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그림속에 담긴 의미
민화속에 등장하는 호랑이 그림, 어떤 의미일까
옛부터 호랑이는 두려움의 대상이기도 하였지만, 또 용맹함의 상징이기도 하였고, 나쁜기운을 막아주거나 물려쳐주는 상서로운 동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또 일반 서민들의 민담이나 설화속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때로는 산신령이 화신이 되기도 하고 또 때로는 효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일까, 민화에 등장하는 호랑이 그림은, 유명 작가의 낙관도 없고 회화적 수준도 다소 떨어지지만 매우 친근한 느낌을 준다.
그런데 호랑이 그림을 보면 까지와 소나무가 함께 등장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이러한 양식을 호작도(虎鵲圖)라고 하는데, 예전에는 정초에 선물로 주고 받기도 하였다. 과연 이 그림에는 어떤 의미가
숨겨져 있을까?

앞서 말했것 처럼, 산신령은 자신의 모습을 직접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호랑이를 내려 보내거나 아에 호랑이로 변해서 인간에게 나타나기도 한다. 호랑이에게 물려간 처녀를 대관령 산신이 배필로 데려갔다고 여기어 여선앙신으로 삼긴, 강릉단오재의 설화구조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까치 소식을 전해주거나 반가운 손님이 찾아 오는 것을 알려주는 길조이다. 따라서 산신령의 대리자인 까치가 호랑이에게 좋은 소식을 전해주면, 호랑이는가 그 소식을 지켜준다는 신앙적 해석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까치를 바라보는 호랑이를 부패 관리로, 소나무 위에 앉아 있는 까치는 일반 백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그리고 은헤를 보답하는 사냥꾼과 까치의 설화에서 비롯되었다는 해석도 있다. 잘 알려진 설화이지만 나무꾼이 함정에 빠진 호랑이를 구해주자, 마침 그 나무꾼에게 은혜를 입은 일이 있었던 까치가 다시 호랑이를
속여 함정으로 빠뜨리게 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위와같은 시각만으로는, 조선 서민 사회에 폭넓게 유행하였던 호작도를 해석하는데 부족한면이 있다.
호랑이라기보다는 표범에 더 가깝게 그린 호작도.
또 다른 해석으로는 호랑이는 원래 중국의 설화에 자주 등장하는 표(豹:표범)이었다는 것이다. 표범은 보답한다는 의미의 보(報)를 상징하기도 하며, 이것이 까치, 즉 희조(喜鳥)와 결합하여 '신년보희(新年報喜)' ,
즉 새해를 맞아 기쁜 소식이 들어온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새해맞이 선물로 주고 받았던 풍습이 있었던 사실로 미루어 보았을 때, 이 주장은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여기에 장수를 상징하는 소나무나 바위가 추가된다. 즉 호작도는 나쁜 기운을 막고 좋은 기운을 받아들이며 아울러 건강한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한편 호랑이 그림이 단독으로 그려진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액운을 막기위해 부적을 붙이는 것과 비슷한 의미이다. 여기에 호랑이 부부 한쌍이 새끼 호랑이를 껴안고 있는 그림은 건강한 자녀 출산이나 가족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그림이다. 이처럼 호랑이 그림은 우리 생활 속에서, 친근하고 해학적인 모습으로 함께하고 있다.
죽림 맹호도, 혜원의 호랑이, 김홍도의 송하 맹호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