다가 청나라에 발각되어 의주(義州)에 구금,청장(淸將) 용골대(龍骨大)의 심문에 이어 처형을 받게되자 구명책으로 최명길(崔鳴吉)․이경여(李敬輿)․신익성(申翊聖)․이명한(李明漢) 등이 명나라와 밀통(密通)하는 사실을 고하여 그들을 심양(瀋陽)에 수금(囚禁)케 하여 목숨을 건지고자 했으나, 조정에서 보낸 의금부 도사 정석문(鄭錫文)에 의해 참수(斬首)되었다. 이만영(李晩榮) 1604(선조37)~1672(현종13)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장춘(長春), 호는 설해(雪海), 임영대군(臨瀛大君)의 후손, 견철(堅鐵)의 아들. 1635년(인조13)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장원, 이 해 정조사(正朝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서 명나라에 다녀와 장령(掌令)․사간(司諫)․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역임했다. 서기1651년(효종2) 집의(執義)로 진향사(進香使)의 서장관이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1653년 사간이 되고 이어 보덕(輔德)․강원도 관찰사 등을 거쳐, 1670년(현종11) 대사간을 지낸 후 이듬해 사은 부사(謝恩副使)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와서 예조참판(禮曹參判)에 전임, 1672년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임지에서 졸하였다. 이성린(李聖麟) 조선시대 학자. 자는 문징(文徵), 호는 만계와(晩計窩), 좌랑(佐郞) 시필(時苾)의 아들. 윤선거(尹宣擧)․유계(兪啓)의 문인. 서기18세 때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성균관(成均館)에 들어가 학문을 닦고 1661년(현종20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에 음보(蔭補)가 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여산 군수(礪山郡守)에 이르렀다. 이 만(이 曼) 1605(선조38)~1664(현종5) 조선시대 문신. 자는 지만(志曼), 형조참의(刑曹參議) 휴(茠)의 아들. 1628년(인조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 정언(正言)․수찬(修撰)․교리(校理)를 거쳐 지평(持平)이 되어 정온(鄭蘊)을 옹호하다 파면되었다. 후에 기용되어 1644년(인조220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고 이어 황해도 관찰사로 부임, 이듬해 완원군(完原君)에 봉해졌다. 인조말 도승지(都承旨)․평안도 관찰사․대사간․예조참판(禮曹參判)․경상도 관찰사 등을 역임, 1650년(효종1) 병조참판(兵曹參判)이 되어 효종의 북벌계획(北伐計劃)을 도와 군비확장에 힘썼다. 이 해 도승지(都承旨)로 있을 때 북벌계획이 청나라에 탐지되어 문책을 당하게 되자, 일본의 침략에 대한 방비책이라고 변명했으나 청나라를 설득하지 못했다는 탄핵으로 영변(寧邊)에 유배되었다. 그후 등용되어 황해도 관찰사․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전라도와 평안도의 관찰사를 지내고, 1660년(현종1) 충청도 관찰사가 되어 치적을 올렸다. 1663년 호조참판(戶曹參判)으로 진하 겸 사은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와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을 지냈다. 이상경(李尙敬) 1609(광해군1)~1674(현종15) 조선시대 무신. 자는 이석(李奭.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7대손, 사직서 참봉(社稷署參奉) 전(瑑)의 아들. 서기1636년(인조14)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도사(都事)를 역임, 1637년 청나라에 볼모로 가는 소현세자(昭顯世子)․봉림대군(鳳林大君: 孝宗)을 따라 심양(瀋陽)에 가서 특히 봉림대군의 신임을 받았다. 귀국 후 평안도 병마우후(平安道兵馬虞侯)를 거쳐 김해(金海)․중화(中和)의 부사(府使)를 역임, 1649년 효종이 즉위하자 경기도 수군절도사에 승진, 삼도 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이익한(李翊漢) 1609(광해군1)~1668(현종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치흠(雉欽), 호는 향파(香坡),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소(0)의 현손(玄孫), 결(潔)의 아들. 참봉(參奉)을 지내고, 1651년(효종1)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 이듬해 통천 군수(通川郡守)가 되고, 예방 승지(禮房承旨)를 거쳐 1661년(현종2) 판결사(判決事)가 되었다. 서기1664년 충청도 관찰사로 있을 때 서천(舒川) 천방사(千房寺)의 중들이 폭동을 일으키자 조정(朝廷)에 보고하지 않고 공주 영장(公州營將) 양일한(楊逸漢)을 파견, 함부로 소관도 아닌 한산(韓山)․임천(林川 등의 군병(郡兵)을 동원하여 이들을 체포, 진압한 후에도 보고를 하지 않았다. 이 사실이 병마절도사에 의해 조정에 알려지자 이 때에야 비로소 분명하지 못한 죄상을 적어 이들의 중형(重刑)만 계청(啓請)한 죄로 선천(宣川)에 유배, 그 뒤 풀려나와 공조참판(工曹參判)이 되고, 1667년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청나라에 갔다가 북경(北京)에서 병사했다. 글씨를 잘 썼고 특히 송설체(松雪體)로 일가를 이루었다. 이 후(李 垕) 1611(광해군3)~1668(현종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중(子重), 호는 남곡(南谷), 봉래군(蓬萊君) 형윤(炯胤)의 아들. 1633년(인조11)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고, 1643년 유학(幼學)으로서 김상헌(金尙憲)․이경여(李敬輿) 등을 재상에 임명할 것을 소청(疏請)하여 임용케 했다. 서기1644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검열(檢閱)을 거쳐 1650년(효종1) 지평(持平)으로 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이 되어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다. 그후 정언(正言)․문학(文學)․장령(掌令) 등을 지내고, 1660년(현종1) 고부사(告訃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듬해 집의(執義)로 실록청(實錄廳)의 편수관이 되어⌈효종실록(孝宗實錄)⌋의 편찬에 참여, 그동안 은진 현감(恩津縣監) ․금성 군수(錦城郡守)․광주 목사(光州牧使)․홍주 목사(洪州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서기1667년(현종8) 사간(司諫)으로 있을 때, 조선에 표착한 청인(淸人) 송환을 위협적으로 요구해 온 청나라에 의해, 비굴한 정책을 쓴 대신들을 탄핵하다가 유배된 이숙(李䎘) 등 간관(諫官)들의 구제를 역설한 죄로 온성(穩城)에 유배, 후에 한재(旱災)로 방환(放還)되었다. 이 억(李 億) 1613(광해군5)~1655(효종6) 조선시대 학자. 호는 삼족당(三足堂), 시호는 정의(靖懿), 인성군(仁城君) 공(供)의 둘째 아들. 서기1627년(인조5) 해안정(海安正)에 봉해지고, 그 뒤 해안군(海安君)에 진봉(進封)되었다. 서기1628년 아버지가 폐모론(廢母論)에 가담한 죄로 진도(珍島)에 유배되어 사사(賜死)될 때 연좌하여 형제들과 함께 제주(濟州)에 유배, 1635년 양양(襄陽)으로 이배(移配)되었다. 서기1637년(인조15) 풀려나와 복관(復官)되었다. 이정영(李正英) 1616(광해군8)~1686(숙종1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수(子修), 호는 서곡(西谷), 시호는 효간(孝簡), 호조판서 경직(景稷)의 아들. 163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병자호란(丙子胡亂) 후 세자(世子)가 볼모로 심양(瀋陽)에 갈 때 사서(司書)로 시종했다가 귀국하여 정언(正言)․수찬(修撰)․응교(應敎)를 역임, 1649년 효종이 즉위하자 다시 정언이 되고, 교리(校理)․헌납(獻納)을 지냈다. 서기1651년 교리로서 술에 취하여 경연(經筵)에 나갔다가 탄핵을 받아 파직, 그후 겸사서(兼司書)․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다. 서기1660년(현종1) 대사간이 되고 이듬해 진위 겸 진향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와 평안도 관찰사가 되고, 1672년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으로 다시 동지부사(冬至副使)가 되어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했다. 서기1674년 현종이 죽자 산릉도감 당상이 되고, 이듬해 이조판서에 올랐으며, 1677년(숙종3) 형조판서로서 시관(試官)이 되어 부정을 저지른 죄로 철원(鐵原)에 유배당했다. 후에 풀려나와 판돈령부사(判敦寧府事)가 되어 1685년(숙종11)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글씨에 뛰어났고 특히 전서(篆書)․주서(0書)를 잘 썼다. 이덕주(李德周) 1617(광해군9)~1682(숙종8)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성종(聖從), 방익(邦益)의 아들. 1668년(현종9) 진사(進士)로서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675년(숙종1) 지평(持平)․장령(掌令)․사간(司諫)을 지내고 이어 집의(執義)․승지(承旨)․충청도와 강원도의 관찰사, 한산 군수를 역임했다. 1682년(숙종8) 허새(許璽)의 역모사건에 연루, 심한 고문으로 졸하였다. 이 무(李 堥) 1621(광해군13)~1703(숙종23)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삼(子三), 호는 낙계(駱溪), 시호는 장정(莊靖), 왕족 덕양군(德陽君) 기(岐)의 현손, 봉래군(蓬萊君) 형윤(炯胤)의 아들. 이식(李植)의 문인. 서기1651년(효종2)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53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뽑혀서 승문원(承文院) 벼슬에 이어 정언(正言)이 되었다. 현종 초 지평(持平)으로 남인(南人) 윤선도(尹善道)를 탄핵하고, 장령(掌令)이 되어 다시 남인의 거두 허적(許積)을 배척하다가 삭직(削職)되었다. 서기1668년(현종9) 기용되어 태상시정(太常寺正)․집의(執義)를 역임, 숙종 초 사간(司諫)으로 학문에 힘쓰고 인재를 선발하여 선비를 양성할 것을 주장했고, 둔전제(屯田制)를 폐지하여 군정(軍政)을 변통할 것을 건의했다. 서인(西人)으로서 당시 집권한 남인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어 양주(楊州)의 장리(庄里)에 은거했다가 1680년(숙종6)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다시 기용되어 사성(司成)을 거쳐 사간․태복시정(太僕寺正)․청풍 부사(淸風府使)․집의(執義)․공조참의(工曹參議)․우부승지(右副承旨)를 역임하였다. 그후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내고 지돈령부사(知敦寧府事)에 이르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글씨를 잘 썼다. 이진백(李震白) 1622(광해군14)~1707(숙종33) 조선시대 문신. 자는 태소(太素), 호는 서암(西巖), 선성군(宣城君) 무생(茂生)의 7대손. 1657년(효종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1664년(현종5) 음보(蔭補)로 참봉(參奉)이 되고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시문(時文)으로 이름이 높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났다. 이단석(李端錫) 1623(인조1)~1688(숙종14) 조선시대 문신. 자는 유초(有初), 호는 쌍호당(雙壺堂), 시호는 충민(忠愍), 왕족 경명군(景明君) 침(忱)의 후손, 집의(執義) 제형(齊衡)의 아들. 1650년(효종1)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60년(현종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승문원(承文院) 벼슬에 등용되고, 1662년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갔다. 귀국 후 정언(正言)․지평(持平)․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각 조(曹)의 참의(參議)를 역임했고, 숙종 초에 양주 목사(楊洲牧使), 장단 부사(長湍府使)․광주 부윤(廣州府尹) 등을 지냈다. 1678년(숙종4) 경상도 관찰사, 1680년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청나라에 갔으며 돌아와서 전라도 관찰사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성천 부사9成川府使)로 있다가 문무(文武) 겸전했다 하여 조정의 천거로 함경도 병마절도사가 되고 그뒤 충청도․함경도의 관찰사를 거쳐 각 조(曹)의 참판(參判)을 역임했다. 1726년(영조2) 이조판서․대제학에 추증(追贈), 정조의 묘정(廟廷)에 배향(配享). 이당규(李堂揆) 1625(인조3)~? 조선시대 문신. 자는 기중(基仲), 호는 퇴촌(退村), 시호는 문경(文敬), 영의정 성구(聖求)의 아들. 1660년(현종1)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음보(蔭補)로 1668년 의성현령(義城縣令)이 되었으며, 이 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홍문관(弘文館)에 등용되었다. 서기1672년 수찬(修撰), 이어 정언(正言)․이조 정랑(吏曹正郞)․겸문학(兼文學)을 지냈다. 숙종 초 동부승지(同副承旨)․이조참의(吏曹參議)․대사간․부제학(副提學)․대사성(大司成)․대사헌 등을 거쳐 1679년(숙종5)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이어 함경도 관찰사로 나갔으나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파직당했다가 뒤에 복관(復官)되었다. 이 집(李 鏶) 1625(인조3)~1691(숙종17) 조선시대 무신. 자는 언명(彦明), 시호는 장숙(莊肅), 광흥창수(廣興倉守) 익배(益培)의 아들. 1657년(효종8)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1673년(현종14) 함경남도 병마절도사가 되고, 이어 황해도 병마절도사에 전임, 1680년(숙종6) 부호군(副護軍)으로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연루, 유배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소론(少論)이 등용될 때 훈련 대장(訓鍊大將)이 되고, 승지(承旨)를 거쳐 1691년 공조판서에 특진되어 재직 중에 졸하였다. 이시선(李時善) 1625(인조3)~1715(숙종41) 조선시대 학자. 자는 자수(子修), 호는 송월재(松月齋), 온령군(溫寧君) 정(程: 太宗의 第3庶子)의 후손. 안동(安東) 출신. 성리학의 제서(諸書) 및 사서(史書)․병가(兵家)․지리(地理)․복서(卜筮)의 서적 등 학문 전반을 섭렵(涉獵)하여 당대 유학의 대가로 알려졌으며, 호쾌(豪快)․활달한 문장으로도 유명했고, 많은 저서를 남겼다. 이명은(李命殷) 1627(인조5)~?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숙(敬叔), 호는 백운(白雲)․봉천(鳳川), 관찰사 억손(億孫)의 현손(玄孫), 덕익(德益)의 아들. 1675년(숙종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677년 정언(正言)․지평(持平)을 거쳐 이듬해 장령(掌令)이 되고, 1679년 송시열(宋時烈)의 처단을 상소하고 사직했다. 글씨와 그림에 능했다. 이 헌(李 0) 1628(인조6)~1679(숙종5) 조선시대 문신. 자는 낙보(落甫), 호는 도촌(道村), 교리(校理) 상질(尙質)의 아들. 조석윤(趙錫胤)의 문인. 1661년(현종2) 천거로 영릉참봉(寧陵參奉)이 되고, 내시 교관(內侍敎官)을 거쳐 1665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669년 문신정시(文臣庭試)에 장원, 전적(典籍)에 오르고, 이어 정언(正言)․헌납(獻納)․부수찬(副修撰)․지평(持平) 등을 역임했다. 서기1671년 병조(兵曹)․이조(吏曹)의 좌랑(佐郞)을 거쳐 지제교(知製敎)로 뽑혀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를 겸임했다. 서기1673년에 이조 정랑(吏曹正郞)이 되고, 이듬해 부교리(副敎理)․필선(弼善)․검상(檢詳)․보덕(輔德)․인동(仁同)의 부사(府使)에, 1679년(숙종5) 첨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했다. 이 선(李 選) 1632(인조10)~1692(숙종18) 조선시대 문신. 자는 택지(擇之), 호는 지호(芝湖)․소백산인(小白山人), 시호는 정간(正簡), 우의정 후원(厚源)의 아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57년(효종8) 진사(進士)가 되고, 1664년(현종5) 춘당대문과(春塘大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검열(檢閱)에 초임(初任), 이듬해 봉교(奉敎), 1667년 정언(正言), 다음해 교리(校理)․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역임하고, 1673년 응교(應敎)로 재직중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시제(時祭)하고 황보 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의 신원(伸寃)을 상소했다. 서기1675년(숙종1) 형조참의(刑曹參議)로 있다가 송시열이 쫓겨나고 남인(南人)이 득세하자 사직, 1680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함경도 관찰사로 등용, 1683년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다. 서기1686년(숙종12)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예조참판(禮曹參判)을 역임,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온 후 이조참판을 지내고,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다시 서인이 숙청당하자 기장(機張)에 유배되어 배소(配所)에서 졸하였다. 1694년 신원(伸寃)되었다. 이민서(李敏叙) 1633(인조11)~1688(숙종14) 조선시대 문신. 자는 이중(彛仲), 호는 서하(西河), 시호는 문간(文簡), 영의정 경여(敬輿)의 아들, 도정(都正) 후여(厚輿)에게 입양(入養).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50년(효종1) 진사(進士)가 되고, 1652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검열(檢閱)․정언(正言)․지평(持平)을 지냈다. 현종 초 교리(校理)를 거쳐 수찬(修撰)에 올라 허적(許積)을 탄핵하다가 병조 좌랑(兵曹佐郞)에 전직, 검상(檢詳)․헌납(獻納)․응교(應敎)․사인(舍人)․나주 목사(羅州目四)를 거쳐 이조와 호조의 참의(參議)를 역임했다. 1677년(숙종3) 광주 목사(光州牧使)로서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박광옥(朴光玉)의 사우(祠宇)를 중수하고 김덕령(金德齡)을 제향(祭享)케 한 후 병으로 사직했다. 뒤에 승지(承旨)․대사간․대제학에 이어 공조․병조․이조․호조의 참판(參判)을 역임, 우참찬(右參贊)이 되었다가 1683년(숙종9)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를 거쳐 예조․호조․이조의 판서를 역임, 지돈령부사(知敦寧府事)가 되었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다. 나주(羅州)의 서하사(西河祠), 흥덕(興德)의 동산서원(東山書院)에 제향(祭享). 이만성(李晩成) 1636(인조14)~1708(숙종34) 조선시대 문신. 자는 기숙(器叔), 예조판서 정영(正英)의 아들. 1666년(현종7)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1670년 음보(蔭補)로 세마(洗馬)가 되고 형조 좌랑(刑曹佐郞)․호조 정랑(戶曹正郞)․평강 현감(平康縣監)을 역임, 1683년(숙종9) 안성 군수(安城 郡守)가 되었다. 소론(小論)에 소속되어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자 사직,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남인(南人)이 제거되자 한성부 판관(漢城府 判官)에 임명되고, 이어 성천 부사(成川府使)로 나갔으나 죄인을 문초하다 죽게 하여 파면되었다. 1696년 복직, 성주 목사(星州牧使)․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강화부 경력(江華府經歷)․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예빈시정(禮賓寺正)을 역임, 서기1708년(숙종34) 호군(護軍)을 거쳐 돈령부 도정(敦寧府都正)에 이르렀다. 이 곽(李 0) 조선시대 왕족. 자는 노백(魯伯), 호는 노주(鷺州), 선조의 증손자, 인흥군(仁興君) 영(瑛)의 손자. 낭원군(郎原君) 간(0)의 아들. 낭선군(朗善君) 우(俁)에게 입양(入養). 전평군(全坪君)에 봉해졌으며, 1689년(숙종15) 인현왕후(仁顯王后)가 폐위되자 극간(極諫)하는 상소를 했다. 문명(文名)이 있었다. 이 윤(李 倫) 1636(인조14)~1731(영조7) 조선시대 문신. 자는 여명(汝明), 시호는 정간(貞簡), 영성군(寧城君) 계(0)의 아들,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 황이중(黃履中)의 딸. 오랫동안 사옹원(司饔院)과 종부시(宗簿寺)를 주관했고, 종친부 유사당상으로 있으면서 도총부 도총관을 겸했다. 효종에서 영조에 이르는 5대에 걸쳐 벼슬했으며 회원군(檜原君)에 봉해졌다. 이 우(李 俁) 1637(인조15)~1693(숙종19) 조선시대 왕족․서화가. 자는 석경(碩卿), 호는 관란정(觀瀾亭), 시호는 효민(孝敏), 인흥군(仁興君: 宣祖의 12男) 영(瑛)의 아들. 왕족으로서 낭선군(朗善君)에 봉해졌고 1662년(현종3) 형제인 여러 왕자들과 함께 7조(朝)의 어필(御筆)을 모사(摸寫)하여 간행, 그 공으로 숭헌대부(崇憲大夫)가 되고, 이듬해 진위 겸 진향사로 청나라에 가서 뇌물로 4천금(金)을 사통(私通)한 죄로 귀국 후에 삭직(削職) 당했으나 후에 용서되었다. 서기1664년 과천(果川) 등지를 유람하면서 여러 절들을 찾아가 행패를 부렸다는 대간(臺諫)의 탄핵으로 파직, 투옥(投獄)되었다가 곧 용서되고, 1671년 다시 문안사(問安使)가 되어 청나라에 갔으며 1674년(현종15) 인선대비(仁宣大妃)가 죽자 수릉관(守陵官)을 지냈다. 서기1681년(숙종7) ⌈선원록(璿源錄)⌋을 수찬(修撰), 1686년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했다. 글씨에 능하여 전서(篆書)․주서(籒書)․초서(草書)․예서(隸書)에 모두 뛰어났으며 많은 비액(碑額)을 썼다. 이현기(李玄紀) 1637(인조15)~1704(숙종30) 조선시대 문신. 자는 원방(元方), 호는 졸재(拙齋), 수광(晬光)의 증손, 동규(仝揆)의 아들. 1673년(현종14)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1676년(숙종2)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史官)에 뽑히고 수찬(修撰)이 되었다. 서기1686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병과(丙科)로 급제, 집의(執義)․우부승지(右副承旨)․대사성(大司成)․전라도와 경상도의 관찰사를 역임했다. 서기1694년(숙종20) 갑술옥사(甲戌獄事)에 연루되어 유배(流配), 이어 절도(絶島)에 안치(安置)되었다가 1699년 전리(田里)에 방귀(放歸)되었다. 이기홍(李箕洪) 1641(인조19)~1780(숙종34) 조선시대 학자. 초명은 기주(箕疇), 자는 여구(汝九), 호는 직재(直齋), 부사과(副司果) 숙(塾)의 아들. 이지렴(李之濂)․송시열(宋時烈)의 문인.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효릉참봉(孝陵參奉)이 되었고, 1689년(숙종15) 스승 송시열이 제주(濟州)로 귀양가게 되자 동문 40여명과 함께 이를 변론, 회령(會寧)에 유배되어 5년 동안 그 곳에서 후진을 교육했다. 1694년(숙종20) 자의(諮議)․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서연관(書筵官)․지평(持平)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뒤에 통천 현감(通川縣監)을 거쳐 청풍 부사(淸風府使)를 지냈다. 그 뒤 장령(掌令)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연풍(延豊)에 내려가 권상하(權尙夏)와 함께 경사(經史)를 강론하고 사문(師門)의 유적을 찾아다니며 소일했다. 여러번 집의(執義)로 기용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징귀(李徵龜) 1641(인조19)~1723(경종3) 조선시대 문신. 자는 여휴(汝休), 시호는 정청(靖淸), 현감(縣監) 민정(敏政)의 아들. 1663년(현종4) 진사(進士)가 되고 1676년(숙종2)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정언(正言)을 거쳐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어 병조판서 남구만(南九萬)을 도와 신임을 받고 1685년(숙종11)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승진했다. 그후 좌승지(左承旨)․도승지(都承旨)를 거쳐 형조판서로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글씨에 뛰어났다. 이귀령(李龜齡) 1645(인조23)~1715(숙종4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여범(汝範), 별검(別檢) 진규(震奎)의 아들. 1689년(숙종15)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91년(숙종17)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장령(掌令)에 이어 능주 목사(綾州牧使)가 되어 민폐를 없애고 학교(學校)를 세우는등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이의징(李義徵) ?~1695(숙종21) 조선시대 무신. 판서 응시(應蓍)의 아들. 1679년(숙종5) 천거로 진안 현감(鎭安縣監)이 되고, 서기1681년 암행어사 오도일(吳道一)의 추천으로 양리(良吏)로서 왕에게 상작을 받았다. 1689년에 호조참의(戶曹參議)로 발탁된 뒤 충홍도 관찰사․수원 부사(水原府使), 이듬해 어영 대장(御營大將), 1691년 호조참판(戶曹參判)을 거쳐 훈련 대장(訓練大將)이 되었다. 다음해 공조판서․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1693년 다시 훈련 대장이 되어 왕명으로 통진 문수산(通津文殊山) 일대를 답사, 축성(築城)의 필요성을 건의하여 성을 쌓게했다. 이듬해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가 되고 다시 훈련 대장에 보직되었다가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절도(絶島)에 위리안치(圍籬安置), 이듬해 사사(賜死)되었다. 이 유(李 濡) 1645(인조23)~1721(경종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우(子雨), 호는 녹천(鹿川), 시호는 혜정(惠定),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후손, 군수(郡守) 중휘(重輝)의 아들. 1668년(현종9)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정언(正言)․지평(持平)․설서(設書)․교리(校理)․응교(應敎) 등을 지내고, 1681년(숙종7) 성혼(成渾)의 아버지 수침(守琛)에게 시호(諡號)를 내릴 것을 청하여 실현되었다. 서기1683년 왕대비(王大妃)가 죽자 고부사(告訃使)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승지(承旨)․경상도 관찰사․전라도 관찰사․강양도(江襄道) 관찰사 등을 지냈다. 서기1689년(숙종15)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대사간으로서 송시열(宋時烈)을 탄핵하지 않아 전직되었고,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평안도 관찰사가 되었다. 그후 예조 참판(禮曹參判)․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병조판서 등을 지내고 1703년(숙종29) 이조판서로서 중앙관제(中央官制)의 일부를 개혁하게 했다. 이듬해 우의정이 되어 백골징포(白骨徵布)의 폐(弊)를 시정했고, 1705년 왕에게서 재상(宰相) 천거의 명을 받아 조태채(趙太采)를 천거, 호조판서가 되게 했으나 이는 불공평했다는 탄핵을 받아 전직되었다. 서기1707년에 좌의정에 승진하고, 1709년 약방 도제조(藥房都提調)로서 사형수(死刑囚) 이식(李鉽)의 옥중에서의 상변(上變) 사건을 광해군 때의 박응서(朴應犀)의 사건에 비유했다가 다시 전직되었다. 서기1712년 영의정, 1718년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경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 이사명(李師命) 1647(인조25)~1689(숙종15) 조선시대 문신. 자는 백길(伯吉), 호는 포암(蒲菴), 대사헌 민적(敏迪)의 아들. 시재(詩才)가 뛰어나 김창흡(金昌翕)과 명성을 다투었다. 서기1672년(현종13) 진사(進士)가 되고, 1680년(숙종6)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에 장원, 정언(正言)이 되어 서인(西人)으로서 이 해 경신대출적에 남인(南人)을 몰아내는데 가담, 보사공신(保社功臣) 2등으로 완녕군(完寧君)에 봉해졌으며, 사간원(司諫院)․홍문관(弘文館)에서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고 1682년 전라도 관찰사가 되어 전라도 감영에서 주전(鑄錢)을 맡았다. 서기1685년(숙종11) 특명으로 형조 판서에 전임, 이듬해 병조 판서가 되었으나 1688년 윤세희(尹世喜)․최석항(崔錫恒)등의 탄핵으로 삭주(朔州)에 유배, 이듬해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득세하자 사형당했다. 뒤에 신원(伸寃). 이현석(李玄錫) 1647(인조25)~1703(숙종39) 조선시대 문신. 자는 하서(夏瑞), 호는 유재(遊齋), 시호는 문목(文穆), 수광(晬光)의 증손, 상규(尙揆)의 아들. 1667년(현종8) 진사(進士)가 되고 1675년(숙종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이듬해 검열(檢閱)에 보직된 뒤, 3사(司)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서기1682년 우승지(右承旨), 1688년 동래 부사(東萊府使), 이듬해 경상도 관찰사, 1691년 동지중추부사가 되고 1693년 춘천 부사(春川府使)로 나갔다. 이듬해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거쳐 1697년 우참찬(右參贊), 1700년(숙종26)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글씨도 잘 썼다. 이 담(李 湛) 1648(인조26)~1724(경종4) 조선시대 학자. 자는 경화(景和), 호는 성재(醒齋), 군수(郡守) 중휘(重輝)의 아들, 영의정 유(濡)의 동생. 조익(趙瀷)․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송시열이 화를 입은 뒤 광주(廣州)에 은거하여 학문에 정진하다가 1694년(숙종20) 갑술옥사(甲戌獄事) 후 천거되어 임천 군수(林川郡守)를 지냈다. 이상집(李尙0) 1649(인조27)~1722(경종2) 조선시대 무신. 자는 계방(季芳),시호는 충목(忠穆), 무림군(茂林君) 선생(善生)의 7대손. 1682년(숙종8) 무과(武科)에 급제, 경상우도 수군절도사를 거쳐 삼군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서기1722년(경종2)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목호룡(睦虎龍)의 무고로 국문(鞠問)을 당한 끝에 장살(杖殺)되었다. 서기1725년(영조1) 신원(伸寃)되고, 호조판서에 추증(追贈). 이대성(李大成) 1651(효종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시숙(始叔), 호는 삼취헌(三翠軒), 판서 경직(景稷)의 손자, 이조판서 정영(正英)의 아들. 1682년(숙종8) 진사(進士)가 되고, 음보(蔭補)로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이르러 1699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兵戈)로 급제, 이듬해 지평(持平), 1708년 검토관(檢討官), 뒤에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를 지내고, 1716년 호조참판(戶曹參判)이 되어 이 해 사은 겸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했다. 소론(少論)의 과격파였다. 이 택(李 澤) 1651(효종2)~1719(숙종45) 조선시대 무신. 자는 운몽(雲夢), 참판(參判) 진백(震白)의 아들. 1676년(숙종2)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고산진 첨절제사로 나갔다가 남구만(南九萬)등의 추천으로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이 되고 이어 훈련원정(訓鍊院正)․부산진 첨절제사․전라좌도 수군절도사를 지냈다. 그후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올랐으나 대간(臺諫)과 사이가 나빠 병을 핑계로 사직했다. 시조(時調) 2수가 전한다. 이익수(李益壽) 1653(효종4)~1708(숙종34) 조선시대 문신. 자는 구이(久而), 호는 백묵당(白黙堂), 시호는 문간(文簡), 목사(牧使) 원귀(元龜)의 아들. 1682년(숙종8) 진사(進士)로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687년 지평(持平)으로 나양좌(羅良佐)를 변호하여 한때 삭직(削職)되었다가 정언(正言)에 올랐다. 서기1689년 지평(持平)으로 장희빈(張嬉嬪)의 어머니가 옥교(屋轎)를 타고 궁궐문 밖에 온 것을 보고 이를 가로막아 파직당했다. 그후 다시 기용되어 사간(司諫)을 거쳐 1697년에 승지(承旨), 이어 대사간․판의금부사․이조판서를 역임, 좌참찬(左參贊)으로 졸하였다. 이기익(李箕翊) 1653(효종4)~1738(영조14) 조선시대 문신. 자는 국필(國弼), 호는 시은(市隱), 시호는 양정(良靖), 무(堥)의 아들. 1687년(숙종13)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696년(숙종22)에 참봉(參奉)이 되고 이어 부평(富平)․영동(永同)의 현감(縣監)을 지냈다. 서기1713년(숙종39)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서기1716년 사간(司諫)을 거쳐 이듬해 승지(承旨)를 지내고, 강원도 관찰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다. 서기1721년(경종1)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파직되었다가 영조 즉위 후 다시 등용, 사직(司直)을 거쳐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이르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공조판서를 지냈다. 이형상(李衡祥) 1653(효종4)~1733(영조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중옥(仲玉), 호는 병와(甁窩)․순옹(順翁),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후손. 1677년(숙종3)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80년(숙종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내다가 덕유산(德裕山)에 도적이 창궐하자 문무(文武)를 겸비한 인물로 추천되어 금산 군수(錦山郡守)로 부임, 도적을 토평(討平)하고 선정을 베풀었다. 서기1703년(숙종29) 제주 목사(濟州牧使)가 되어 3읍(邑)의 성묘(聖廟)를 수리, 덕망높은 선비를 뽑아 교학(敎學)을 담당케 했으며, 고․부․양(高夫良)의 삼성사(三姓祠)를 건립하는 한편 미풍양속(美風良俗)을 장려하여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졌다. 서기1727년(영조30 호조참의(戶曹參議)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영천(永川)에 홍연정(洪然亭)을 세워 학문에 열중하면서 ⌈돈서록(0筮錄)⌋이라는 팔외십악(八畏十惡)의 만언소(萬言疏)를 초안했다. 서기1728년(영조4) 가선대부(嘉善大夫)가 되고, 소론(少論)의 일파인 이인좌(李麟左)가 난을 일으키자 경상도 소모사(召募使)가 되었으나 같은 소론으로서 당론을 발설했다는 무고로 한때 투옥되었다. 후에 한성 부윤(漢城府尹)에 이르렀다. 서기1796년(정조20)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고, 영천(永川)의 성남서원(城南書院)에 제향(祭享). 이 제(李 濟) 1654(효종5)~?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인(景仁), 호는 성곡(星谷), 군수(郡守) 영휘(永輝)의 아들. 박세당(朴世堂)의 문인(門人). 1687년(숙종13)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시직(侍直)을 지내고, 1699년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했으나 이듬해 시권(試券)을 훔쳐내어 과거에 급제한 사실이 밝혀져 탄핵을 받아 충군(充軍) 되었다. 서기1701년(숙종27)에 풀려나와 승지(承旨)가 되고, 1704년 충청도 관찰사, 1706년 황해도 관찰사를 거쳐 이듬해 승지․대사성(大司成)을 지냈다. 서기1709년(숙종27)에 풀려나와 승지(承旨)가 되고, 1704년 충청도 관찰사, 1706년 황해도 관찰사를 거쳐 이듬해 승지․대사성(大司成)을 지냈다. 서기1709년 다시 탄핵을 받아 삭직(削職)되었다가 이듬해 승지에 복직, 전라도와 평안도의 관찰사를 거쳐 1712년 예조 참판(禮曹參判)․대사간을 지내고, 이 해 과거(科擧)릐 부정을 상소했다가 도리어 파직, 광주(廣州)에 내려가 경사(經史)를 연구했다. 서기1722년(경종2) 사간(司諫)으로 복직되었으나 1724년(영조 즉위) 다시 소론(少論)이 실각당할 때 갑산(甲山)에 유배, 배소(配所)에서 졸하였다. 이현조(李玄祚) 1654(효종5)~?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계상(啓商), 호는 경연(景淵), 영의정 성구(聖求)의 손자, 좌랑(佐郞) 석규(碩揆)의 아들. 1681년(숙종7) 진사(進士)가 되고 이듬해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683년 검열(檢閱)․대교(待敎)를 거쳐 1688년 지평(持平)이 되었다. 이 해 정언(正言)으로 박세체(朴世采)를 신구(伸求)했고, 이듬해 수찬(修撰)․헌납(獻納)․이조 좌랑(吏曹佐郞), 1690년 이조 정랑(吏曹正郞)․문학(文學)․사인(舍人)․부응교(副應敎)를 역임, 이듬해 병조참지(兵曹參知)를 거쳐 우부승지(右副承旨),1693년(숙종19) 대사간에 오른 뒤 강원도 관찰사로 나갔다. 이덕성(李德成) 1655(효종6)~1704(숙종30) 조선시대 문신. 자는 득보(得甫), 호는 반곡(盤谷)․지비자(知非子), 판서 경직(景稷)의 손자, 후영(後英)의 아들. 1677년(숙종3)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682년 춘당대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 순안 현령(順安縣令)․정언(正言) 등을 거쳐 1687년 동래 부사(東萊府使)가 되고, 1698년 승지(承旨)로 동지부사(冬至副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와 충청도 관찰사에 이르렀다. 글씨도 잘 썼다. 이사상(李師尙) 1656(효종1)~1725(영조1)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성망(聖望), 도승지(都承旨) 하(夏)의 아들. 1689년(숙종15)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 홍문관(弘文館)에 등용, 1693년 문학(文學)․지평(持平)을 거쳐 홍천 현감(洪川縣監)․지평(持平)․수찬(修撰)․교리(校理)․사인(舍人)을 역임, 1707년 부응교(副應敎)로 문과중시(文科重試)에 을과(乙科)로 급제, 소론(少論)으로서 집의(執義)․광주 부윤(廣州府尹)을 지내는 동아 김일경(金一鏡) 등과 교유했다. 서기1709년 동부승지(同副承旨)․경상도 관찰사 등을 지내고, 1711년 노론(老論) 일색이던 대간(臺諫)으로부터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풀려나와 1721년(경종1) 전라도 관찰사, 이듬해 대사간(大司諫), 이어 대사성(大司成)․동지의금부사․도승지(都承旨)․대사헌을 역임했다. 서기1722년 대사간으로서 노론을 탄핵하여 축출, 신임사화(辛壬士禍)에 큰 역할을 담당했고, 소론의 집권을 도우며 1724년 부제학(副提學)에 전직되었으나 이 해 영조가 즉위하고 이듬해 노론의 검토관(檢討官) 홍현보(洪鉉輔)가 신임사화의 전말을 밝히는 소를 올림으로써 앞서의 음모가 드러나 절도(絶島)에 안치(安置), 이어 사사(賜死)되었다. 그가 지은 경종의 시책문(諡冊文)이 ⌈의릉지장(懿陵誌狀)⌋에 실려 있다. 이삼석(李三錫) 1656(효종7)~? 조선시대 문신. 호는 설월당(雪月堂), 익신(翊臣)의 아들. 1681년(숙종7) 사은사(謝恩使) 이필(李弼)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이듬해 통신사(通信社) 유지완(尹趾完)의 사자관(寫字官)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글씨를 잘 썼다. 이이명(李頤命) 1658(효종9)~1722(경종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양숙(養叔), 초자(初字)는 지인(智仁), 호는 소재(疏齋), 시호는 충문(忠文), 영의정 경여(敬輿)의 손자, 대사헌 민적(敏迪)의 아들, 지평(持平) 민채(敏采)에게 입양(入養). 서기1680년(숙종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홍문관(弘文館)의 정자(正字)․박사(博士)를 지내고, 1686년 집의(執義)로서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병과(兵科)로 급제, 이 해 강원도 관찰사가 되었다. 서기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에 서인(西人)으로서 영해(寧海)로 유배되었다가 1692년 남해(南海)로 이배(移配)되었다. 서기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남인(南人)이 실각하자 호조참의(戶曹參議)로 기용되고,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를 거쳐 1698년 대사간이 되어 형 사명(師命)의 죄를 변호하다가 공주(公州)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풀려나와 형조참판(刑曹參判)이 되고, 예조판서․대사헌, 이조와 병조의 판서,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역임, 1705년(숙종31) 우의정에 올랐다. 뒤에 좌의정을 지내고, 1720년 숙종이 죽자 고부사(告訃使)로 청나라에 가서 북경(北京)에 있던 독일 신부 쾨글러, 포르투갈 신부 사우레스 등과 교유(交遊)했고, 천주교․천문(天文)․역산(曆算)에 관한 서적을 가지고 이듬해 귀국, 이를 소개했다. 이해 노론(老論) 4대신의 한 사람으로 세제(世弟:英祖)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주청, 이를 실현케 했으나 소론(少論)의 최석항(崔錫恒)․조태억(趙泰億)의 반대로 그 결정이 철회되자 파직, 이어 왕의 병을 조작하여 발설하고 이를 이유로 대리청정케 했다는 탄핵을 받아 이듬해 남해(南海)에 유배되었다가 이천기(李天紀)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다는 목호룡(睦虎龍)의 무고로 서울로 압송되어 사사(賜死)되었다 (辛壬士禍). 당대의 석학(碩學)으로서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했으며 특히 청나라의 실학사조(實學思潮)에 관심이 깊어 이를 소개했으며, 서학(西學)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영조가 즉위하자 관작이 복구되었다. 과천(果川)의 사충서원(四忠書院)에 제향(祭享). 이익한(李翊漢) 1659(효종10)~? 조선시대 문신. 자는 여익(汝翼), 상연(尙淵)의 아들, 1700년(숙종26) 생원(生員)으로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에 장원, 장령(掌令)을 거쳐 필선(弼善)․헌납(獻納)을 지내고, 1709년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서기1710년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듬해 나주 목사(羅州牧使), 1714년 좌부승지(左副承旨) 등을 역임하고 1722년(경종2) 강원도 관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승지(承旨)가 된 후 경기 수군절도사를 거쳐 1727년(영조3)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냈다. 1732년 한성부 우윤, 1734년 동지의금부사를 역임했다. 이관명(李觀命) 1661(현종2)~1733(영조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빈(子賓), 호는 병산(屛山), 시호는 문정(文靖), 영의정 경여(敬輿)의 손자 ,대제학 민서(敏叙)의 아들. 1687년(숙종13)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695년 초임으로 세마(洗馬)가 되고,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거쳐 1698년 함열 현감(咸悅縣監)이 되어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교리(校理)․겸보덕(兼輔德)․승지(承旨) 및 이조 정랑(吏曹正郞)․사인(舍人) 등을 역임하고, 오랫동안 홍문관(弘文館)에 재직했다. 예조․이조의 참판(參判)을 거쳐 1718녀 사은부사(謝恩副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고, 이듬해 예조 판서에 이르고 양관 대제학을 거쳐 1720년 이조판서에 전임되었다. 아우 건명(健命)이 노론(老論) 4대신의 한 사람으로 1722년(경종2) 신임사화(辛壬士禍)에 극형을 받자 이에 연좌, 덕천(德川)에 유배, 노복(奴僕)이 되었다. 1725년(영조1) 풀려나와 우의정이 되고 이듬해 좌의정에 이르렀다. 흥덕(興德)의 동산서원(東山書院)에 제향(祭享). 이동언(李東彦) 1662(현종3)~1708(숙종34) 조선시대 문신. 자는 국미(國美), 호는 삼복재(三復齋), 목사(牧使) 세무(世茂)의 아들. 1693년(숙종19)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한 뒤 정언(正言)․지평(持平)․문학(文學)을 지냈다. 1703년 북평사(北平事)로 나갔다가 다시 사서(司書)․집의(執義)를 거쳐 다음해 지평(持平)으로 재직중 조태억(趙泰億)의 모함으로 투옥되어 옥사했다. 1709년 교리(校理) 이재(李縡)의 상소로 신원(伸寃)되었다. 이만형(李萬亨) 1663(현종4)~1706(숙종32) 조선시대 학자. 자는 자하(子夏), 호는 삼우재(三友齋),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후손.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83년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장릉 참봉(章陵參奉)이 되었다. 1689년(숙종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송시열이 사사(賜死)되자 유생(儒生)들을 이끌고 이를 항변하다가 고성(固城)에 유배,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남인(南人)이 실각하자 풀려나와 공릉 참봉(恭陵參奉)이 되고 이어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이 되고 이어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세마(洗馬)․장악원 주부(掌樂院主簿)를 거쳐 연풍 현감(延豊縣監)이 되었다. 이건명(李健命) 1663(현종4)~1722(경종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중강(仲剛), 호는 한포재(寒圃齋)․제월재(霽月齋), 시호는 충민(忠愍), 판서 민서(敏叙)의 아들. 1684년(숙종10)에 진사(進士), 1686년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696년 이조 정랑(吏曹正郞)이 되었다. 응교(應敎)․보덕(輔德)․사간(司諫)을 역임, 1698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우승지(右承旨)․대사간(大司諫)․이조참의(吏曹參議)를 거쳐 1704년 이조 판서가 되고, 부제학(副提學), 형조․호조․예조의 판서를 지낸 후 1718년(숙종44) 우의정에 오르고, 1720년 좌의정에 이르렀다. 서기1721년(경종1) 노론 사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으로 세제(世弟: 英祖)의 책봉을 주청, 그 실현을 보고 책보주청사(冊封奏請使)로 청나라에 간 동안 국내에서 신임사화(辛壬士禍)가 일어나 노론이 제거되어 1722년 귀국하는 즉시 청나라에서 세제책봉의 명분으로 경종이 병이 있느 것처럼 발설했다는 죄로 나로도(羅老島)에 유배, 이어 사사(賜死)되었다. 그의 두 아들도 아버지 시체를 덕산(德山)에 묻고 나서 자결했다. 1724년(영조 즉위) 신원(伸寃)되었다.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글씨는 특히 송설체(松雪體)에 빼어났다. 흥덕(興德)의 동산서원(東山書院), 과천(果川)의 사충서원(四忠書院) 나주(羅州)의 서하사(西河祠)에 제향(祭享). 이광려(李匡呂) 조선시대 학자. 자는 성재(聖載), 호는 월암(月巖)․칠탄(七灘), 진수(眞洙)의 아들. 학문과 문장에 뛰어나 천거를 받아 참봉(參奉)이 되었다. 일찍부터 책을 통해 고구마에 대한 지식을 얻고 통신사(通信士) 조엄(趙曮) 등이 고구마를 갖고 귀국하자 이를 재배하여 기술 부족으로 실패는 했으나 동래 부사 강필리(姜必履)에게 자극을 주어 재배에 성공케 했다. 이삼만(李三晩) 조선시대 서예가. 자는 윤원(允遠), 호는 창암(蒼巖), 어려서부터 글씨쓰기에 몰두하고 병중에도 하루 1천자씩 연습, 벼루를 세 개나 구멍을 냈다고 전한다.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으나 서예(書藝)에만 정진, 마침내 가산이 탕진되었으며, 글씨를 배우러 오는 사람이 있으면 한자 한 획을 가르치는 데 한 달씩이나 걸렸다. 원래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우연히 부산(釜山)의 상인이 전주에 들러 그의 글씨를 얻어다 감상가에게 의뢰함으로써 영조․정조 때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이유철(李惟哲) 1663(현종4)~1740(영조16) 조선시대 은사(隱士). 자는 사중(思仲), 세종의 둘째 서자(庶子) 계양군(桂陽君) 증(贈)의 후손.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경서(經書)에 밝았고, 1689년(숙종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인현왕후(仁顯王后)가 서인(庶人)으로 폐출되고 송시열이 제주도에 유배되자 그 불가함을 주장했다. 과거(科擧) 응시를 단념하고 양주(楊洲)에 돌아가 독서(讀書)로 여생을 보냈다. 제가(諸家)의 경서를 전주(箋註)하고 가례(家禮)를 상술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으나 전하지 않는다. 이재형(李載亨) 16659현종6)~1741(영조17) 조선시대 학자. 자는 가회(嘉會), 호는 송암(松巖), 시호는 장간(章簡), 뒤에 문간(文簡)으로 개시(改諡),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후손. 경성(鏡城) 출신. 1716년(숙종42) 김창집(金昌集)의 추천으로 남부 참봉(南部參奉)이 되고, 후에 내시 교관(內侍敎官)․부수(副0)․장악원 주부(掌樂院主簿) 등을 역임, 1740년(영조16) 지평(持平)에 임명되었으나 노환(老患)으로 취임하지 못했다. 이정걸(李廷傑) 1666(현종7)~? 조선시대 문신. 자는 수보(秀甫)․순보(舜甫), 호는 백파(栢坡), 상백(相伯)의 아들. 윤증(尹拯)의 문인. 1712년(숙종38)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경종 때 정언(正言)․필선(弼善)․장령(掌令)을 지내고, 1724년(영조즉위) 집의(執義), 이어 승지(承旨)를 거쳐 1729년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에 승진, 이 해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전임했다가 이듬해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가 되었다. 이 즙(李 楫) 1668(현종9)~1731(영조7) 조선시대 왕족. 자는 제경(濟卿), 호는 수분와(守分窩), 시효는 효헌(孝憲), 인조의 고손 영창군(瀛昌君) 심(沈)의 아들, 화천군(花川君) 비(淝)에게 입양(入養). 서기1704년(숙종30) 여성군(礪城君)으로 봉해지고, 부총관(副摠管)을 거쳐 1719년 도총관(都摠官)에 승진, 종부시 제조(宗簿寺 提調)를 겸했고, 1725년(영조1) 세자책봉 주청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양왕(兩王: 王義之․王獻之)의 필법을 터득하여 글씨에 뛰어났고 팔분체(八分體)에도 일가를 이루었다. 이진유(李眞儒) 1669(현종10)~1730(영조6) 조선시대 문신. 자는 사진(士珍), 호는 북곡(北谷), 참판(參判) 대성(大成)의 아들. 서기1707년(숙종33) 진사(進士)가 되고, 이 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검열(檢閱)에 등용되었다가 그후 교리(校理)․수찬(修撰)을 지냈다. 서기1716년(숙종42) 소론(少論)으로서 ⌈가례원류(家禮源流)⌋의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에서 소론의 영수 윤증(尹拯)을 비난한 그 필자 권상하(權尙夏)․정호(鄭澔)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삭출(削黜), 1721년(경종1) 정언(正言)에 기용되고, 이듬해 사간(司諫)으로서 세제(世弟: 英祖)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건의한 노론 4대신을 탄핵, 이들을 제거했으며, 이어 김일경(金一鏡) 등과 함께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켜 노론을 숙청했다. 부제학(副提學)․이조판서 겸 좌부빈객(左副賓客)을 역임, 1724년 경종이 죽자 고부부사(告訃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노론이 등용되자 극변(極邊)에 안치(安置)되었다가 중앙에 압송되어 문초를 받던 중 옥사했다. 글씨에 뛰어났다. 이 헌(李 攇) 1669(현종10)~1730(영조6) 조선시대 왕족(王族), 자는 문숙(文叔), 시호는 효의(孝懿), 선조의 고손자, 광평군(光平君) 명(溟)의 아들. 숙종 초 영원군(靈原君)에 봉해지고, 부총관(副摠管)을 여섯 번, 도총관(都摠管)과 종친부(宗親府) 유사당상(有司堂上)을 세 번 지내고 분무원 종공신 1등으로 가덕대부(嘉德大夫)에 올랐다. 이진검(李眞儉) 1671(현조12)~1727(영조3) 조선시대 문신. 자는 중약(仲約), 호는 각리(角里), 대성(大成)의 아들. 1699년(숙종25) 생원(生員)이 되고, 1704년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을 거쳐, 대교(待敎)․사서(司書)․수찬(修撰)․호군(護軍)을 역임했다. 서기1721년(경종1)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노론(老論) 이이명(李頤命)을 논척(論斥) 하고 밀양(密陽)에 유배, 이듬해 풀려나와 평안도 관찰사가 되었다. 이어 예조판서에 승진, 소론(少論)으로서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노론을 축출하는데 가담했다가, 1725년(영조1) 소론이 실각하자 강진(康津)에 안치(安置)되어 배소(配所)에서 졸하였다. 글씨에 뛰어났다. 이재항(李載恒) 1672(현종13)~1725(영조1) 조선시대 무신(武臣). 자는 군망(君望),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후손. 1706년(숙종32)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으로 비변사 낭관(備邊司郎官)을 겸임, 여러 벼슬을 거쳐 경상도 수군절도사가 되었다. 서기1724년(경종4) 노론(老論)인 이이명(李頤命)의 일파라 하여 삭직(削職)되었다가, 영조가 즉위하자 다시 기용되어 삼도 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글씨를 잘 써서 이름을 떨쳤다. 이진망(李眞望) 1672(현종13)~1737(영조13) 조선시대 문신. 자는 구숙(久叔), 호는 도운(陶雲), 영의정 경석(景奭)의 증손, 우성(羽成)의 아들. 1696년(숙종22) 생원(生員)이 되고, 1711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 지평(持平)․정언(正言)을 거쳐 1725년(영조1) 대사성(大司成)으로 소론(少論) 이광좌(李光佐)의 신원(伸寃)을 상소하였다. 서기1730년 형조판서가 되고 1732년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와 예조판서가 되어 대제학(大提學)을 겸임, 1735년 좌참찬(左參贊)으로 빈객(賓客)을 겸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졸하였다. 영조의 잠저(潛邸) 시절에 사부(師傅)로서 왕의 예우(禮遇)를 받았다. 이수량(李遂良) 1673(현종14)~1735(영조11) 조선시대 무신. 자는 선보(善甫), 시호는 충양(忠襄), 통제사(統制使)의 아들. 1699년(숙종25) 무과(武科)에 급제, 덕천 군수(德川郡守)․삼화 부사(三和府使)․경상우도 병마절도사․함경남도 병마절도사․함경북도 병마절도사 등을 역임. 서기1728년(영조4)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마병 별장(馬兵別將)으로 도순무사(都巡撫使) 오명항(吳命恒)을 따라 토벌에 출전하여 진위(振威)에서 적의 수뇌 김성옥(金聲玉)을 살해, 안성(安城) 청룡산(靑龍山) 싸움에서 적장 박종원(朴宗元)을 참수(斬首), 죽산(竹山) 장령(獐嶺) 싸움에서 마침내 괴수 이인좌를 생포하여 분무공신(奮武功臣) 3등으로 완춘군(完春君)에 봉해졌다.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겸 도총관(都摠官)․포도 대장(捕盜大將)․삼도 수군통제사를 거쳐 평안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이정소(李廷熽) 1674(현종15)~1736(영조1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여장(汝章), 호는 춘파(春坡), 시호는 충헌(忠獻), 좌랑(佐郞) 상휴(相休)의 아들. 강화(江華) 출신. 1696년(숙종22) 진사(進士)가 되고, 1714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 노론(老論)으로서 지평(持平)․정언(正言)을 지내며 1721년(경종1) 노론 4대신과 함께 연잉군(延礽君: 英祖)을 왕세자(王世子)로 책봉하게 했으나 신임사화(辛壬士禍)로 노론이 실각당할 때 영해(寧海)에 유배되었다. 서기1725년(영조1) 풀려나온 뒤 승지(承旨)를 거쳐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냈다. 이조판서에 추증(追贈). 이수대(李遂大) 1675(숙종1)~1709(숙종35) 조선시대 문신. 자는 취이(就而), 호는 송애(松崖), 무산군(茂山君) 종(悰)의 후손, 사평(司評) 정흥(鼎興)의 아들. 1694년(숙종20) 진사(進士)가 되고, 1702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고, 그 후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냈다. 문장에 뛰어나 채팽윤(蔡彭胤)․오상렴(吳尙濂)과 함께 당시 삼문장(三文章)으로 일컬어졌다. 이희지(李喜之) 1681(숙종7)~1722(경종2) 조선시대 유생(儒生). 자는 사복, 호는 응재(凝齋), 판서 사명(師命)의 아들, 이명(李命)의 조카. 노론(老論)에 속한 성균관 유생으로서 1721년(경종1) 이몽인(李夢寅)의 상소로 장흥(長興)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정인중(鄭麟重) 등과 함께 이이명을 추대하고 경종을 시해(弑害)하려고 꾀했다는 소론(少論) 목호룡(睦虎龍)의 무고(誣告)로 장살(杖殺)되었다. 영조 때 신원(伸寃)되었다. 이현익(李顯益) 1678(숙종4)~1717(숙종43) 조선시대 학자. 자는 중겸(仲謙), 호는 정암(正庵),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후손, 군수(郡守) 홍(泓)의 아들.권상하(權尙夏)․김창협(金昌協)의 문인. 1708년(숙종34)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에 전심했다. 서기1710년 학행(學行)으로 천거받아 참봉(參奉)이 되고, 왕자 사부(王子師傅)․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역임했다. 문명(文名)이 있었다. 이정작(李庭綽) 1678(숙종4)~1758(영조34)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유(景裕), 호는 회헌(晦軒), 만봉(萬封)의 아들. 1714년(숙종40)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727년(영조3) 문과중시(文科重試)에 장원, 여러 벼슬을 거쳐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이르렀으며 문장이 뛰어났다. 한문소설 ⌈옥린몽(玉麟夢)⌋을 지었다. 이진순(李眞淳) 1679(숙종5)~?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후(子厚), 호는 하서(荷西), 덕성(德成)의 아들. 1722년(경종2)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소론(少論)으로서 이 해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수찬(修撰)으로 노론(老論)의 제거에 가담했다. 서기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삭직(削職), 이어 귀양갔다가 풀려나와 양사(兩司)의 벼슬을 역임, 형조참판(刑曹參判)․도승지(都承旨)․대사간․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대사헌․전라도 관찰사를 지냈다. 글씨를 잘 썼다. 이진수(李眞洙) 1684(숙종10)~?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연(子淵), 호는 서간(西澗), 덕성(德成)의 아들. 1713년(숙종39) 생원(生員)이 되고, 1723년(경종3)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수찬(修撰)을 지낸 뒤, 서기1725년(영조1) 김일경(金一鏡)의 일당이라 하여 선천(宣川)에 유배되었다. 그후 풀려나와 3사(司)의 벼슬을 역임하고 황해도 관찰사에 이르렀다. 글씨를 잘 썼다. 이현록(李顯祿) 1684(숙종10)~1730(영조6) 조선시대 문신. 자는 영보(永甫), 우의정 후원(厚源)의 현손, 섭(涉)의 아들. 음보(蔭補)로 헌릉 참봉(獻陵參奉)이 되고, 장원서 봉사(掌苑署奉事)․금구 현령(金溝縣令)․전주부 판관(全州府判官) 등을 지냈다. 서기1722년(경종2)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예조 좌랑(禮曹佐郞)이 되고, 이 해 신임사화(辛壬士禍)로 노론(老論)이 추방되자 소론(少論)의 음모를 규탄하다가 순흥부(順興府)에 유배, 1724년 영조가 즉위하면서 노론이 다시 집권하자 풀려나와 부교리(副校理)가 되었다. 이어 검상(檢詳)․사간(司諫)을 거쳐 1726년(영조2) 집의(執義)․응교(應敎)․승지(承旨)를 역임하고, 대사간에 올랐다가 다음해 전라도 관찰사로 나갔다. 이 해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노론이 세력을 잃게 되자 파직, 후에 기용되어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공을 세워 완릉군(完陵君)에 봉해지고, 이듬해 호조참판(戶曹參判)으로 부총관(副摠官)․비변사 당상(備邊司堂上)을 겸하고 이어 대사간․대사헌을 역임했다. 이광덕(李匡德) 1690(숙종16)~1748(영조24)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성뢰(聖賴), 호는 관양(冠陽), 대제학 진망(眞望)의 아들. 1722년(경종2)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설서(設書)가 되어 왕세제(王世弟: 英祖)의 신임을 받았고, 노소론(老少論)의 당쟁이 심할 때 중간파로서 극렬분자들의 미움을 받았다. 지평(持平)․교리(校理)를 거쳐 1728년(영조4) 전라도 관찰사로 이듬해 대대로 경작을 금하여 오던 전주(全州)의 건지산(乾止山)을 내수사(內需司)에서 경작하려는 것을 거절하여 추고(推考)를 받았고, 이 해 관찰사로서 이인좌(李麟佐)의 난(亂)의 모의를 미리 알았으리라는 노론의 무고로 삭직(削職) 당했다. 서기1739년 사은부사(謝恩副使)로서 청나라에 다녀온 후 대제학이 되고 1741년 지평인 동생 광의(匡誼)가 천거(薦擧)의 폐(弊)를 논하다가 의금부(義禁府)에 투옥되자 이에 연좌, 정주(定州)․해남(海南) 등지로 유배, 이듬해 풀려나와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과천(果川)에 은거했다. 이민곤(李敏坤) 1695(숙종21)~1756(영조32) 조선시대 문신. 자는 후이(厚而), 호는 임은(林隱), 영응대군(永膺大君)의 8대손, 헌기(軒起)의 아들. 박필주(朴弼周)의 문인. 1740년(영조16)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744년 지평(持平)이 되고 보령 현감(保寧縣監)․필선(弼善)․헌납(獻納)․사간(司諫)을 역임했다. 서기1756년 집의(執義)가 되었다가 다시 사간에 전임하여 탕평책(蕩平策)을 배척하고 조영국(趙榮國)을 탄핵하다가 북도(北道)에 유배 도중 금성(金城)의 역사(驛舍)가 불탈 때 소사(燒死)했다. 뒤에 신원(伸寃), 도승지(都承旨)에 추증(追贈). 이성효(李性孝) 1697(숙종23)~1740(영조16) 조선시대 문신. 자는 근보(謹甫), 참판(參判) 광세(匡世)의 아들. 충주(忠州) 출신.서기1725년(영조1)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정언(正言)․사서(司書)․지평(持平) 등을 거쳐 1739년 부수찬(副修撰)으로서 관서 어사(關西御使)를 지냈다. 이듬해 교리(校理)에 이르러 전 형조판서 이춘제(李春躋)의 연석(宴席)에서 식중독으로 급사했다. 이기언(李箕彦) 1697(숙종23)~1743(영조19) 조선시대 문신. 자는 군미(君美), 도정(都正) 당(堂)의 아들. 1727년(영조3)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737년 태릉 참봉(泰陵參奉)이 되고, 명릉 봉사(明陵奉事)․정릉직장(靖陵直長)을 역임했다. 1740년(영조16)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설서(設書)를 거쳐 장령(掌令)․정언(正言)을 지내고 지평(持平)이 되어 과거(科擧)의 폐단(弊端)을 상소했으며, 사서(司書)․병조 정랑(兵曹正郞)․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역임하고 무안 현감(務安縣監)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못하고 졸하였다. 이덕주(李德冑) 1696(숙종22)~1751(영조27) 조선시대 학자. 자는 직심(直心), 호는 하정(芐亭), 이조판서 수광(晬光)의 5대손, 한보(漢輔)의 아들. 학행(學行)과 시문(詩文)으로 이름이 높았다. 이희령(李希齡) 1697(숙종23)~1776(영조52) 조선시대 학자. 자는 수이(壽而), 호는 약파(藥坡),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후손. 효행(孝行)과 독학(篤學)으로 이름났으며, 성리학(性理學)을 비롯해 의학․복서(卜筮)․풍수(風水)에까지 정통했다. 이현곤(李顯坤) 1699(숙종25)~1743(영조19) 조선시대 서화가(書畵家). 자는 중원(仲元), 호는 양오헌(養梧軒),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12대손. 서화에 있어 각각 독특한 경지에 이르렀다. 필법(筆法)은 소식(蘇軾), 시는 진여의(陣與義: 宋代詩人)를 본떴다. 이익정(李益征) 1699(숙종25)~1782(정조6) 조선시대 문신. 자는 명숙(明淑), 시호는 정간(靖簡), 인성군(仁城君) 공(供)의 현손(玄孫), 밀창군(密昌君) 직(樴)의 아들. 1723년(경종3) 진사(進士)가 되고,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후 1736년 (영조12)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르 급제, 정언(正言)을 거쳐 집의(執義)․승지(承旨)․예조참판(禮曹參判)을 지내고 1740년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이어 1743년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국위를 손상시켰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서기1746년 다시 이조참판으로 기용, 대사간․대사헌․우참찬(右參贊)을 역임하고, 1754년 예조 판서에 올라 이듬해 우빈객(右賓客)을 겸임, 1761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가 되었다. 그 후 공조판서․지돈령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내고 판돈령부사(判敦寧府事)에 이르렀다. 이존중(李存中) 1703(숙종29)~1761(영조37)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이(敬以), 호는 척암(惕庵)․척재(惕齋)․하당(荷堂),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후손, 서윤(庶尹) 현숭(顯崇)의 아들. 이재(李縡)의 문인. 서기1735년(영조11) 1등으로 진사(進士)가 되고, 정릉 참봉(貞陵參奉)을 거쳐 사어(司禦)가 되어 서연관(書筵官)을 겸했다. 서기1750년(영조26)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하여 삼장장원(三場壯元)의 특전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가 되고, 여주 목사(驪州牧使)․병조참지(兵曹參知)․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역임했다. 서기1751년(영조27) 대사간(大司諫)으로서 권신 김상로(金尙魯) 형제를 신임사화(辛壬士禍) 당시의 적당(賊黨)이라 탄핵했다가 거제도(巨濟島)에 유배, 이어 정의(旌義)에 이배(移配)되고, 1753년 풀려나왔다. 그후 예조참의(禮曹參議)가 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낙향, 학문 연구에 전심했다. 정조때 이조판서 겸 대제학에 추증(追贈). 이창의(李昌議) 1704(숙종30)~1772(영조48)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성방(聖方), 시호는 익헌(翼獻), 영해군(寧海君) 당(塘)의 후손, 참봉(參奉) 제(蹄)의 아들. 1735년(영조1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설서(設書)가 되고, 정언(正言)․지평(地坪)․교리(校理)․수찬(修撰)을 거쳐, 1745년 대사간에 올랐다. 서기1747년 충청도 관찰사로 나갔다가 1749년 정조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와 형조․호조의 참판(參判)을 지내고, 1752년 동지부사(冬至副使)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와서 좌빈객(左賓客)․광주부 유수(廣州府留守)를 거쳐 1759년(영조35) 이조판서에 승진, 이어 함경도 관찰사․예조판서․호조판서를 지내고, 1768년 우의정에 오른 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졸하였다. 이봉상(李鳳祥) 조선시대 문신. 자는 의소(儀韶), 호는 설천(雪川), 시호는 문경(文敬), 영의정 이명(頤命)의 손자, 기지(器之)의 아들. 1722년(경종2)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전 가족이 화를 입어 죽음을 당했으나 그는 가동(家僮)의 구출로 피신했다. 뒤에 혐의가 풀려 1725년(영조1) 지평(持平)에 등용되었다. 철종 때 대사헌에 추증(追贈). 이인상(李麟祥) 1710년(영조1) 조선시대 서화가. 자는 원령(元靈), 호는 능호(凌壺)․보산자(寶山子), 영의정 경여(敬輿)의 5대손. 1735년(영조11)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북부 참봉(北部參奉)에 음보(蔭補)된 뒤에 음죽 현감(陰竹縣監)이 되었다가 관찰사와 사이가 나빠져 사직, 단양(丹陽)의 귀담(龜潭)에 정자를 짓고 여생을 보냈다. 시문(時文)․그림․글씨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일컬어졌으며, 특히 그림에는 산수(山水), 글씨에는 전서(篆書)․주서(0書)에 빼어났다. 이광사(李匡師) 1705(숙종31)~1777(정조1) 조선시대 양명학자(陽明學者)․서예가. 자는 도보(道甫), 호는 원교(圓嶠)․수북(壽北) 진검(眞儉)의 아들. 1755년(영조31) 나주(羅州)의 벽서사건(壁書事件)으로 백부(伯父) 진유(眞儒)가 처벌을 당할 때 이에 연좌, 회령(會寧)에 유배되었으나 학문으로써 많은 문인들이 모여들자 다시 진도에 유배, 배소에서 일생을 마쳤다. 정제두(鄭齊斗)에게서 양명학(陽明學)을 배워 아들 영익(令翊)에게 전수했다. 일찍 윤순(尹淳)에게서 글씨를 공부, 진서(眞書)․초서(草書)․전서(篆書)․예서(隸書)에 모두 능했고, 원교체(圓嶠體)라는 독특한 필체(筆體)를 이룩했다. 한편 저술을 통해 후진을 위한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 이명중(李明中) 1712(숙종38)~1789(정조13) 조선시대 문신. 자는 상취(尙聚), 영의정 유(濡)의 손자. 1741년(영조17) 진사(進士)가 되어 음보(蔭補)로 참봉(參奉)을 거쳐 호조좌랑(戶曹佐郞)․강서 현감(江西縣監)․금성 현령(金城縣令)․황주 목사(黃州牧使) 등을 역임했다. 1759年(영조35) 진주 목사(晋州牧使)에 이어 예천 군수(醴泉郡守)․이천 부사(利川府使)․나주 목사(羅州牧使) 등을 거쳐 1779년 광주 부윤(廣州府尹)으로 남한산성(南漢山城)을 개축(改築), 그 공으로 품계(品階)가 올라 홍충도 관찰사에 특진되었으나 사퇴, 뒤에 동지돈녕부사 동지의금부사를 지냈다. 이장오(李章吾) 1714(숙종40)~? 조선시대 무신. 자는 자명(子明), 선전관(宣傳官), 사과(司果) 등을 거쳐 1755년(영조41) 총융사(摠戎使), 이어 금위 대장(禁衛大將)을 지낸 뒤 1776년 훈련 대장(訓練大將)이 되었다이 해 민가(民家)를 약탈한 혐의로 교동(喬桐)에 이배(移配)되었다가 1780년(정조4) 풀려나왔다. 이화보(李和甫) 1714(숙종40)~1781(정조5) 조선시대 학자. 초명은 제보(濟甫), 자는 대순(大醇), 소자(小字)는 여시(汝施)․대화(大和), 호는 유심재(有心齋), 양녕대군(讓寧大君) 제(褆)의 후손. 이재(李縡)의 문인. 학문에 전심하여 여러번 참봉(參奉)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특히 실학(實學)에 전심했다. 이명욱(李明郁) 조선시대 화가. 도화서 교수(圖畵署敎授) 한시각(韓時覺)의 사위, 숙종때 도화서의 화원(畵員)이었으며, 그림에 뛰어나 명나라 맹영광(孟永光) 이후의 제 1인자로 지칭되었다. 이휘지(李徽之) 1715(숙종41)~1785(정조9) 조선시대 문신. 자는 미경(美卿), 호는 노포(老圃), 시호는 문헌(文憲), 좌의정 관명(觀命)의 아들. 1735년(영조11)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후 음보(蔭補)로 목사(牧使)를 지내고, 1766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조참의(吏曹參議)를 거쳐 사신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대제학이 되었다. 이 송(李 淞) 조선시대 실학자(實學者). 자는 무백(茂伯)․고청(孤靑), 호는 노초(老樵)․서림(西林), 영응대군(永膺大君) 염(琰)의 후손, 보덕(輔德) 민곤(敏坤)의 아들. 박필주(朴弼周)의 문인.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아버지가 귀양가던 도중 김성(金城)에서 불에 타 죽는 참상을 보고 벼슬에 단념하고 서산(西山)에 은거,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실학(實學)을 깊이 연구했다. 실학의 대가인 홍대용(洪大容)과 학문을 토론하며 경륜(經綸)을 논하였고, 1770년(영조46)경 전국의 명승지를 두루 유람했다. 박지원(朴趾源)․박제가(朴齊家)․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 등 당대 대표적인 실학자들과 교분이 두터웠고, 여러번 임관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박지원과 함께 집필한 ⌈담헌묘지(湛櫶墓誌)⌋가 전해지고 있다. 이최중(李最中) 1715(숙종41)~1784(정조8) 조선시대 문신. 자는 인부(仁夫), 소자(小字)는 계량(季良), 호는 위암(韋庵), 시호는 문정(文貞), 현감(縣監)의 아들. 1744년(영조20)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751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사서(司書)가 되고, 1755년 수찬(修撰)으로 ⌈천의소감(闡義昭鑑)⌋ 편찬 때에 편집낭청(編輯郎聽)으로 참여, 이듬해 감원도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었다. 그후 응교(應敎)․삼척 부사(三陟府使)․대사간․이조 참의(吏曹參議)․부제학(副提學)․동지의금부사(冬至義禁府事)를 역임. 1769년 예조참판(禮曹參判)으로서 ⌈문헌비고(文獻備考)⌋ 편집 당상(編輯堂上)이 되었다. 서기1771년(영조47) 이조판서에 승진했으나 당론(黨論)을 일삼는다는 탄핵을 받고 갑산(甲山)에 유배, 곧 풀려나와 1773년 함경도 관찰사로 부임했다가 이어 우참찬(右參贊)이 되어 치사(致仕)하고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서기1782년(정조6) 이유백(李有白)이 대역부도죄(大逆不道罪)로 사형되자 그 인척으로 연좌하여 추자도(楸子島)에 유배, 배소(配所)에서 졸하였다. 순조 때 신원(伸寃). 이흥종(李興宗) 1717(숙종43)~1773(영조4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성연(聖淵), 현양(顯陽)의 아들. 1747년(영조23) 진사(進士)가 되고 서기1751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정언(正言)을 지냈다. 이어 헌납(獻納)으로 있을 때 집권하고 있는 척신(戚臣)에 아부하는 호조판서 김상복(金相福), 이조참판(吏曹參判) 조명정(趙明鼎) 등을 논척(論斥)했으며, 사간(司諫)을 지냈다. 서기1766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병과(丙科)로 급제, 이듬해 영광 군수(靈光郡守)로 세선(稅船)에 잡물(雜物)을 실은 죄로 1768년 위도(蝟島)에 유배, 1년 만에 풀려나와 1772년 승지(承旨)가 되었다. 이성린(李聖麟) 1718(숙종44)~1777(정조1) 조선시대 화가. 자는 덕후(德厚), 호는 소재(蘇齋), 도화서화원(圖畵署畵員)으로 첨절제사(僉節制使)에 이르렀고, ⌈영모도(0毛圖)⌋가 전했졌다. 일본의 ⌈고화비고(古畵備考)⌋에 의하면 1748(영조24) 통신사(通信使)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건너가 견본(絹本)에 그린 송죽화(松竹畵)가 한폭 전해지고 있다 한다. 이명환(李明煥) 1718(숙종44)~1764(영조40) 조선시대 문신. 자는 사회(士晦)․호는 해악(海嶽), 선조의 아들 인흥군(仁興君) 영(瑛)의 4대손, 익녕군(益寧君) 제(梯)의 아들. 1752년(영조28)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장원, 문학(文學)․정언(正言)․사서(司書)를 지낸 뒤 1758년 경시관(京試官)으로 충청도 경차관이 되었으나 부모의 병환으로 직무를 등한히 한 죄로 유배되었다. 뒤에 풀려나와 교리(校理)․수찬(修撰)․사간(司諫) 등을 역임했다. 시문(詩文)에 능했다. 이헌경(李獻慶) 1719(숙종45)~1791(정조15) 조선시대 문신. 초명은 성경(星慶), 자는 몽서(夢瑞), 호는 간옹(艮翁), 호조판서 성중(誠中)의 후손, 제화(齊華)의 아들. 1743년(영조19) 진사(進士)로서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751년 정언(正言)이 되고, 그후 사서(司書)․지평(持平)을 거쳐 1763년 사간(司諫)․집의(執義)를 지내고 1766년 수찬(修撰)에이어 교리(校理)로 시독관을 겸임, 1777년(정조1) 동부승지(同副承旨)에 발탁되었다. 참찬관(參贊官) 등을 거쳐 1784년(정종8) 대사간이 되었으며, 1788년 연로(年老)로 은퇴를 청했으나 허락되지 않고, 1790년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이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이유수(李惟秀) 1721(경종1)~1771(영조47) 조선시대 문신. 초명(初明)은 유목(惟穆), 자는 심원(深遠), 호는 완이(莞爾), 시호는 정익(貞翼), 선조의 제 9남 경창군(慶昌君) 주(珘)의 5대손, 서윤(庶尹) 재(在)의 아들. 1747년(영조23)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장원, 지평(持平)․수찬(修撰) 등을 거쳐 1751년 정언(正言)으로 당역자(黨逆者) 9명을 탄핵하다가 영남(嶺南)에 유배되었다. 그 뒤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관원으로 복직되었으나 앞서 탄핵했던 당역자들과 함께 벼슬할 수 없다고 사퇴, 왕의 노여움을 사서 관작이 삭탈(削奪)되어 문외출송(門外黜送)되었다가 곧 응교(應敎)에 임명되고, 1753년 사서(司書)를 거쳐 이듬해 사은사(謝恩使)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고 승지(承旨)가 되었다. 대사간․도승지․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예조참판(禮曹參判)․충청도 관찰사․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형조판서(刑曹判署)에 이르렀다. 이종현(李宗賢) 조선 정조 때의 화가. 성린(聖麟)의 아들. 도화서 화원(圖畵署畵員)을 거쳐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이르렀다. 산수(山水)․초충(草蟲)․화초(花草) 등을 즐겨 그렸다. 이주국(李柱國) 1721(경종1)~1798(정조22) 조선시대 무신. 자는 군언(群信), 호는 오백(悟栢), 시호는 무숙(武肅),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후손. 1740년(영조16)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1754년 충청도 병마절도사, 이듬해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1759년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1763년 평안도와 황해도의 병마절도사를 역임. 1766녀 삼도 수군통제사가 되었다. 서기1776년 영조가 죽자 총융사(摠戎使)로서 여사대장(與士大將)을 겸했으나 여사군(與士軍: 因)山 때 喪輿를 메고 가는 軍卒)들이 궁궐 밖에서 소란을 피웠다는 죄로 탄핵을 받고 파직, 이어 다시 총융사에 복직되었다가 군량미를 비축하지 못했다는 죄로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좌포도대장으로 등용되어 행부사직(行副司直)․어영․대장․총융사 등을 역임했다. 서기1782년 북한평창(北漢平倉)의 군량미 보관이 소홀했다는 죄로 한때 삭직되었다가 어영 대장에 기용되었고 우포도대장․금위 대장(禁衛大將), 이듬해 다시 우포도대장 등을 지내고 병조판서에 올랐으며 기민(飢民) 구제에 협조하지 않은 죄로 다시 파직, 1784년 어영 대장에 복직되고 훈련 대장․포도 대장 등을 역임하다 1789년 부교(浮橋)․전함(戰艦)의 불비(不備)로 파직․유배되었다. 서기1791년 총융사로 재직중 군기가 문란하여 백성의 피해가 막심하다는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고 백령도(白翎島)에 위리안치(圍籬安置) 되었다가 다음해 전리(田里)에 방축(放逐)되었다. 서기1795년(정조19) 훈련 대장에 복직, 이듬해 군기시 제조(軍器寺提調)를 거쳐 병조판서에 재임되었다. 이진형(李鎭衡) 1723(경종3)~1781(정조5) 조선시대 문신. 자는 평중(平仲), 호는 남곡(南谷), 시호는 충간(忠簡), 용(墉)의 아들. 1753년(영조29) 생원(生員)이 되고, 이 해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서기1758년 제원도 찰방(濟原道察訪)이 되었으며, 이어 정언(正言)․장령(掌令)․집의(執義)를 역임했다. 서기1767년 궁료(宮僚)에 뽑힌 뒤에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보덕(輔德)․필선(弼善)을 지내고 1776년 영조가 죽자 고부청시 승습사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서기1777년(정조1) 실록청 찬집당상으로서 ⌈영조실록(英祖實錄)⌋ 편찬에 참여, 좌부승지(左副承旨)에 올랐다가 이어 좌승지(左承旨)․공조참판(工曹參判)을 거쳐 1779년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가 되고, 뒤에 도승지(都承旨)․예조참판․경기도 관찰사․ 대사헌을 역임했다. 경사(經史)에 밝고 음양(陰陽)․술수(術數)․병법(兵法)에도 통했으며, 해서(楷書)와 초서(草書)를 잘 썼다. 예조판서에 추증(追贈). 이경무(李敬懋) 1728(영조4)~1799(정조23) 조선시대 무신. 자는 사직(士直), 시호는 무숙(武肅), 삼군 수군통제사 상집(尙0)의 증손. 무과(武科)에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금위 대장․어영대장․훈련대장․형조판서 등을 지냈다. 이의봉(李義鳳) 1733(영조9)~1801(순조1) 조선시대 문신. 초영은 상봉(商鳳), 자는 백상(伯祥), 호는 나은(懶隱),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후손, 휘중(徽中)의 아들. 세자익위사 익위를 지내고 1773년(영조49)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부수찬(副修撰)․교리(校理)를 거쳐 1788년(정조12) 신천 군수(信川郡守)가 되었다. 이듬해 그 인용 서적만도 1천 4백여 종에 달하는 광범한 고증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사서(辭書) ⌈고금석림(古今釋林)⌋ 40권을 완성했고, 1791년 검토관(檢討官)으로 경연관(經筵官)을 겸임. 이듬해 좌승지(左承旨)가 되었다. 1799년 대사간에 승진, 이어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올랐다. 이형규(李亨逵) 1733(영조9)~1789(정조13) 조선시대 문신. 자는 중우(仲羽), 1755년(영조31)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758년 지평(持平), 이어 부수찬(副修撰)․수찬(修撰)․교리(校理)를 역임. 서기1766년 동지 겸 사은사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사간(司諫)을 거쳐 부응교(副應敎)․집의(執義) 등을 지냈다. 서기1774년 대사간, 1777년(정조1) 강원도 관찰사, 1780년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경기도 관찰사, 1783년에 대사헌․승지(承旨) 등을 역임. 이듬해 대사헌에 재임되어 4년간 재직. 1789년 도승지(都承旨)가 되었다.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중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유필(遺筆)인 초서(草書) 6폭에 발문(跋文)을 썼다. 이긍익(李肯翊) 1736(영조12)~1806(순조6) 조선시대 학자. 자는 장경(長卿), 호는 연려실(燃藜室),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후손, 광사(匡師)의 아들. 어려서 아버지에게 수학, 학문과 글씨가 뛰어났으며, 실학(實學)을 제창하고 고증학파 학자로서도 유명했다. 소론(少論)의 한 사람으로 당론을 강경히 주장, 노론(老論)의 집권으로 귀양살이를 여러번 겪었고 온 집안이 크게 화를 입었다. 저작(著作)이 많았으나 겹치는 귀양살이로 대부분이 유실되고, 현재 전하는 그의 대표적 저서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은 조선 왕조의 역대 사실을 여러 책에서 뽑아 엮은 기사본말체(記事本末體)의 사적(史籍)으로서 공정한 사관으로 기술했고 원집(元集) 20권은 태조~현종조의 역대 사실을, 속집(續集) 8권은 숙종 일대의 기사, 별집(別集) 19권은 사전(祀典)․정교(政敎) 등 여러 사실을 싣고 있다. 이의준(李義駿) 1738(영조14)~1798(정조2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중명(仲命), 대사헌 휘중(徽中)의 아들. 1773년(영조49)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부교리(副校理)․종성 부사(鍾城府使)․대사간을 역임하고, 1796년 ⌈장릉지(莊陵誌)⌋를 교정, ⌈존주휘편(尊周彙編)⌋ 20권을 편수했다. 이형원(李亨元) 1739(영조15)~1798(정조22) 조선시대 문신. 자는 선경(善卿), 호는 남계(南溪), 1761년(영조37)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765년 검열(檢閱)이 되고, 헌납(獻納)․정언(正言)을 거쳐 1772년(영조48) 회양 부사(淮陽府使)로 나갔다. 1777년(정조1) 사간(司諫), 1783년 의주 부윤(義州府尹), 이듬해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를 역임. 1787년 대사간에 올랐다. 1792년 충청도 관찰사가 되고 1790년 동지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와 1797년 경상도와 평안도의 관찰사를 역임. 이어 비변사 제조(備邊司提調)를 지냈다. 이듬해 흉년이 들자 빈민들에게 나누어 주 구휼미(救恤米)의 보급이 늦어져 탄핵을 가산군(嘉山郡)에 유배되어 배소(配所)에서 졸하였다. 죽은 후 신원(伸寃)되었다. 이 재(李 在) 조선시대 문신. 서천군(西川君) 광(洸)의 손자. 1760년(영조36) 영천 군수(榮川郡守)를 지내고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에 이르렀다. 글씨를 잘 썼으며, ⌈화원악보(花源樂譜)⌋에 시조 2수가 전한다. 이덕무(李德懋) 1741(영조 17)~1793(정조17) 조선시대 실학자(實學者). 자는 무관(懋官), 호는 형암(炯菴)․아정(雅亭)․청장관(靑莊館)․영처(嬰處)․동방일사(東方一士), 통덕랑(通德郞) 성호(聖浩)의 아들. 박학 다재하여 경사(經史)에서 기문 이서(奇文異書)에 이르기까지 통달했고, 문장에 개성이 뚜렷하여 문명(文名)을 일세에 떨쳤으나, 서출(庶出)이었기 때문에 크게 등용되지 못했다. 서기1778년(정조2) 심염조(沈念祖)를 따라 북경(北京)에 가서 그 곳의 학자들과 교유하면서 학문을 닦고, 산천․도리(道里)․궁실․누대(樓臺)․초목․충어(蟲魚)․조수(鳥獸)에 이르기까지 이름을 적어 와 더욱 명성을 날렸다. 돌아와서는 북학(北學)을 제창했고, 1779년 규장각(奎章閣) 검서관(檢書官)이 되어 박제가(朴齊家)․유득공(柳得恭)․이서구(李書九) 등과 4검서관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 후 적성 현감(積城縣監)을 거쳐 1791년(정조15) 사옹원 주부(司饔院主簿)에 올라 재직중에 졸하였다. 글씨도 잘 썼고 그림은 특히 지주(蜘蛛)․영모(翎毛)에 뛰어났다. 이충익(李忠翊) 1744(영조20)~1816(순조16) 조선시대 학자. 자는 우신(虞臣), 호는 초원(椒園), 진검(眞儉)의 종손(從孫). 소론(少論)으로서 정제두(鄭濟斗)의 양명학(陽明學)을 계승하여 연구했으며 해서(楷書)와 초서(草書)를 잘 썼다. 이헌길(李獻吉) 조선시대 명의(名醫). 자는 몽수(蒙叟),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후손. 이철환(李0煥)의 문하에서 수학(修學), 특히 의학 방면에 정진하여 두진(痘疹) 치료에 독자적인 경지를 이루었다. 서기1775년(영조51) 서울에 올라왔을 때 마침 홍역이 유행하자 특수한 약방문(藥方文)으로 병 치료에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동직(李東禝) 1749(영조25)~? 조선시대 문신. 자는 거경(巨卿), 종휘(種徽)의 아들. 1775년(영조51) 생원(生員)으로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저작(著作)․박사(博士)를 거쳐 1782년(정조6) 감찰(監察)이 되고 뒤에 수찬(修撰)․교리(校理) 등을 역임했다. 이면긍(李勉兢) 1753(영조29)~1812(순조12) 조선시대 문신. 자는 대림(大臨), 성순(性淳)의 아들. 1783년(정조7) 생원(生員)으로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 이듬해 홍문관(弘文館)에 등용되어 응교(應敎)․교리(校理) 등을 역임. 1787년 동지사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이조참의(吏曹參議)에 보직. 1787년 대사성(大司成)에 특진, 1792년 영천군수(榮川郡守)로 나갔다가 다음해 이조참의가 되어 관리의 명단 작성을 소홀히 하여 판서․참판과 함께 파직되었다. 곧 이어 복직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고, 1794년 경상도 관찰사를 거쳐 우부승지(右副承旨)가 되었으나 능(陵)에 제사지낼 때 제헌관(祭獻官)에 대한 감독 불충분으로 제사 절차에 차질을 초래하여 파직되었다. 서기1797년 다시 이조참의가 되었으나 기일 안에 부임하지를 않아 금성현(金城縣)에 유배, 1799년 방환되어 다시 승자가 되고, 1803년(순조3) 이조참판(吏曹參判), 다음해 형조참판(刑曹參判)으로 충청도 안핵사를 겸직, 1805년 호조판서, 이듬해 평안도 관찰사․한성부 판윤․대사헌을 거쳐 6조(曹)의 각 판서를 역임. 1812년 우참찬(右參贊)이 되었다. 이서구(李書九) 1754(영조30)~1825(순조25) 조선시대 문신․학자. 자는 낙서(洛瑞), 호는 척재(惕齋)․강산(薑山)․석모산인(席帽山人), 시호는 문간(文簡),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中宗의 七男)의 후손, 증 영의정(領議政) 원(遠)의 아들. 1774년(영조50)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史官)을 거쳐 1783년(정조7) 지평(持平), 이듬해 초계문신(抄啓文臣)에 선발되고 1786년 홍문관(弘文館)에 뽑혀 들어갔다. 다음해 경상우도 암행어사가 되고, 1789년 승지(承旨)로 재직중 앞서 1786년의 은언군(恩彦君) 인(0)의 아들 상계군(常溪君) 담(湛)의 모역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1791년 방환되어 승지를 거쳐 전라도 관찰사를 지내고, 1795년(정조19) 천주교도를 옹호한다는 죄로 한때 영해부(寧海府)에 유배되었다가 대사성(大司成)이 되었다. 이듬해 교정당상(校正堂上)이 되어 왕명으로 ⌈장릉지(莊陵誌)⌋를 편찬했고, 승지에 보직되어 뇌물을 받고 무고한 백성을 구타하여 삭직(削職), 다시 기용되어 비변사 제조(備邊司提調)․대사간 등을 거쳐 1797년 경상도 관찰사로 나갔다. 이해 행호군(行護軍)으로 편교 당상(編校堂上)을 겸하여 ⌈춘추(春秋)⌋를 편찬했고, 이어 비변사 유사당상을 거쳐 1800년(순조 즉위) 호조판서로 지실록사(知實錄事)가 되어 ⌈정조실록(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고, 1802년 이조판서, 이듬해 형조와 형조판서에 재임, 다음해 전라도 관찰사로 나갔다. 서기1822년 대사헌, 1824년 대호군(大護軍)을 거쳐 우의정에 오르고, 이듬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졸하였다. 명문장가로서 특히 시명(詩名)이 높아 박제가(朴齊家)․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과 함께 한시(漢詩)의 4대가로 알려졌고, 오언고시(五言古詩)에 능했다. 이의숙(李義肅) ?~1807(순조7) 조선시대 학자. 자는 경명(敬命), 호는 이재(頤齋)․월주(月洲),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후손, 동지중추부사 황중(黃中)의 아들. 이상목(李商穆)에게 수학하여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다.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음보(蔭補)로 개령 현감(開寧縣監)을 지냈다. 이기경(李基慶) 1756(영조 32)~1819(순조19) 조선시대 문신. 자는 휴길(休吉), 호는 척암(瘠菴), 지평(持平) 제현(齊顯)의 아들. 1777년(정조1)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789년(정조13)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뽑힌 뒤 감찰(監察)․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냈다. 이때 이승훈(李承薰)․이벽(李蘗) 등으로부터 천주교(天主敎)에 관한 책을 얻어 보고 종래의 주자학 사상과 다름을 알고 천주교를 배척하기 시작했다. 1791년 진산사건(珍山事件)이 일어났을 때, 천주교도 탄압에 대한 영의정 채제공(蔡濟恭)의 미온적인 태도를 공격하다가 경원(慶源)에 유배되었다. 1794년 방환(放還), 이듬해 지평(持平)에 복직되었다. 그 후 병조 정랑․정언(正言)․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내고 1884년(순조4) 김대비(金大妃: 貞純王后)가 재차 수렴창정(垂簾聽政)하려는 것을 반대하다가 또 단천(端川)에 유배, 이듬해 풀려나왔으나 이남규(李南圭)의 탄핵을 받아 운산(雲山)에 유배, 1809년 다시 풀려 나왔다. 천주교를 공격하기 위해 편찬한 ⌈벽위편(闢衛編)⌋은 정조․순조 시대 천주교사(天主敎史)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면구(李勉求) 1757(영조33)~1818(순조18)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자여(子餘), 호는 남하(南霞), 군수(郡守) 국형(國亨)의 아들. 서기1798년(정조22) 성균관(成均館) 유생(儒生)으로 있다가 1800년 세마(洗馬)가 되었고, 1803년(순조3) 감찰(監察)에 이르러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805년(순조5)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었다. 서기1811년 부사직(副司直)으로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일본에 다녀와서 의주 부윤(義州府尹)․대사성(大司成)을 역임했다. 시문(詩文)에 뛰어났고 글씨도 잘 써, 특히 당(唐)나라의 백거이(白居易), 양(梁)나라의 도홍경(陶弘景)의 필체를 따라 고아(古雅)한 풍취를 풍겼다. 이상황(李相璜) 1763(영조39)~1841(헌종7) 조선시대 문신. 자는 주옥(周玉), 호는 동어(桐漁)․현포(玄圃), 시호는 문익(文翼),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후손, 승지(承旨) 득일(得一)의 아들. 서기1786년(정조10) 진사(進士)가 되고 이 해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을 거쳐 정언(正言)․형조참의(刑曹參議), 황해도와 전라도의 관찰사를 역임. 1813년(순조13) 사은사(謝恩使)로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돌아와 호조판서가 되었다. 서기1816년 평안도 관찰사로 나가 홍경래(洪景來)의 난 이후 마비된 장군위(壯軍衛)를 폐하고 별친기위(別親騎衛)를 설치케 했고, 1820년 이조판서를 거쳐 1824년(순조24) 좌의정에 올랐다. 한때 신병으로 사직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의 한직(閑職)을 맡았다가 다시 좌의정에 복직, 1830년 세손 사부(世孫師傅)를 겸하고 이 해 영중추부사로 주청사(奏請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서기1833년 영의정에 올랐다가 이듬해 병으로 사직했으나 1836년(헌종2) 순원왕후(純元王后)의 특명을 받고 다시 영의정이 되어 실록청 총재관을 겸임, 1838년 사직 하고 이듬해 다시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현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 이면승(李勉昇) 1766(영조42)~1835(헌종1) 조선시대 문신. 자는 계래(季來), 시호는 문헌(文憲), 성순(性淳)의 아들. 1794년(정조18) 생원(生員)으로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798년 홍문관(弘文館) 벼슬을 거쳐 지평(持平)이 디고, 1808년(순조8) 전라도 암행어사가 되었다. 이요헌(李堯憲) 1766(영조42)~1815(순조15) 조선시대 무신. 자는 계술(季述) 호는 소소옹(笑笑翁), 시호는 숙렬(肅烈), 목사(牧使) 명걸(明杰)의 아들. 1785년(정조9) 무과(武科)에 급제, 오위도총부 도사에 임명되고, 선전관(宣傳官) 등 여러 무관직을 거쳐 1801년(순조1) 문관직(文官職)에 발탁되어 승지(承旨)가 되었다. 이듬해 부호군(副護軍)을 거쳐 황해도 병마절도사에 오르고 경기도 수군절도사․영변부사(寧邊府使) 등을 역임. 1807년 우포도대장(右捕盜大將)․총융사(摠戎使)․어영대장(御營大將)을 지냈다. 다음해 좌포도대장(左捕盜大將)이 되고 1811년 평안도 병마절도사를 거쳐 좌포도대장에 재임되었다가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나자 양도 순무사(兩道巡撫使)에 발탁되어 평안도 일대를 석권한 난군의 기세를 꺾고 계속 증강된 관군을 투입하여 반란을 평정, 그 논공행상(論功行賞)에서 원훈(元勳)으로 봉해졌으나 이를 사양, 이어 정 2품에 오르고 1812년 병조판서를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금위 대장(禁衛大將)을 역임했다. 이듬해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로 지의금부사(知義禁府使)․지훈련원사(知訓練院事)를 겸직,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독서와 시를 즐겼고 활을 잘 쏘았다. 이유명(李惟命) 1767(영조43)~1817(순조17) 조선시대 문신. 자는 치순(穉順), 호는 동포(東圃), 신성군(信城君) 후(珝)의 후손, 공조 좌랑(工曹佐郞) 염(琰)의 아들. 음보(蔭補)로 원릉 참봉(元陵參奉)이 되고, 1801년(순조1) 전시문과(殿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거쳐 이듬해 전적(典籍)이 되었다. 서기1806년 부수찬(副修撰), 그 후 우부승지(右副承旨)를 지내고, 1812년 대기근과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나자, 평안도 감진사로 백성의 구제와 관군의 군량미 조달을 감독, 난이 평정된 후 안핵사(按覈使)를 겸하여 민정을 수습했다. 그후 좌부승지(左副承旨)․좌승지(左承旨)․이천 부사(伊川府使)를 역임,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라 대사성(大司成)이 되었다. 이어 완원군(完原君)을 습봉(襲封)하고 병조․형조․예조의 참판(參判),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부총관(副摠管) 등을 지냈다. 이복현(李復鉉) 1767(영조43)~1853(철종4) 조선시대 문신․시인. 자는 견심(見心), 호는 석견루(石見樓), 능원대군(綾原大君) 보(補)의 5대손, 1786년(정조10) 참봉(參奉)이 되고, 1839년(헌종5) 비인현감(庇仁縣監)을 거쳐 첨지중추부사에 올랐다. 시조(時調)를 많이 남겼고, 그이 작품을 모은 유고집이 1857년(철종8) 증손 응인(應寅)에 의해서 인간(印刊) 되었다. 이영유(李英裕) 조선시대 학자. 음악가. 자는 홍보(弘甫), 호는 운소(雲巢), 좌의정 이명(頤命)의 증손, 지평(持平) 봉상(鳳祥)의 아들. 외숙부 김원행(金元行)의 문인. 서기1781년(정조5) 음보(蔭補)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이 되었으며, 1778년(정조2) 이래 경모궁(景慕古)에서 쓰기 시작한 악(樂)의 악보(樂譜) 개정을 위해 정조의 특명으로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이 되어 신보(新譜) 360강(腔)을 개찬(改撰)해 바쳤다.현감(縣監)을 지내고 62세에 졸하였다. 이승연(李升淵) 1767(영조43)~1829(순조29) 조선시대 문신. 초명은 뇌연(雷淵), 자는 문계(文階), 호는 연재(衍齋), 현감(縣監) 의화(義和)의 아들. 홍의영(洪儀永)․박윤원(朴胤源)의 문인. 서기1792년(정조16)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804(순조4) 익릉 참봉(翼陵參奉), 1810년 제릉 참봉(齊陵參奉), 이어 호조 좌랑(戶曹佐郞)․전생서 판관(典牲署判官)․목천 현감(木川縣監)을 역임했다. 뒤에 장악원(掌樂院)․사옹원(司饔院)의 주부(主簿)를 지내고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에 이르렀다. 이지연(李止淵) 1777(정조1)~1841(헌종7)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진(景進), 호는 희곡(希谷), 시호는 문익(文翼), 광평대군(廣平大君)의 후손, 공조참판(工曹參判) 의열(義悅)의 아들. 1805년(순조5) 진사(進士)가 되고 이 해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을과(乙科)로 이듬해 문과중시(文科重試)에 을과(乙科)로 각각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보직되었으며, 이어 주서(注書)가 되어 경연관(經筵官)이 되었다. 그후 도승지(都承旨)․형조참판(刑曹參判)을 거쳐 형조․이조․호조의 판서를 지내고, 1837년(헌종3) 우의정에 승진, 이듬해 실록청 총재관이 되어 ⌈순조실록(純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해 영의정 이상황(李相璜)․좌의정 박종훈(朴宗薰)이 사직함으로써, 홀로 상신(相臣)의 자리에 있으면서 조대비(趙大妃)의 측근자로 천주교의 탄압에 앞장, 1839년 모방 샤스땅 등 외국 신부를 비롯한 많은 천주교인을 학살, 기해박해(己亥迫害)를 일으킨 장본인이 되었다. 이 해 사직을 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전임했다가 1840년 대사간 이재학(李在鶴), 대사헌 이희준(李羲準) 등에 의해 정권(政權)을 전횡(專橫)했다는 탄핵을 받고 명천(明川)에 유배, 배소(配所)에서 졸하였다. 이승달(李承達) 1780(정조4)~1827(순조27) 조선시대 문신. 자는 재방(在邦), 호는 수우(守愚), 형조판서 계(溎)의 아들. 1803년(순조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여러번 주서(注書)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다가 1807년(순조7) 원릉 별검(元陵別檢)이 되고, 그 후 전적(典籍)․병조 좌랑(兵曹佐郞)․정언(正言) 등을 거쳐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가 되었다. 시문(時文)에 능하고 경술(經術)에 밝았으며 글씨도 잘 썼다. 이정리(李正履) 1783(정조7)~1843(헌종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심부(審夫), 호는 순계(醇溪), 계양군(桂陽君) 증(0)의 후손, 재성(在誠)의 아들. 1807년(순조7)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강릉 참봉(康陵參奉)․의령 현감(宜寧縣監)을 지내고, 1835년(헌종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전적(典籍)을 거쳐 이듬해 춘추관 기주관으로 ⌈순조실록(純祖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서기1837년 헌납(獻納)이 되었다가 삼사합계(三司合啓)로 홍석주(洪奭周)를 탄핵할 때 병을 핑계로 참석치 않아 영암(靈巖)에 유배, 1839년 풀려나와 수찬(修撰)이 되고, 이 해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했다. 그 후 교리(校理)․수찬(修撰)․공조참의(工曹參議)를 역임하고, 북청 부사(北靑府使)로 재직중에 졸하였다. 이기연(李紀淵) 1783(정조7)~?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국(京國), 의열(義悅)의 아들. 우의정 지연(止淵)의 아우. 1805년(순조5)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정자(正子)가 되고, 1822년 대사성(大司成), 이어 이조참의(吏曹參議)․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강원도 관찰사 등을 거쳐 1833년(순조33) 우승지(右承旨)․공조판서, 1835년(헌종1) 우참찬(右參贊)에 올랐다. 이듬해 평안도 관찰사로서 사직을 허가하지 않았는데도 공무(公務)를 폐기한 죄로 삭직(削職), 1837년 대사헌에 등용, 이어 예조판서로 안핵사(按覈使)를 겸임, 다음해 이조판서가 되었다. 서기1840년 탐학한다는 탄핵으로 향리(鄕里)에 방축(放逐), 죄가 가중(加重)되어 고금도(古今島)에 위리안치(圍離安置)되었다가 1849년(철종 즉위) 풀려나와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뒤에 황해도 병마절도사․경상도 관찰사․형조판서 등을 지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르렀다. 이헌구(李憲球) 1784(정조8)~1858(철종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치서(稚瑞), 호는 국헌(菊軒), 시호는 충간(忠簡), 좌의정 건명(健命)의 현손(玄孫), 장현(章顯)의 아들. 1840년(순조14) 진사(進士)가 되고 1816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1844년(헌종10) 대사헌으로 김유근(金逌根)․김홍근(金弘根)의 추죄(追罪)를 주장하다가 덕원(德源)에 유배되었다. 이해 풀려나와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이조판서를 거쳐 1852년(철종3) 우의정에 승진, 이어 좌의정이 되었다. 이듬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전직되어 1841년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철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 이목연(李穆淵) 1785(정조9)~1854(철종5) 조선시대 문신. 자는 백춘(伯春), 호는 소소(笑笑), 시호는 문정(文貞), 증(贈) 판서 의상(義常)의 아들. 1821년(순조21)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827년 지평(持平)이 되고, 그후 이조참의(吏曹參議)․승지(承旨)․이조참판(吏曹參判)․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역임. 1843년(헌종9) 동지 겸 사은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서기1847년 대사헌으로서 조병현(趙秉鉉)을 탄핵한 상소문 중 익종(翼宗)에 대해 불경(不敬)한 어구를 쓴 죄로 임자도(荏子島)에 안치(安置)된 뒤 무주(茂朱)에 양이(量移)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왔다. 1851년(철종2) 형조판서가 되고 광주부 유수․호조 판서․전라도 관찰사․대사헌 등을 역임. 1854년(철종5) 기로소에 들어갔다. 이규경(李圭景) 1788(정조12)~? 조선시대 실학자(實學者). 자는 백규(伯揆), 호는 오주(五洲)․소운거사(嘯雲居士), 덕무(德懋)의 손자, 광규(光葵)의 아들. 일생 동안 벼슬을 하지 않고 조부가 이룩한 실학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로서 명성을 떨쳤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고금 사물(古今事物)에 대한 수백종의 서적을 탐독하여 정밀한 고증(考證)으로써 천문(天文)․역수(曆數)․종족(種族)․역사․지리․문학․음운(音韻)․종교․서화(書畵)․풍속․야금(冶金)․병사(兵事)․초목(草木)․어조(魚鳥) 등 모든 학문을 고정 변증(考訂辨證)했다. 이시원(李是遠) 1790(정조14)~1866(고종3) 조선시대 문신․의사(義士). 자는 자직(子直), 호는 사기(沙磯), 시호는 충정(忠貞), 면백(勉伯)의 아들. 1815년(순조15)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갑과(甲科)로 급제, 전적(典籍)이 되고, 정언(正言)․태천 현감(泰川縣監)을 거쳐 1826년 홍문관 교리(校理), 이듬해 사성(司成)․장령(掌令)을 지냈다. 서기1850년(철종1)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이어 호군(護軍)․도총관(都摠管)을 거쳐 1856년 함경도 관찰사가 되었다. 서기1865년(고종2) 이조판서․홍문관 제학․예문관 제학․동지성균관사를 역임. 1866년 특지(特旨)로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올랐다. 이 해 병인양요(丙寅洋擾)로 프랑스 군함이 양화진(楊花津)․강화(江華)에 들어오자 조정에 나가 경계를 엄히 하고 외인을 물리치라고 상소했다. 강화진이 점령되자 울분에 못이겨 유소(遺疏)를 남기고 자결했다. 영의정에 추증. 이헌위(李憲瑋) 1791(정조 15)~? 조선시대 문신. 자는 치보(稚寶), 경여(敬輿)의 후손, 장소(章紹)의 아들, 영기(英紀)에게 입양(入養). 1817년(순조17) 진사(進士)로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정자(正字)에 보직, 1823년 대교(待敎)가 되고, 이어 검열(檢閱)․설서(設書)․대사성(大司成)․이조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 1832년 강원도 관찰사가 되었다. 서기1834년(순조34) 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 1836년(헌종2) 부제학(副提學)을 거쳐 이조참판(吏曹參判)이 되고, 1838년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1840년에 형조와 병조의 판서, 이어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하고, 이듬해 다시 한성부 판윤이 되었다. 시호는 익헌(翼獻)이다. 이조묵(李祖黙) 1792(정조16)~1840(헌종6) 조선시대 문인․서화가. 자는 강다(絳茶), 호는 육교(六橋), 이조판서 병정(秉鼎)의 아들. 시(詩)․서(書)․화(畵)․에 모두 뛰어났다. 당나라 이상은(李商隱)의 시풍(詩風), 진(晋)나라 왕희지(王羲之)의 필법, 원나라 황공망(黃公望)의 화법을 각각 본받아 삼절(三絶)이라 일컬어졌으며, 금석학(金石學)에도 일가를 이루었다. 한편 서화(書畵) 수집에도 열중하여 당시 그의 소장품이 전국의 으뜸이었다 한다. 이돈우(李敦宇) 1801(순조1)~? 조선시대 문신. 초명은 돈영(敦榮), 자는 윤공(允恭), 호는 신게(莘憩), 상두(相斗)의 아들, 상형(相衡)에게 입양(入養). 1827년(순조27)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승지(承旨)․대사성(大司成)․이조참판(吏曹參判)을 거쳐 1841년(헌종7) 전라도 관찰사, 1847년 대사헌이 되었다. 서기1849년 헌종이 죽자 공조판서로 존호도감 도청을 지내고, 그 후 예조․병조․이조․형조 등의 판서를 역임. 1862년(철종 13) 경상도 관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거쳐 다시 공조판서가 되고, 1865년(고종2) 경복궁(景福宮)을 중건(重建) 할 때 영건도감제조로서 공사를 감독했다. 이용순(李容純) 1801(순조1)~? 조선시대 무신. 자는 아구(雅九). 판서 중경(重庚)의 현손(玄孫). 1825년(순조25) 무과(武科)에 급제, 이듬해 선전관(宣傳官)에 등용되고, 1828년 ⌈선전광청 수교청헌(宣傳官廳受敎廳憲)⌋을 편찬했다. 그후 구성 부사(龜城府使)를 지내고, 1852년(철종3) 충청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이만용(李晩用) 1802(순조2)~? 조선시대 시인. 자는 여성(汝成), 호는 동번(東樊), 진사(進士) 명오(明五)의 아들. 서기1858년(철종9)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860년(철종11) 우통례(右通禮)를 거쳐 병조참지(兵曹參知)에 이르렀다. 시문(詩文)에 뛰어났다. 이남식(李南軾) 1803(순조3)~1878(고종15) 조선시대 무신. 자는 경첨(景瞻), 호는 성곡(星谷)․남파(南坡), 부총관(副摠管) 겸회(謙會)의 아들. 1824년(순조24) 무과(武科)에 급제, 1826년 선전관(宣傳官)이 되고, 이어서 여러 관직을 거쳐 1862년(철종13) 좌포도대장(左捕盜大將)으로 포도청의 공안(供案)을 함부로 없애어 삭직되었다. 1864년(고종1) 함경북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경흥부(慶興府)에 가서 통상을 요구하는 러시아인에 내응(內應)한 자들을 색출 처형 했으며, 후에 훈련 대장(訓練大將)․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거쳐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에 이르렀다. 무관 집안에 태어났으나 학문을 즐겨 많은 서적을 탐독했으며, 서독(書牘)․화첩(畵帖)․유문(遺文) 등의 수집가로 유명했다. 서화(書畵)에도 능하여 글씨는 예서(隸書)․행서(行書), 그림은 매화(梅花)에 뛰어났다. 이명윤(李命允) 1804(순조4)~1863(철종14) 조선시대 문신. 자는 치백(致伯), 호는 안호(安湖), 덕천군(德泉君: 定宗의 아들)의 후손. 완길(完吉)의 아들. 진주(晋州) 출신. 1833년(헌종4)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가 되고 1840년 휘릉 별검(徽陵別檢) 이듬해 전적(典籍)․감찰(監察)을 역임. 1845년 정언(正言)이 되었다. 서기1855년(철종6) 수찬(修撰)을거쳐 다음해 부교리(副校理)를 지내고, 1856년 교리(校理)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고향에 은퇴했다. 1852년에 일어난 진주 민란(晋州民亂)의 주동자 유계춘(柳繼春) 등과 동향인(同鄕人)인데다가, 그곳 백성들에게 신망이 두터웠기 때문에 평소 그를 미워하던 지방 이서(吏胥)들의 무고(誣告)를 받아 주모자로 몰려 강진(康津) 고금도(古今島)에 유배되었다. 뒤에 철종의 특사령(特赦令)이 내려졌으나 사서(赦書)가 도착하기 전 배소(配所)에서 병사했다. 이원회(李元會) 1805(순조5)~? 조선시대 문신. 상겸(尙謙)의 아들. 아산(牙山) 출신. 1828년(순조28)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840년(헌종6) 종부시정(宗簿寺正)이 되고, 이듬해 원릉(元陵)의 아헌관(亞獻官)으로 ⌈선원보략(0源譜略)⌋의 발문제술관(跋文製述官)이 되어 소임을 완수한 공으 로 가자(加資)되었다. 서기1855년 대사간을 거쳐 부사(府使)를 지내고 1857년 대사간에 재임되었다. 이 경우(李景宇) 조선시대 무신. 초명은 경순(景純), 자는 운서(雲瑞), 금위 대장(禁衛大將) 철구(鐵求)의 아들. 1849년(헌종 15) 어영 대장(御營大將)이 되고, 고종 즉위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집권하자 훈련 대장(訓練大將)․총융사(摠戎使)․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거쳐 1882년(고종19) 파남군부사(判三軍府事)가 되고, 1886년 친군 별영사(親軍別營使)에 이르렀다. 이경하(李景夏) 1811(순조11)~1891(고종280 조선시대 무신. 자는 여회(汝會), 시호는 양숙(襄肅), 경력(經歷) 인달(寅達)의 아들. 신정왕후(神貞王后: 趙大妃)의 인척으로서 1863년 고종이 즉위하고 대원군(大院君)이 집권하자 훈련 대장 겸 좌포도대장이 된 뒤 금위 대장(禁衛大將)․형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866년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기보연해 순무사가 되었다.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형조판서․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어영 대장(御營大將)․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공조판서 등을 역임. 1882년(고종19) 무위 대장(武衛大將)으로 임오군란(壬午軍亂)의 책임을 지고 파면된 뒤 전라도 고금도(古今島)에 유배 되었다. 서기1884년 풀려나와 좌포도대장이 되고 후영사(後營使)를 지냈다. 대원군의 깊은 신임을 받던 무자으로서 주로 군사․경찰권을 장악했으므로 그가 살던 동네 이름을 딴 낙동염라(落銅閻羅)의 별칭이 있었다. 이최응(李最應) 1815(순조150~1882(고종1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시호는 충익(忠翼), 뒤에 문충(文忠)으로 개시(改諡), 남연군(南延君) 구(球)의 아들. 흥선대원군 하응(昰應)의 형. 흥인군(興寅君)에 봉해졌으며, 1865년(고종2) 경복궁(景福宮) 중건(重建) 때 영건도감 제조를 지냈으나 쇄국정치를 반대하여 대원군과 반목이 심했다. 서기1873년 대원군의 실각으로 요직에 등용되어 호위 대장(扈衛大將)․좌의정 등을 역임 1878년 영의정에 올랐다. 서기1880년 청나라 제도를 모방,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이 신설되자 총리대신이 되어 개화정책을 적극 추진했으나 유림(儒林)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쳐 사직하고 영돈령부사(領敦寧府事)의 한직(閑職)을 지냈다. 서기1882년 광주부 유수(廣州府留守)를 잠시 지내고 다시 영돈령부사가 되었다가 이해 임오군란(壬午軍亂) 때 난도(亂徒)에게 살해되었다. 이인명(李寅命) 1819(순조19)~? 조선시대 문신. 자는 기영(祈永), 시호는 효헌(孝獻), 일연(一淵)의 아들, 판서(判書) 목연(穆淵)에게 입양(入養). 1858년(철종9) 생원(生員)으로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862년 경상우도 암행어사로 나갔고, 이듬해 지평(持平)에 올라 진주사(陣奏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이조판서에 승지, 1884년 예조판서로서 복제(服制)의 개혁으로 소매의 폭을 줄인 착수의(窄袖衣)를 입으라는 영(令)에 반대상소를 했다가 만경(萬頃)에 유배, 배소(配所)에서 졸하였다. 이상수(李象秀) 1820(순조20)~1882(고종1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여인(汝人), 호는 오당(悟堂), 시호는 문간(文簡), 연주(演周)의 아들. 서기1859년(철종10)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1879년(고종16) 가감역(假監役)이 되고 이어 경연관(經筵官)을 거쳐 진선(進善)․집의(執義)를 지냈다. 제학(提學)에 추증(追贈). 이장렴(李章濂) 1821~? 조선시대 무신. 자는 제경(霽卿),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남식(南軾)의 아들. 무과(武科)에 급제, 여러 관직을 거쳐 1859년(철종100 황해도 수군절도사를 지내고 1866년(고종3) 금위 대장(禁衛大將)이 되었다. 이 해 병인양요(丙寅洋擾)로 한때 함락되었던 강화부(江華府)의 유수(留守)가 되어 혼란된 민심을 수습했다. 이용직(李容直) 1824~? 조선시대 대신. 자는 수경(受卿), 1850년(철종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홍문관(弘文館)에 기용되어 실록청 기주관을 겸하다가 헌납(獻納)․집의(執義)․장악원정(掌樂院正)․동부승지(同副承旨)․공조참의(工曹參議)를 역임하고, 1865년(고종2) 이조참의(吏曹參議)가 되었다. 이듬해 병인양요(丙寅洋擾) 때는 여주 목사(驪州牧使)로서 소모사(召募使)가 되어 장정을 모집 그 뒤 한성부좌․우윤․병조․이조․예조의 참판(參判), 경상도 관찰사, 공조판서를 지냈으며 서기1902년(광무6) 궁내부 특진관이 되었다. 이면주(李冕宙) 1827(순조27)~1918(융희4) 조선시대 문신․순국지사(殉國志士). 초명은 석우(錫宇), 자는 윤래(允來), 호는 계은(桂隱)․하계(霞溪), 치두(致斗)의 아들. 김소(金熽)의 문인. 1850년(철종1) 증광문과(增廣文科0에 병과(丙科)로 급제, 전적(典籍)․지평(持平)을 거쳐 1864년(고종1) 정언(正言)에 올랐으나 시국의 그릇됨을 상소하고 사직, 그 후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했다. 1905년(광무9)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도자 조약 반대와 5적신(賊臣)의 처형을 상소했으며,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음독 자결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單章)이 수여되었다. 이건필(李建弼) 1830(순조30)~? 조선시대 서예가(書藝家). 자는 우경(右卿), 호는 석범(石帆, 1849년(헌종15)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1858년(철종9) 평안도 청북 암행어사가 되고, 1863년 제주 안핵사(濟州按覈使)를 거쳐 1865년(고종20 의주 부윤(義州府尹)에 이르렀다. 글씨에 뛰어났다. 안변(安邊) 석왕사(釋王寺)와 묘향산(妙香山) 극락전(極樂殿)의 향산운사(香山雲舍)․서래각(西來閣)․청허영각(淸虛影閣) 등의 편액(扁額)을 썼다. 그림에도 능했다. 이재원(李載元) 1831(순조31)~1891(고종28) 조선시대 대신. 자는 순팔(舜八), 시호는 효정(孝貞), 흥선대원군의 조카, 흥완군(興完君) 정응(晸應)의 아들. 흥녕군(興寧君) 창응(昌應)에게 입양(入養). 1853년(철종4)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대원군이 집권하자 중용(重用)되어 6조(曹)의 판서를 지내고, 1868년(고종5) 경복궁(景福宮) 중건 때는 종정경(宗正卿)으로 영건도감 제조를 겸임했다. 서기1884년(고종 21) 기구개편 때 군무사 당상경리사가 되어 군무(軍務)를 장악했고, 갑신정변(甲申政變)으로 개화당(開化黨)이 집권하자 한때 영의정을 지냈고, 이어 사대당(事大黨)의 심순택(沈舜澤) 내각에서는 이조판서가 되었다. 완림군(完林君)에 추봉. 이주철(李周喆) 조선시대 무관. 자는 혜백(惠伯), 시호는 정이(靖夷), 첨절제사(僉節制使) 사겸(思謙)의 아들. 1865년(고종2) 우포도대장(右捕盜大將)으로 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때 영건도감 제조를 지내고, 총융사(摠戎使)를 거쳐 1868년(고종5) 지삼군 부사(知三軍府事), 이어 금위 대장(禁衛大將) 등을 역임했다. 이규원(李奎遠) 1833(순조33)~? 조선시대 무신. 자는 성오(星五), 시호는 장희(莊僖), 면대(勉大)의 아들. 무과(武科)에 급제, 1877년(고종14) 통진 부사(通津府使)로 나갔다가 1881년 울릉도 검찰사가 되어 섬을 시찰하고 돌아와 울릉도를 포기하지 말 것을 상주(上奏)했다. 이듬해 어영대장(御營大將) 총융사(摠戎使)를 거쳐 1884년 동남제도 개척사, 1891년 호군(護軍)으로서 찰리사 겸 제주 목사를 역임하고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이르렀다. 이건하(李乾夏) 1835(헌종1)~? 조선시대 문신. 자는 대시(大始), 인화(寅和)의 아들. 인우(寅禹)에게 입양(入養). 한양출신. 1864년(고종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부교리(副校理)․장령(掌令)을 거쳐 공조 참의(工曹參議)․대사성․좌승지 ․이조 참의․성천 부사(成川府使) 등을 역임. 서기1879년(고종16) 예조참판(禮曹參判)․부총관(副摠管)․동지돈령부사를 지냈고, 이어 병조․이조의 참판, 공조․이조의 판서,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와 1896년(건양1)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내의원경(內醫院卿)․비서원경을 역임했다. 서기1899년(광무 3) 내무 대신, 양지아문 총재를 거쳐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판동령부사(判敦寧府事)가 되었다. 1905년(광무9) 충청도 관찰사․중추원 의장(中樞院議長)을 거쳐 궁내부 특진관(特進官)에 이르렀으며 1910년(융희4) 한일합방이 되자 일본정부에 의해 남작(南爵)이 되었다. 이헌영(李0永) 1837(헌종30~1907(융희1) 조선시대 문신. 자는 경도(景度), 호는 경와(敬窩)․동련(東蓮), 시호는 문정(文貞), 정태(鼎台)의 아들. 서기1867년(고종4)에 진사(進士)가 되고, 서기1870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홍문관(弘文館)․사헌부(司憲府)․승문원(承文院)의 여러 벼슬을 거쳐 1877년 병조참지(兵曹參知)가 되었다. 서기1881년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의 일원으로 일본의 문물을 시찰, 귀국 후 경리통리기무아문사(經理統理機務衙門事)가 되고, 그후 감리부산항통상사무(監理釜山港通商事務)․의주 부윤(義州府尹)․참의내무부사(參議內務府事) 등을 역임했다. 서기1886년 주일공사(駐日公使)로 부임. 1890년 귀국하여 협판교섭통상사무(協辦交涉通商事務)에 전직했다가 이어 경상도․충청도의 관찰사를 지내고 1895년 내부 대신(內部大臣)에 승진, 이듬해 평안도 관찰사로 나갔다. 서기1897년(광무1) 봉상시 제조(奉常寺提調)가 되고 후에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장례원경(掌禮院卿)․경상북도 관찰사를 거쳐 1904년(광무8) 경효전 제조(景孝殿提調)가 되었다. 이제마(李濟馬) 1838(헌종4)~1900(광무4) 조선시대 한의학자. 자는 무평(務平), 호는 동무(東武), 함흥(咸興) 출신. 1888년(고종25) 김기석(金基錫)의 추천으로 군관직에 등용되었으나 이듬해 사직, 1892년 진해현감(鎭海縣監)이 되어 관기(官紀)를 바로잡았다. 다음해 사직하고 서울에 올라와 저술과 학문연구에 전심, 그후 다시 향리에 돌아갔다가 1896년 반란을 일으킨 최문환(崔文煥)을 잡아 난을 평정, 그 공으로 고원군수(高原郡守)에 추천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일생을 의학연구와 제자들의 교육으로 보냈다. ⌈주역(周易)⌋의 태극설(太極說)인 태양(太陽)․소양(小陽)․태음(太陰)․소음(小陰)의 4상(四象)을 인체에 적용하여 기질과 성격의 차이에 따라 인간을 4가지로 나누고 그에 적합한 치료방법을 제시한 독특한 사상의학(四象醫學)을 배격하고 임상학적(臨床學的)인 방법에 따라 환자의 체질을 중심으로 치료방법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으며, 한의학의 한유파로 계승되어 오고 있다. 이하전(李夏銓) 1842(헌종8)~1862(철종13) 조선시대 왕족. 완창군(完昌君) 시인(時人)의 아들. 1849년 헌종이 후사 없이 죽자 왕족 중 기개있는 인물로서 왕위 계승권자 후보로 물망에 올랐으나 외척인 안동(安東) 김씨들의 반대로 철종이 즉위하게 되면서부터 김씨들의 감시와 미움을 받았다. 돈령부 참봉(敦寧府參奉)․도정(都正) 등을 지내고, 1862년(철종13) 김순성(金順性)․이긍선(李兢善)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모반했다는 오위장(五衛將) 이재두(李載斗)의 무고로 제주도(濟州島)에 유배, 이어 사사(賜死)되었다. 고종이 즉위하여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집권하자 신원(伸寃)되었다. 이종건(李鐘健) 1843(헌종9)~? 조선시대 문신. 자는 치행(致行) 판삼군부사(判三軍府事) 규철(圭徹)의 아들. 협판내무부사․ 상리국 총판(商理局總辦)․친군 별영사(親軍別營事)를 역임. 1888년(고종25) 군제개혁(軍制改革) 때 총어사(總禦使)가 되어 연무공원 관리사무를 겸했다. 이듬해 전화국 총판(典圜局總辦)을 거쳐 1890년 다시 협판내무부사가 되고 장위사(壯衛使)를 지내다가 1894년 갑오경장(甲午更張)으로 척신(戚臣)이 제거될 때 면직되었다. 그후 의정부 찬정(議政府贊政)으로 기용되고 1898년(광무2) 만민공동회에 참가했다. 이학순(李學純) 1843(헌종9)~1910(융희4) 조선시대 우국지사(憂國志士). 자는 경실(敬實), 호는 회천(晦泉), 청렴 강직한 선비로서 만년에는 충남 연산군(連山郡)의 대명산(大明山) 기슭에서 살았다. 서기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제(日帝)에 협력하지 않았고, 일제의 양로은사금(養老恩賜金)을 거절하여 일본 헌병대장의 회유와 협박을 받았으나 끝내 굴복하지 않아 투옥되었다가 잠시 병보석(病保釋)이 된 기회를 이용, 음독 자결했다. 서기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單章)이 수여되었다. 이기호(李起鎬) 1844(헌종10)~? 조선시대 문신. 초명은 창호(昌鎬), 자는 경로(景魯), 정언(正言) 승규(承圭)의 아들. 1864년(고종1)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이 되고, 주서(注書)․사성(司成)․전적(典籍)․사복시정(司僕寺正) 등을 거쳐 예조․병조의 참의(參議)를 역임했다. 이어 승지(承旨)를 지내고 형조․예조․이조의 참판(參判)을 역임. 부제학(副提學)․대사헌을 지냈다. 1899년(광무3) 궁내부 특진관이 되고 1902년 비서승(秘書丞)으로서 장례원경(掌禮院卿)을 겸직, 이어 예조판서에 올랐다. 이중하(李重夏) 1846(헌종12)~1917 조선시대 문신. 자는 후경(厚卿), 호는 규당(圭堂)․탄재(坦齋), 현감(縣監) 인식(寅植)의 아들.서기873년(고종10) 진사(進士)가 되고, 1서기882년(고종19)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885년 안변 부사(安邊府使)로서 토문감계사(土們勘界使)가 되어 청나라 차관(差官) 가원계(賈元桂)와 백두산 정계비(定界碑)를 답사, 국경분쟁의 해소에 노력했으나 양국의 견해차이로 실패했다. 그 후 덕원 부사(德源府使)를 거쳐 1890년 참의교섭통상사무가 되고, 서기1892년 충청도암행어사로 나갔다가, 서기1894년 협판교섭통상사무를 거쳐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전직, 이해 갑오경장(甲午更張)으로 제 1차 김홍집(金弘集) 내각에 입각하여 내무 협판(內務協辦)이 되었다. 이듬해 지방제도 개편 때 대구부(大邱府) 관찰사가 되고 이어 평안도 관찰사․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규장각 제학(奎章閣提學)을 역임. 한일합방 후에는 이재극(李載克)․이하영(李夏榮)․이근상(李根湘)과 작잠회사(柞蠶會社)를 세웠다. 이재윤(李載允) 1849(철종 즉위)~1911 조선시대 의사(義士). 자는 성집(聖執), 고종의 종척(宗戚), 상응(商應)의 아들. 원응(遠應)에게 입양(入養). 서기1877년(고종14)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벼슬이 우승지(右承旨)에 이르렀으나 동학혁명 이래 시국의 혼란을 개탄하고 벼슬을 사직, 향리에 은거했다가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매국노 5적신의 참형(斬刑)을 상소했다. 서기1907년(융희1) 중국으로 건너가 북경(北京)의 원세개(哀世凱)를 방문, 일본의 침략적 내정간섭으로부터의 구원을 요청하고 귀국했다. 서기1910년 한일합방이 이루어지자 고향에 돌아가서 기울어진 사직(社稷)의 운명을 슬퍼하다가 이듬해 집안 뒤뜰의 나무에 목을 매어 졸하였다. 이승칠(李承七) 1850(철종1)~1912 의사(義士). 자는 두경(斗卿), 경주 영장(慶州營將) 지현(之鉉)의 아들. 1867년(고종4) 무과(武科)에 급제, 주부(主簿)․찰방(察訪) 등을 역임. 1886년 감찰(監察)에 승진했다. 서기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자살을 기도했으나 실패, 1912년 일본 메이지 천황(明治天皇)이 죽자 일본 경찰로부터 상복(喪服) 착용을 강요당했으나 이를 거절하고 봉황정(鳳凰亭) 절벽에서 뛰어내려 자결했다. 이건석(李建奭) 1850(철종1)~1906(광무10) 조선시대 충신. 자는 한경(漢卿), 호는 성석(醒石), 충청도 황간(黃澗) 출신. 1895년(고종32) 을미사변(乙未事變)으로 민비(閔妃)가 살해되자 기호 유행(畿湖儒生)의 대표로 토왜(討倭)의 연소(聯疏)를 올렸고, 1898년(광무2) 고종의 양위를 모의했던 안경수(安駉壽) 등 친일파가 일본으로 도망갔다가 다시 돌아오자 이의 처단을 요구하는 상소를 하였다. 서기1902년 주사(主事)가 되고 이듬해 노일전쟁(露日戰爭)이 일어나자 양국 중 어느 나라가 승리해도 피해는 조선이 입으므로 호국(護國)의 방책을 세우라고 상소했고, 서기1905년(광무9)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승지(承旨) 이석종(李錫鍾)을 소두(疏頭)로 추대하여 유생(儒生)을 이끌고 궁궐 앞에 가서 조약의 취소를 강경히 상소했다. 고종의 해산명령에도 불구, 연좌한 자리에서 계속 버티다가 수감되어 옥중에서 토혈(吐血), 순국했다. 1963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單章)이 수여되었다. 이재순(李載純) 1851(철종2)~? 조선시대 문신. 자는 덕일(德一), 시호는 문충(文忠), 휘응(徽應)의 아들. 영평군(永平君) 경응(景應)에게 입양(入養). 1868년(고종5)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여려 내외 벼슬을 거쳐 1884년(고종21) 평안도 관찰사가 되고, 1895년(고종 32) 시종원경(侍從院卿)으로서 임최수(林最洙) 등과 함께 춘생문사건(春生門事件)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았다. 이듬해 아관파천(俄館播遷)으로 특사, 궁내부대신(宮內府大臣)에 오르고, 서기1899년(광무3) 청안군(淸安君)에 봉해졌으며, 1902년 전권대사로 유럽 여러 나라를 순방했다. 이건창(李建昌) 1852(철종3)~1898(광무2) 조선시대 문신․학자.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 판서 시원(是遠)의 손자. 상학(象學)의 아들. 강화(江華) 출신. 1866년(고종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874(고종11)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가서 문장가 서보(徐0)․황각(黃珏) 등과 교유,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이듬해 충청우도 암행어사로 나갔다가 무고한 선비를 사감으로 장살(杖殺)했다 하여 벽동군(壁潼郡)에 유배되었다. 1880년 풀려나와 경기도 암행어사를 거쳐 1892년 함흥부(咸興府)의 난민(亂民)을 다스리기 위해 안핵사(按覈使)로 파견, 갑오경장(甲午更張) 이후에는 해주(海州) 관찰사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그의 저서 ⌈당의통략(黨議通略)⌋은 공정한 입장에서 당쟁의 원인과 전개 과정을 기술한 것으로 당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글씨에 뛰어났고 고문(古文)에 능했으며 청나라의 증공(曾鞏)․왕안석(王安石)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병인양요(丙寅洋擾:1866)에 강화에서 자결한 조부(祖父)의 유지를 받들어 철저한 척양주의자(斥洋主義者)로 일괄했다. 이용태(李容泰) 1854(철종5)~? 조선시대 대신. 부사(府使) 병로(秉路)의 아들. 1873년(고종10) 진사(進士)가 되고, 군수(郡守)로서 1885년(고종22)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부응교(副應敎)를 거쳐 1891년 참의내무부사가 되었다. 서기1894년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낸 뒤 동학혁명이 일어나자 안핵사(按覈使)로서 동학군의 무마에 나서 지나친 탄압과 만행을 감행, 오히려 동학교도들의 심한 반발을 사게 되어 봉기가 확대되자 파직당했다. 그 후 다시 등용, 1899년(광무3) 평리원 재판장, 1901년 주미공사(駐美公使), 이어 비서원경(秘書院卿)․사직서 제조(社稷署提調)․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궁내부 특진관을 거쳐 이완용(李完用) 내각의 학부 대신(學部大臣)을 역임하고,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일본정부에 의해 자작(子爵)이 되었다가 3․1운동에 가담, 작위를 빼앗겼다. 이봉환(李鳳煥) ?~1896(건양1) 조선시대 의사(義士). 자는 여강(汝岡), 호는 회곡(晦谷), 양주(楊洲)출신. 이항로(李恒老)의 문인. 선공랑(繕工郞)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서기1895년(고종32) 겨울 단발령(斷髮令)이 내리자 동방 예의지국의 수치라 하여 스승의 묘에 참배하고 7일간의 단식 끝에 이듬해 졸하였다. 이재완(李載完) 1855(철종6)~? 조선시대 대신. 자는 순칠(舜七), 호는 석호(石湖), 흥선대원군의 조카. 흥완군(興完君) 정응(晸應)의 아들. 1875년(고종12)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검열(檢閱)․승지(承旨)․이조참판(吏曹參判)․예조참판(禮曹參判) 및 양관(兩館)의 제학(提學)을 거쳐 대사헌을 지내고 서기1884년(고종21) 갑신정변(甲申政變) 때 개화당(開化黨) 내각의 병조판서가 되었다. 그후 이조와 형조의 판서,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지내고 1894년 공조판서가 되었다가 1899년(광무3)에 내부 대신(內部大臣)이 되어 완순군(完順君)에 봉해졌다. 서기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보빙대사(報聘大使)로 일본에 다녀와서 육군부장(陸軍副將)․승녕원 총관(承寧院摠管) 등을 역임.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일본정부에 의해 후작(侯爵)이 되었다. 이강년(李康秊) 1858(철종9)~1908(융희2) 조선시대 의병장(義兵將). 자는 낙인(樂仁․藥寅), 호는 운강(雲崗), 기태(起台)의 아들 경상도 문경(聞慶) 출신. 유인석(柳麟錫)의 문인. 1880년(고종17) 무과(武科)에 급제, 절충장군․행용양위 부사과로서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이 일어나자 사직하고 낙향, 1894년 동학혁명(東學革命) 때 문경의 동학군을 지휘하여 왜병과 탐관 오리를 무찔렀다. 이듬해 을미사변(乙未事變)이 일어나자 의병(義兵)을 일으켜 안동 관찰사 김석중(金奭中) 등 부정한 관리를 죽이고 제천(堤川)에서 유인석의 의병과 합류하여 유격장(遊擊將)이 되었다. 1896녀 유인석이 만주로 망명하자 곧 뒤따라갔다가 3년 후에 귀국하여 두문불출했다. 1905년(광무9) 을사조약(乙巳條約)이 맺어지고 1907년(융희1) 고종이 선위(禪位)를 강요당하는 등 일본의 침략정책이 노골화하자 영춘(永春)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원주(原州)에서 의병을 일으킨 민긍호(閔肯鎬)와 합세하여 충주(忠州)를 공격했다. 이 해 12월 전국의 의병들이 서울을 공격할 때 1백여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이에 가담했고, 가평(加平)의 광악산(鑛岳山)에서 왜병을 격파, 그 후 인제(麟蹄)․강릉(江陵)․양양(襄陽) 등지에서 승리했다. 이듬해 청풍(淸風)의 금수산(錦繡山)에서 체포되어 사형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重章)이 수여되었다. 이정숙(李貞淑) 1858(철종9)~1935 여류 교육가. 해석(海錫)의 딸, 영의정 조영하(趙寧夏)의 부인. 경기도 양주(楊州)출신. 1875년 정부인(貞夫人)에서 정경부인(貞敬夫人)에 올랐다. 갑신정변(甲申政變) 때 남편을 잃고 1906년 엄비(嚴妃)의 후원을 얻어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 淑明學校)를 설립, 교장이 되었다. 1924년 학무국에서 교육 공로자로 표창받았고, 1927년 동아일보사(東亞日報社)에서 민간교육 공로자로 은패를 받았으며, 이듬해 조선 여자교육 보급 진작의 공로로 학무국에서 은패를 받았다. 1935년 임종 직전에 퇴직금 전액을 숙명학원(淑明學園) 장학기금으로 희사했다. 이내수(李來修) 1860(철종11)~? 독립운동가 이시며. 자는 원백(源伯), 호는 양은(陽隱), 학순(學純)의 아들. 1914년 의병(義兵)을 일으킬 것을 상주(上奏), 이를 장하게 여긴 선왕(先王: 高宗)에 의해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의군부 총령(義軍府總領)이 되어 전국을 왕래하며 동지를 규합, 주권의 회복을 꾀하다 1918년 체포되어 기좌도(箕佐島)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풀려나왔으나 3․1운동에 가담하여 다시 투옥, 수십일 후 석방되어 곽종석(郭鍾錫)과 함께 파리 평화회의에 일본의 죄상을 규탄하는 글을 내려다가 또다시 투옥당했다. 1920년 상해 임시정부와 연락을 하려다가 광주(光州) 감옥에 수감, 1개월 후 석방되자 그 후 계속 독립운동을 전개, 1923년 다시 잡혀 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중 반년 후에 풀려나왔다. 이해창(李海昌) 1865(고종27)~? 조선시대 문신. 자는 배언(拜言),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후손, 경용(慶容)의 아들. 하전(夏銓)에게 입양(入養). 서울 출신. 1879년(고종16) 음보(蔭補)로 종친부 참봉(宗親府參奉)이 되고 1884년 충훈부 도사(忠勳府都事)에 승진, 1889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교리(校理)가 되었다. 헌납(獻納)․수찬(修撰)․사복시정(司僕寺正)․장령(掌令) 등을 역임. 1891년 수정청 도청(修正廳都廳)이 되어 ⌈선원보략(0源譜略)⌋의 개찬(改撰)에 참여했다. 종친부 도정(都正)․형조참의(刑曹參議)․우부승지(右副承旨)․대사간(大司諫)․예조참의 강화 부윤(江華府尹)․비서원승(秘書院丞)을 거쳐 1904년(광무8)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이 되었다. 이해 창산도정(昌山都正)에 봉해지고 이어 군(君)에 진봉(進封), 유릉 수릉관(裕陵守陵官)을 지낸 뒤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일본정부에 의해 후작(侯爵)이 되었다. 이능화(李能和) 1869(고종6)~1943 학자. 자는 자현(子賢), 호는 간정(侃亭)․상현(尙玄)․무능거사(無能居士)․무무(無無), 법부 협판(法部協辦) 원긍(源兢)의 아들. 괴산(槐山) 출신. 어려서 한학을 배우고 1889년(고종26) 정동 영어학당을 졸업, 1894년 학어학교(漢語學校)를 마쳤다. 이듬해 관립 법어학교에 입학, 이 해 11월에 농상공부 주사가 되었다가 이듬해 사직, 1897년(광무1) 관립 한성외국어학교 교관이 되었다. 한때 칭경례식사무소 위원으로 있었고, 1904년(광무8) 다시 교관으로 복직, 1906년 사립 일어야학사에 입학, 이듬해 졸업하고 10월에 관립 한성법어학교 교장이 되었다가 의정부(議政府)의 특명으로 도일(渡日), 각 관청을 시찰하고 돌아와 국문연구소(國文硏究所) 위원이 되었다. 1908년(융희 2) 관립 한성외국어학교 학감이 되었으며, 1910년 한일합방으로 학교가 폐쇄되자 학문 연구에 전심, 사료 수집과 종교․민족 등을 연구했다. 1912년 사립 능인보통학교 교장이 되고, 1914년 불교진흥회(佛敎振興會) 간사에 피선, 이듬해 4월에 교장직을 사임한 후 불교진흥회 월보를 편찬했으며, 1917년에 동 진흥회의 이사가 되었다. 1912년 총독부 ⌈조선사⌋ 편수위원회의 편수관․편수위원이 되고 많은 저서와 논문을 남겼다. 유고는 6․25 사변중 거의 분실되었으나 일부가 남아 국학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다. 영국․프랑스․중국․일본 4개국어에 능통했다. 이 후(李 后) 1870(고종7)~1934 학자. 초명은 존후(存垕)․돈학(0學), 자는 선재(善載), 호는 낭산(朗山)․구시헌(求是軒), 창우(昌禹)의 아들. 영천(永川) 출신. 13세 때 군시(郡試)에 장원했으나 벼슬을 단념, 산사(山寺)에 들어가서 학업을 닦아 성리학(性理學)을 비롯하여 천문(天文)․지리(地理)․병서(兵書)․역서(曆書)․산수(算數)․선불 제가(仙佛諸家)에 이르기까지 박통했고, 한편 시문(詩文)에 뛰어났다. 후에 거유(巨儒) 곽종석(郭鍾錫)의 문하에서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했고, 시국이 혼란해지자 팔공산(八公山)에 옮겨 은신했다. 1910년(융희40 한일합방이 되자 통분하는 시 20편을 짓고 일생 동안 일본의 연호를 쓰지 않고 단군 기원만을 사용했으며, 인근의 청년을 모아 학문을 강론하여 많은 제자를 길렀다. 이재각(李載覺) 1873(고종10)~? 왕족. 장헌세자(莊獻世子)의 현손(玄孫), 완평군(完平君) 승응(昇應)의 아들. 1892년(고종29)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비서감 좌비서랑․경연원 시독관․부제학(副提學)․비서승(秘書丞)을 역임, 의양도정(義陽都正)에 봉해지고, 이어 의양군(義陽君)에 진봉(進封)되었다. 그 후 궁내부 특진관이 되었다가 1902년(광무6) 특명대사로 영국에 가서 영국황제의 대관식(戴冠式)에 참석, 이어 전선사 제조(典膳司提調)․포공국장(砲工局長)․종정원경(宗正院卿)을 역임. 1905년(광무9) 다시 특명대사가 되어 일본에 가서 봉천대첩(奉天大捷)을 축하했다. 이 해 12월 대한적십자사가 창립되자 그 총재가 되고 이듬해 일본에서 한국 황태자의 가례(嘉禮)가 거행되자 특파보빙대사로 파견되었으며, 1910년(융희4) 한일합방 후 일본정부에 의해 후작(侯爵)이 되었다. 이명룡(李明龍) 1873(고종10)~1956 독립운동가. 3․1운동 때 33인의 한 사람. 호는 춘헌(春軒), 창엽(昌葉)의 아들. 평북 철산(鐵山) 출신. 어려서 한학을 배우고 1887년 정주(定州)로 이사, 1892년 (고종29) 기독교에 입교한 후 육영사업과 신앙생활에 진력했다. 1902년(광무6) 정주군 상업회의소 소장이 되어 동양척식회사에서 한국인 토지 매수를 반대, 한국인의 주권(株券) 소유를 주장했다. 1911년 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을 다녀와 105인 사건에 관련되어 6년형을 선고받고 3년 동안 복역했다. 1916년 덕흥교회(德興敎會) 장로(長老)가 되고, 한편 농장을 경영하며 교회를 설립했고, 국산품 애용 운동을 벌였다. 3․1 운동 때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문에 서명하고 피체, 2년형을 선고받았다. 1945년 조만식(曺晩植)과 조선민주당(朝鮮民主黨)을 조직, 고문에 취임했고, 재산을 처분하여 평동중학(平東中學)을 설립, 교육사업에 헌신하다가 1947년 월남했다. 1954년 12월 반공연맹(反共聯盟) 이사가 되고, 이듬해 평안북도 도민회, 3․1 정신선양회, 조선민주당, 이준열사(李儁烈士) 기념사업회 등의 고문을 역임하고, 1956년 안중근의사 기념사업회 회장, 오산중학교 건축발기인 회장이 되었다. 죽을 때까지 성서와 농구(農具)를 손에서 놓지 않고 근면 절약하여 일일 이식(一日二食)을 실천했다. 죽은 후 사회장을 지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복장이 수여되었다. 이승만(李承晩) 1875(고종12)~1965 독립운동가․정치가. 초명은 승룡(承龍), 호는 우남(雩南), 경선(敬善)의 아들. 황해도 평산(平山) 출신. 3세 때 서울로 이주, 이건하(李建夏)에게 학문을 배우다가 1894년(고종31) 신긍우(申肯雨)의 권유로 배제학당(培材學堂)에 입학, 이듬해 졸업과 동시에 모교의 영어 교사가 되었다. 이무렵 개화사상(開化思想)에 눈을 떠 기독교에 입교하는 한편, 서재필(徐載弼)의 영도하에 설립된 협성회(協成會)․독립협회(獨立協會) 등의 간부가 되어 개화운동에 투신했다. 1898년(광무2) 정부 타도를 획책했다는 황국협회(皇國協會)의 무고로 독립협회의 간부와 함께 투옥, 종신징역을 선고받았으나 1904년 민영환(閔泳煥)의 주선으로 석방, 이 해 겨울 미국에 건너가 일본의 한국침략에 대한 미국정부의 관여를 호소했으나 실패했다. 그후 미국에 머물면서 워싱턴 대학․하아버어드 대학 등에서 수학(修學), 1910년 프린스턴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해 한일합방이 이루어지자 귀국하여 기독교청년회(YMCA)를 중심으로 활약하다가 투옥, 미국 선교사의 주선으로 석방되어 1920년 미국에서 열린 세계 감리교대회(監理敎大會)에 한국대표로 참가했다. 1914년 하와이에서 ⌈한국태평양⌋을 창간, 독립정신을 함양했고, 1917년에는 호놀룰루에 기독교 학원과 독립 군관학교를 세워서 독립을 위한 힘의 양성에 노력했다. 1919년에 상해(上海)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대통령에 추대되었고, 1921년 임시정부의 배척으로 대통령을 사임. 이후 해방이 되기까지 주로 미국과 하와이에서 독립운동을 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이 해 10월에 귀국, 민주진영(民主陣營)의 최고 지도자로서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총재․ 대한국민대표 민주의원 의장․민족통일총본부 총재 등을 역임, 이듬해 한국의 독립문제를 협의하기 위하여 미국에 다녀왔다. 1948년 제헌국회의원에 무투표로 당선되어 국회의장에 선출되고, 7월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후 강력한 반공․배일주의자(反共排日主義者)로서 국내의 공산주의 운동을 분쇄하고 일본에 대해서는 강경외교를 견지했으며, 6․.25 사변 하국전쟁 때는 UN의 도움을 얻어 공산군을 격퇴했다. 이범윤(李範允) 독립운동가. 훈련 대장(訓練大將) 경하(景夏)의 아들. 법부 대신(法部大臣) 범진(範晋)의 동생. 1902년(광무6) 청나라가 간도(間島)의 영유권을 주장하여 교포를 괴롭히자 간도 관리사(管理使)로 부임. 포병(砲兵)을 양성하여 교포의 보호에 힘썼다. 1907년 통감부(統監府)에서 간도에 출장소를 설치하자 시베리아에 망명하여 창의회(彰義會)를 조직하고 의병규합에 진력하며 노우키에프스키(煙秋)를 중심으로 30만원의 자금을 모집, 러시아의 무기를 구입하고 약 4천명의 의병을 모아 총대장이 되었다. 1908년 대대적인 국내 진출을 시도, 안중근(安重根)․전제덕(全濟德)․엄인섭(嚴仁燮) 등으로 각각 의병을 이끌고 함경도 지방을 공격케 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나, 일본 수비대의 증강과 의병 내부의 분규로 해산하였다. 그후 대종교(大倧敎)에 입교, 참교(參敎)가 되었으며, 3․1운동 후 남만주 연길현(延吉縣)에서 의군부(義軍府)를 조직, 총재에 선출되고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와 연합하여 이듬해 청산리(靑山裏) 싸움에 공을 세웠다. 뒤에 일본군의 공격을 피해 다시 시베리아로 갔다가 1925년 만주 영안현(寧安縣)에서 신민부(新民府) 조직에 참가하여 고문이 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복장(複章)이 수여되었다. 이원긍(李源兢) 조선시대 문신. 국학자(國學者) 능화(能和)의 아버지. 1894년(고종31) 갑오경장(甲午更張) 때 군국기무처 회의원이 되고, 법무 협판(法務協辦)을 지냈다. 그 후 일본의 침략이 노골화하자 대한협회(大韓協會)에 가담, 국권 회복(國權恢復)을 위해 힘쓰고 1907년(융희1) 국민교육회(國民敎育會)를 조직하여 계몽과 민족정신 앙양에 노력했다. 이석용(李錫庸) 1878(고종15)~1914 조선시대 의병장. 자는 경항(敬恒), 봉선(鳳善)의 아들. 전북 임실(任實) 출신. 김관술(金觀述)의 문인으로, 1907년(광무11) 고종이 양위(讓位)하자 진안(鎭安)에서 의병을 일으켜 진안읍으로 진격, 일본군을 패주시키고 많은 군수물자를 노획, 이어 용병을 일으켜 진안읍으로 진격, 일본군을 패주시키고 많은 군수물자를 노획, 이어 용담 심원사(龍潭深遠寺)의 의병장 김동신(金東臣)의 의병과 합세하여 기세를 떨쳤다. 그 후 일본군에게 패하여 지리산(智異山)으로 철수, 군비를 다시 정비하여 장수(長水) 방면으로 나가 적의 배후를 습격하여 대승했다. 1908년 남원(南原)으로 진격했다가 임실로 후퇴, 왜적의 죄 10조를 들어 격문으로 통박했다. 남원․전주의 교전에서 패하고 순종에게 백가의 백년대계를 상소한 후 1913녀 재기를 도모하다가 체포되러 전주에 수감, 대구(大邱)로 이송(移送)되어 사형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單章)이 수여되었다. 이은찬(李殷瓚) 1878(고종15)~1909(융희3) 조선시대 의병장 경기도 양근(楊根: 楊平) 출신. 유생(儒生)으로서 을사조약(乙巳條約:1905) 후 홍천(洪川)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1907년(융희1) 원수(元帥) 이인영(李麟榮)의 중군(中軍)이 되어 양주(楊洲)에서 각지의 의병을 규합, 24진을 편성하여 서울 진격을 결행했다. 12월 서울 동대문 밖에 이르러 일본군과 싸웠으나 완강한 저항을 받아 패퇴, 양주에 머물렀다. 1909년(융희3) 병세(兵勢)가 부진(不振)하자 간도(間島)에 들어가 양병(養兵)하려 했으나, 군자금(軍資金)을 제공하겠다는 밀정 박노천(朴魯天)․신좌균(申左均) 등의 꾐에 빠져 체포되어 우국 시조(憂國時調) 한 수를 읊고 사형을 당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복장(復章)이 수여되었다. 이윤성(李潤誠) 1884(고종21)~1956 여류 교육가. 법명(法名)은 청정심(淸淨心) 아명은 십년(十年)․이남(二男), 재한(在漢)의 딸. 완주군(完州郡) 출신. 백인기(白寅基)와 결혼한 뒤 1902년 숙명여자 고등보통학교에 입학, 뒤에 동교를 수료(修了)하고 해방이 되자 남편의 유지(遺志)를 펴기 위해, 자기소유의 토지 57만 여 평과 아들의 토지 47만 여 평을 투자하여 재단법인 화성학원(華星學院)을 세워 남성중학교(男星中學校)를 창립했다. 이어 재단을 확장하여 남성고등하교, 남성여자중고등학교 및 남성국민학교를 세워 일생동안 육영사업(育英事業)에 헌신했다. 이애라(李愛羅) 1898(광무2)~1921 교육자․이며 항일운동가이다. 서울 출신. 이화학당 중등과를 졸업, 뒤에 이화학당고등과 교사를 지내고 이규갑(李奎甲)과 결혼 후 공주(公州) 영명학교(永明學校)의 교사로 있었다. 한때 평양에서도 교편을 잡았고 3․1운동 때 만세시위에 참가 구류되었다. 다음해 수원(水原)․공주․아산(牙山) 등 지방교회를 순회하면서 비밀리에 부인회를 조직한 후 상경(上京), 헌병에게 체포되었다. 석방 후에도 러시아로 망명한 남편 때문에 여러번 연행되어 고문을 당했다. 1921년 찬안(天安) 양대여학교(良垈女學校) 교사로 있다가 경찰의 요시찰인 대상에 오른 것을 알고 망명을 결행했으나 웅기(雄基)에서 경찰에 피검, 고문을 당한 후 석방되자 블라디보스톡(海蔘威)으로 도피했다. 고문으로 발병(發病)하여 그곳 병원에서 졸하였다. 1962년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單章)이 수여되었다. 이병학(李丙學) 1898(광무2)~1963 체육인(體育人), 호는 소봉(蘇峯), 평양(平壤) 출신. 평양 숭실학교(崇實學校)를 졸업하고 덕원(德源)에서 독일 계통의 성 베네딕트 수도원에서 2년간 수도하였다. 그 후 일본 체육전문학교를 졸업, 귀국 후 역도(力道) 보급에 힘쓰다가 1926년 서상천(徐相天)․이규현(李圭鉉) 등과 중앙체육연구소를 창설했다. 이어 고창고보(高敞高普) 체육교사로 부임. 덴마아크 체조를 보급하고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에 전임. 10년간 재직하면서 처음으로 우리 나라에 송구(送球)를 보급시켰다. 해방 후에 역도 도장(力道道場)을 설치하고, 잡지 ⌈체육문화(體育文化)⌋를 발간하는 한편 라디오 체조 제정에 힘썼으며, 대한체육회 이사장을 비롯하여 대한역도연맹․대한송구협회․대한체조연맹 등의 회장을 역임했다. 1948년 대한 체육회 부회장이 되어 대한올림픽위원회 부회장을 겸임하고, 제 14회 런던올림픽대회에 한국 선수단 총감독으로 참가했다. 이수흥(李壽興) 1905(광무9)~1929 독립운동가. 일명 성좌(聖佐), 일영(日瑩)의 아들. 경기도 이천(利川) 출신. 한때 입산하여 3년 동안 중으로 있다가 아버지의 간청으로 하산했다. 1928년 상해(上海)로 건너가 사관학교를 마치고 만주에 가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에 가담했으며, 다시 육군 주만참의부를 조직,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1926년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키 위해 국내에 잠입, 6․10 만세운동 때 서울 동소문(東小門) 파출소를 권총으로 난사한 후 수원(水原)으로 피신했다. 9월 7일 유택수와 함께 안성은행(安城銀行)을 습격하러 갔으나 공휴일이어서 단념, 즉일 동리(東里) 박승륙(朴承六)에게서 6백만원을 강탈, 다시 이천군 백사면(栢沙面) 주재소를 단신으로 습격하고 상경하여 전당포를 털었다. 부친이 사망하자 수원에 내려가 장례를 치르고 이천으로 갔다가 체포되어 사형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單章)이 수여되었다. <현․근대 저명인사> 이승만(李承晩) 초대대통령 ◎ 이경호(李坰鎬) 前보사부장관 ◎ 이갑식(李甲植) 前국회의원◎ 이교선(李敎善) 前상공부장관, 참의원 ◎ 이기봉(李起봉) 前국회의원 ◎ 이남규(李南圭) 前국회의원 ◎ 이남준(李南俊) 前국회의원 ◎ 이백일(李白日) 前국회의원 ◎ 이범석(李範奭) 前국무총리 ◎ 이범승(李範昇) 前서울시장 ◎ 이병관(李炳瓘) 제헌의원 ◎ 이병옥(李炳玉) 국회의원 ◎ 이병주(李炳主) 국회의원 ◎ 이병학(李丙學) 前보사부차관 ◎ 이봉성(李鳳成) 검찰총장 ◎ 이성덕(李聖德) 前국회의원 ◎ 이성주(李成株) 前국회의원 ◎ 이승춘(李承春) 前국회의원 ◎ 이승택(李承澤) 제주지사 ◎ 이영근(李永根) 前국회의원 ◎ 이영섭(李英燮) 前국회의원 ◎ 이옥동(李玉童) 前국회의원 ◎ 이요한(李要漢) 前국회의원 ◎ 이용설(李容卨) 의학박사 법학박사, 前국회의원 ◎ 이우태(李愚兌) 前국회의원 ◎ 이유선(李裕善) 제헌의원 ◎ 이윤용(李允鎔) 前국회의원 ◎ 이윤학(李允學) 국회의원 ◎ 이은태(李恩泰) 前국회의원 ◎ 이임득(李壬得) 前국회의원 ◎ 이재철(李在澈) 교통부차관 ◎ 이재현(李在賢) 前국회의원 ◎ 이재형(李載灐) 국회의원, 국회의장 ◎ 이정석(李丁錫) 국회의원 ◎ 이존화(李存華) 前국회의원 ◎ 이종남(李鐘南) 국회의원 ◎ 이진용(李珍鎔) 前국회의원 ◎ 이태용(李泰鎔) 前상공부장관 ◎ 이택돈(李宅敦) 국회의원 ◎ 이판열(李判烈) 前국회의원 ◎ 이해랑(李海浪) 국회의원 ◎ 이해익(李海翼) 前농림부장관 ◎ 이현재(李賢宰) 前국회의원 ◎ 이형모(李炯模) 前국회의원 ◎ 이희승(李喜承) 前국회의원 ◎ 이건호(李建鎬) 법학박사, 고려대학교수 ◎ 이경선(李慶善) 한양대학교수 ◎ 이광수(李光秀) 미뉴욕대학교수 ◎ 이근칠(李根七) 법학박사, 경희대법정대학장 ◎ 이길상(李吉相) 이학박사, 연세대학원장 ◎ 이낙주(李樂周) 공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대원(李大源) 홍익대교수 ◎ 이동기(李東沂) 의학박사, 전서울대교수 ◎ 이두현(李杜鉉) 문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맹성(李孟成) 철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문재(李文宰) 前춘천대학장 ◎ 이방환(李芳煥) 전북대학원장 ◎ 이배함(李培咸) 이학박사, 건국대이공대학장 ◎ 이범순(李範純) 공학박사, 중앙대이공대학장 ◎ 이범준(李範俊) 정치학박사, 이화여대교수 ◎ 이병위(李丙緯) 서울대교수, 학술원회원 ◎ 이보영(李輔英) 의학박사, 연세대의대학장 ◎ 이상훈(李常薰) 서울대교수 ◎ 이석곤(李錫崑) 이화여대교수 ◎ 이석윤(李碩崙) 경희대교수 ◎ 이선근(李先根) 의학박사, 前서울대교수 ◎ 이선근(李瑄根) 前영남대총장, 前문교부장관 ◎ 이성삼(李成三) 음악가, 경희대교수 ◎ 이수종(李壽鍾) 의학박사, 우석대교수 ◎ 이숙종(李淑鍾) 문학박사, 성신여대학장 ◎ 이승윤(李承潤) 서강대교수 ◎ 이영상(李榮商) 농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용빈(李用斌) 농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웅근(李雄根) 서울대교수 ◎ 이은웅(李殷雄) 농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을호(李乙浩) 철학박사, 전남대교수 ◎ 이을환(李乙煥) 숙명여대교수 ◎ 이인범(李仁範) 성악가, 연세대음대학장 ◎ 이재근(李在根) 농학박사, 고려대교수 ◎ 이정기(李廷基) 성균관대교수 ◎ 이정면(李廷冕) 지리학박사, 경희대교수 ◎ 이종규(李鍾奎) 의학박사, 건국대부총장 ◎ 이종윤(李鍾淪) 의학박사, 前전남대교수 ◎ 이종린(李鍾麟) 법학박사, 동국대교수 ◎ 이종수(李鍾洙) 서울대교육대학원장 ◎ 이종림(李鍾林) 前교통부장관 ◎ 이종일(李宗日) 공학박사, 인화공대교수 ◎ 이주걸(李住傑) 의학박사, 前경북대의대학장◎ 이 준(李 俊) 이하여대교수 ◎ 이진순(李震淳) 의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창빈(李昌彬) 경희대교수 ◎ 이채오(李采五) 前국회의원 ◎ 이철주(李哲周) 농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철준(李喆俊) 의학박사, 고려대교수 ◎ 이춘근(李春根) 의학박사, 서울대치대학장 ◎ 이춘성(李春成) 전북지사 이태극(李泰極) 이화여대교수 ◎ 이태영(李泰永) 호남대학학장 ◎ 이필규(李弼圭) 농학박사, 전남대교수 ◎ 이학종(李學鍾) 경영학박사, 미뉴욕대교수 ◎ 이학철(李學喆) 경북대교수 ◎ 이한기(李漢基) 법학박사, 서울대사법대학원장 ◎ 이해동(李海東) 성균관대교수 ◎ 이환의(李桓儀) 前문화방송사장, 前전북지사 ◎ 이현식(李鉉湜) 전북대교수, 법학박사 ◎ 이호주(李鎬注) 의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호종(李虎鍾) 공학박사, 미렌셀라공대교수 ◎ 이희균(李羲均) 동국대교수 ◎ 이희봉(李熙鳳) 법학박사, 고려대교수 ◎ 이희수(李喜洙) 공학박사, 한양대교수 ◎ 이강학(李康學) 한국원양어업이사, 前치안국장 ◎ 이강호(李康鎬) 대한증권협회장 ◎ 이건용(李建鎔) 변호사 ◎ 이건웅(李建雄) 前유한양행사장 ◎ 이경훈(李璟薰) 대한출판문화협회사무국장 ◎ 이계하(李癸河) 창인사사장, 동북중고교설립자 ◎ 이광수(李光洙)문학가 ◎ 이국열(李國烈) 한국은행이사 ◎ 이규용(李圭鎔) 신학박사, 목사 ◎ 이규현(李揆現) 중앙일보편집국장 ◎ 이기동(李起東) 예비역육군소장 ◎ 이기우(李基雨) 서예가 ◎ 이기호(李起虎) 前제일은행장 ◎ 이남주(李爁周) 대한피부과학회장 ◎ 이덕용(李德鎔) 前한국흥업은행장 ◎ 이동봉(李東奉) 고검검사 ◎ 이경수(李坰洙) 상업은행상무 ◎ 이두희(李斗熙) 삼화제지사장 ◎ 이만기(李滿基) 투자계발공사부총재 ◎ 이만용(李萬鎔) 의학박사, 진주뇌병원장 ◎ 이맹기(李孟基) 코리아라이사장, 예비역해군준장 ◎ 이면석(李冕錫) 한국은행이사 ◎ 이면훈(李冕薰) 풍림산업사장 ◎ 이명갑(李命甲) 변호사 ◎ 이명용(李明龍) 3 1운동민족대표 ◎ 이명휘(李明徽) 휘문칠판사장 ◎ 이범선(李範宣) 소설가 ◎ 이범성(李範成) 대한한의협의장 ◎ 이범순(李範洵) 의학박사, 대한의사협의부회장 ◎ 이범호(李範鎬) 변호사 ◎ 이병규(李昞圭) 학술원회원 ◎ 이병도(李炳都) 농학박사 ◎ 이병언(李秉彦) 대한방직협회부회장 ◎ 이병용(李炳甬) 변호사 ◎ 이봉인(李鳳寅) 동화기술단사장 ◎ 이상범(李象範) 동양화가, 예술원회원 ◎ 이상수(李相洙) 이학박사, 한국과학원자 ◎ 이석구(李錫九) 공학박사 ◎ 이석영(李錫永) 前서울체신청장 ◎ 이세정(李世楨) 진명여고교장 ◎ 이수홍(李秀洪) 前문화방송상무 ◎ 이수흥(李壽興) 독립운동가 ◎ 이승근(李承根) 前대통령비서관 ◎ 이승빈(李承彬) 부장검사 ◎ 이승화(李承和) 독립운동가 ◎ 이양구(李洋球) 동양시멘트사장 ◎ 이열모(李烈模) 조선일보논설위원 ◎ 이영근(李榮根) 물리학박사 ◎ 이영순(李永純) 시인 ◎ 이영환(李英煥) 변호사 ◎ 이용구(李龍九) 호남제분사장 ◎ 이원교(李元敎) 한국비료상무 ◎ 이원모(李源模) 한일은행상무 ◎ 이윤응(李潤應) 의학박사 ◎ 이은관(李殷官) 국악인 ◎ 이은상(李殷相) 시인, 예술원회원 ◎ 이은택(李殷澤) 제일모직사장 ◎ 이의명(李義明) 이천전기공업상무 ◎ 이재준(李載濬) 대림산업회장 ◎ 이정수(李廷洙) 흥아타이어사장 ◎ 이정욱(李廷旭) 변호사 ◎ 이정익(李鼎翊) 대림산업부사장 ◎ 이존웅(李存雄) 고등법원부장판사 ◎ 이종숙(李鍾肅) 의학박사 ◎ 이종원(李鍾元) 의학박사 ◎ 이종림(李宗林) 前경기고교장 ◎ 이종화(李鍾和) 前상업은행전무 ◎ 이중윤(李重潤) 외환은행감사 ◎ 이채욱(李采郁) 변호사 ◎ 이채호(李采鎬) 학술원회원, 변호사 ◎ 이천진(李天鎭) 독립운동가 ◎ 이철범(李哲範) 문학평론가 ◎ 이철원(李哲源) 前공보실장 ◎ 이철주(李鐵柱) 연세대교양학부장 ◎ 이태성(李泰星) 국회전문위원 ◎ 이태진(李泰辰) 변호사 ◎ 이태현(李泰鉉) 한일나일론공업사장 ◎ 이필석(李珌奭) 前산업은행총제 국제화재해상보험(주)회장 ◎ 이학철(李學喆) 고려해운사장 ◎ 이항성(李恒星) 문화교육출판사대표 ◎ 이항재(李恒宰) 前고검검사 ◎ 이해동(李海東) 변호사 ◎ 이해진(李海鎭) 변호사 ◎ 이현진(李賢進) 예비역육군소장 ◎ 이호상(李豪商) 고려화재보험사장 ◎ 이홍규(李弘圭) 변호사 ◎ 이홍종(李洪鐘) 포항제철상무 ◎ 이희정(李熙晶) 항신전지사장, 예비역해군소장 ◎ 이경서(李景瑞) 국제화재상보험(주)사장 ◎ 이준용(李埈鎔) 대림산업(주)사장 ◎ 이재연(李載淵) 금성통신(주)회장 ◎ 이재우(李載釪) 대림통상(주) 대표이사 ◎ 이정하(李正夏) 대우전자(주)전무이사 ◎ 이장균(李壯均) (주)삼천리회장 ◎ 이근수(李根秀) (주)대한항공전무이사 ◎ 이강태(李康泰) 삼성종합건설(주)대표이사 ◎ 이순석(李順石) (주)선경부사장 ◎ 이순국(李淳國) 신호제지(주), 온양펄프(주)대표이사 ◎ 이금기(李金器) 일동제약(주)대표이사 ◎ 이종근(李鍾根) (주)종근당회장 ◎ 이종호(李鍾鎬) (주)중외제약회장 ◎ 이태호(李泰浩) 대우증권(주)회장 ◎ 이기화(李基樺) 남양자재(주)상무이사 ◎ 이해종(李海鍾) 한국서화가협회운영위원, 동양화분과위원장 ◎ 이경욱(李慶郁) 의학박사 1월29일 ◎ 이낙선(李落善) 前상공부장관 ◎ 이철승(李哲承) 국회의원 ◎ 이석주(李錫柱) 前국회의원 ◎ 이종근(李種根) 국회의원 ◎ 이정원(李貞遠) 前국회의원 ◎ 이강노(李江魯) 인천교육대교수 ◎ 이동술(李東述) 전북대총장 ◎ 이명세(李明世) 前성균관대재단이사장 ◎ 이영노(李永魯) 이학박사, 이화여대교수 ◎ 이종무(李鍾武) 이학박사, 카톨릭의대교수 ◎ 이춘호(李春浩) 前서울대총장 ◎ 이희승(李熙昇) 문학박사, 성균관대대학원장 ◎ 이교은(李敎銀) 호남사료이사 ◎ 이기준(李基俊) 대한수산개발이사 ◎ 이기창(李基昌) 뉴욕주변호사, 미8군고문변호사 ◎ 이도선(李道善) 감사원감사관 ◎ 이만복(李萬福) 육군소장 ◎ 이상구(李相球) 건설부관리국장 ◎ 이상노(李相魯) 시인 ◎ 이상용(李相勇) 한일외교협회이사 ◎ 이상익(李相益) 협신볼트사장 ◎ 이상학(李相鶴) 대왕흥업부사장 ◎ 이상현(李相玄) 상경물산사장 ◎ 이석수(李錫壽) 서예가 ◎ 이성호(李成浩) 예비역해군대장 ◎ 이신호(李信澔) 유신실업사장 ◎ 이영섭(李英燮) 前대법원장 ◎ 이용대(李用大) 포항제철감사 ◎ 이용찬(李用瓚) 변호사 ◎ 이우상(李禹相) 대원교역부사장 ◎ 이웅세(李雄世) 변호사 ◎ 이응노(李應魯) 동영화가 ◎ 이종관(李種寬) 변호사 ◎ 이종덕(李鍾悳) 조흥은행상무 ◎ 이종문(李鍾文) 前조흥은행전무 ◎ 이종원(李鍾源) 한원산업사장 ◎ 이종학(李鍾學) 정부기로보존소장 ◎ 이 준(李 鐏) 삼풍건설사장 ◎ 이준승(李準昇) 국회전문의원 ◎ 이진섭(李眞燮) 작가, 언론인 ◎ 이창세(李昌世) 국립도서관장 ◎ 이창호(李昌浩) 삼환기업부사장 ◎ 이춘선(李春善) 한국노총위원장 ◎ 이한규(李漢奎) 서울고법사무국장 ◎ 이한상(李漢相) 풍전산업사장 ◎ 이헌승(李憲承) 한일전선상무 ◎ 이흥세(李興世) 도성건설사장 ◎ 이희준(李熙晙) 前조선전업사장 ◎ 이종성(李鍾聲) 충남방직(주)회장 <광주이씨> ◎ 이정래(李晶來) 前국회의원 ◎ 이종순(李鍾諄) 前국회의원 ◎ 이중재(李重載) 국회의원 ◎ 이구영(李具永) 농학박사, 前전남대교수 ◎ 이근수(李根洙) 성신여대교수 ◎ 이근영(李根永) 의학박사, 경북대교수 ◎ 이기영(李箕永) 철학박사, 국민대학장 ◎ 이대위(李大偉) 법학박사, 건국대학장 ◎ 이민재(李敏載) 이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병희(李炳熙) 의학박사, 前연세대부총장 ◎ 이서래(李瑞來) 농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성환(李成煥) 농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순석(李順石) 미술가, 서울대교수 ◎ 이용훈(李容勛) 의학박사, 前연세대교수 ◎ 이우한(李禹翰) 공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원설(李元卨) 역사학박사, 경희대전경대학장 ◎ 이종국(李鍾國) 한양대교수 ◎ 이종훈(李鍾訓) 의학박사, 카톨릭의대교수 ◎ 이태영(李兌榮) 법학박사, 前이화여대법정대학장 ◎ 이태재(李太載) 법학박사, 경북대법정대학장 ◎ 이택식(李澤植) 공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휘소(李輝昭) 이학박사, 미펜실반이아대교수 ◎ 이휘재(李徽載) 농학박사, 前서울농대학장 ◎ 이희영(李熙永) 의학박사, 서울대교수 ◎ 이경재(李慶載) 방송작가 ◎ 이규진(李圭鎭) 부장판사 ◎ 이근수(李謹洙) 의학박사 ◎ 이동욱(李東旭) 동아일보주필 ◎ 이명재(李明載) 예비역육군소장 ◎ 이봉래(李奉來) 시인, 예총위원장 이연수(李連洙) 예비역공군준장 이영래(李泳來) 변호사 이영주(李永珠) 의학박사, 국립보건원교수 ◎ 이례행(李禮行) 숙명여고교장 ◎ 이용각(李容珏) 의학박사, 성모병원장 ◎ 이용기(李容箕) 경기제사사장 ◎ 이용식(李容植) 검사 ◎ 이용일(李容一) 일간스포츠편집국장 ◎ 이용찬(李容燦) 방송작가 ◎ 이용훈(李容勳) 판사 ◎ 이원재(李元載) 경향신문편집국장 ◎ 이인규(李麟奎) 의학박사 ◎ 이임수(李林洙) 판사 ◎ 이정환(李正煥) 이학박사, 국립지질조사소장 ◎ 이종건(李鍾乾) 독립운동가 ◎ 이종우(李鍾禹) 예술원회원 ◎ 이종환(李鍾煥) 삼영화학회장 ◎ 이창업(李昌業) 前제일모직사장 ◎ 이충영(李忠榮) 前부장판사 ◎ 이종욱(李鍾郁) 삼익건설(주)회장 ◎ 이창수(李昌洙) 삼익건설(주)대표이사 ◎ 이종록(李種錄) (주)삼익주택대표이사 ◎ 이종복(李種復) (주)삼익주택전무이사 ◎ 이수완(李壽脘) 중앙개발(주)대표이사 <양성이씨> ◎ 이용호(李龍鎬) 국회의원 ◎ 이창기(李昌紀) 보사부약정국장 ◎ 이충환(李忠煥) 前국회의원 ◎ 이돈해(李暾海) 前국회의원 ◎ 이동원(李東元) 前외무부장관 ◎ 이영상(李永相) 삼화왕관(주)대표이사 ◎ 이상은(李相殷) 고려대명예교수 ◎ 이종근(李種根) 한양대고대학장 ◎ 이경한(李慶漢) 한일상선사장 ◎ 이영호(李永浩) 종근당부사장 ◎ 이태용(李泰鎔) 경화물산사장 ◎ 이규선(李奎鮮) 화가 ◎ 이현옥(李賢玉) 화가 ◎ 이 승(李 昇) K.B.S외신부장 ◎ 이호원(李鎬元) 판사 ◎ 이성림(李盛林) 前울산해운국장 ◎ 이봉래(李鳳來) 문교부국사편찬위 교육연구관 ◎ 이송용(李松容) 청화대의전비서관 ◎ 이규남(李圭男) 보사부보건연구관 ◎ 이회영(李檜永) 前송균관대교수 ◎ 이민화(李民化) 의학박사, 전남대의대교수 ◎ 이원환(李元煥) 공학박사, 연세대교수 ◎ 이명호(李明鎬) 공학박사, 연세대교수 ◎ 이용균(李龍均) 공학박사, 한양대교수 ◎ 이겸환(李謙煥) 지질학박사, 건국대교수 ◎ 이인웅(李仁雄) 문학박사, 외국어대교수 ◎ 이규동(李圭東) 건국대교수 ◎ 이태근(李泰根) 법학박사, 목포대교수 ◎ 이규택(李奎澤) 前서울농대교수 ◎ 이호건(李鎬建) 상지대교수 ◎ 이길종(李吉鍾) 의학박사, 미피카딜리대교수 ◎ 이수익(李洙益) 의학박사, 미버지니아주립대교수 ◎ 이수인(李洙仁) 의학박사, 미시카고주립대교수 ◎ 이중근(李中根) 공학박사, 국방과학기술연구원실장 ◎ 이규종(李圭鍾) 공학박사, 미휴즈항공기사인공위성설계사 ◎ 이동휘(李東輝) 법학박사, 일본국제대교수 ◎ 이종석(李鍾奭) 쌍용보드링(주)사장 ◎ 이금수(李金洙) 삼정전기사장 ◎ 이원영(李原永) 서예가 ◎ 이 풍(李 豊) 경제학박사 ◎ 이규식(李奎植) 해군대령 ◎ 이규억(李奎億) 경제학박사 ◎ 이경채(李景彩) 前대한업조합이사장 ◎ 이주원(李住遠) 진흥개발사장 ◎ 이상조(李相兆) 신라수산사장 ◎ 이병영(李秉永) 대한주택공사이사 ◎ 이상헌(李相憲) 국제승공연합이사회 ◎ 이기동(李起東) 선경화학(주)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