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내달중 '南주도 흡수통일 인정' 정책 선언 가능성 中, 내달중 '南주도 흡수통일 인정' 정책 선언 가능성 조선닷컴 중국이 내달 ‘공산당 중앙외사영도소조’(이하 영도소조)를 열고 ‘한반도의 자주적 평화통일 지지’를 주요 원칙으로 하는 대(對)한반도 정책을 채택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24일 문화일보가 보..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3.06.24
世界 2대 동계(冬季)전투: 6.25전쟁 <장진호 전투> 이야기 世界 2대 동계(冬季)전투: 6.25전쟁 <장진호 전투> 이야기 한국전 참전 美해병대가 무너졌다면 UN군은 한반도에서 철수했을 것이고, 대한민국의 운명은 바뀌었을 것이다. 金泌材 장진호 전투와 美해병 제1사단 전투(장진호 전투)에 지친 美해병 제1사단 소속 장병의 모습. 전사가(戰史家..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6.24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3) - ‘오우삼 보고서’에 담긴 北의 기만적 요구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3) '오우삼 보고서’에 담긴 北의 기만적 요구 北傀軍의 以逸待勞(이일대로) 수법 鄭淳台 의정부 방어의 요지 祝石嶺을 버리고 도주 그래도 동두천 정면의 국군 제1연대는 奮戰(분전)했다. 그들은 敵 전차가 돌진해 오면 山上(산상)에 올라 후속의 敵 보병부..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6.24
휴전 60주년…NARA 사진으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 휴전 60주년…NARA 사진으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 [중앙일보] [중앙일보·국사편찬위원회 공동 기획] ⑤ 인천상륙작전 "북한군 허리를 끊어라" 맥아더는 처음부터 인천 노렸다 . 1950년 9월 15일 새벽 인천 앞바다에 제2차세계대전 이후 최대의 상륙작전이 시작됐다. 작전에는 총 261척의 함..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6.24
6.25맞이 '그날의 시선으로 본 기록' 전시회 6.25맞이 '그날의 시선으로 본 기록' 전시회 [온라인 중앙일보] .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이 6·25를 맞아 24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그날의 시선으로 본 기록'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공개되는 사진과 자료들은 최근 국가기록원이 미국·UN·러시아 등에서 수집..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6.24
벤플리트 將軍의 아들, 제임스 A. 벤플리트 Jr. ** 벤플리트 將軍의 아들, 제임스 A. 벤플리트 Jr.A Man is Not Dead Until He is Forgotten. 金泌材 제임스 A. 벤플리트 Jr. 대위 6.25전쟁 당시 美8군 사령관을 지낸 벤 플리트 장군의 외아들 제임스 A. 벤 플리트 주니어 대위는 1925년 12월28일 태어났다. 1948년 웨스트 포인트(陸士)를 졸업한 뒤 공군에서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6.23
6.25전쟁과 ‘노블레스 오블리즈’정신 6.25전쟁과 ‘노블레스 오블리즈’정신한국전에 참전한 미군 장성들의 아들 중 142명이 참전하여 35명이 전사하거나 중상을 입었다. 코나스 해마다 6.25가 오면 잊지 못할 두 장면이 떠오른다.20년이 넘은 일인데도 엊그제 일처럼 뇌리에 선명하다. 필자가 1992년 주미대사관 근무시절 주한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6.23
<한국전 노병들> “참전용사 선친, 한국 고아들 늘 걱정” <한국전 노병들> “참전용사 선친, 한국 고아들 늘 걱정” 남아공 한국전참전용사협회장 루 대령, 부친 회고 목록목록 메일메일 인쇄인쇄 글씨크기 폰트 크게폰트 작게 “아버지께선 한국을 떠나올 때 철조망 담 너머의 한국 고아들을 그냥 두고 철수해야 한다는 게 무척 안타까웠다..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6.23
공산침략이 빚은 6.25. 참상 ** 공산침략이 빚은 6.25. 참상 ▲ 1950. 9. 30. 전화(戰禍)로 폐허가 된 대전 역. ▲ 1950. 11. 24. 불타버린 서울역 앞 세브란스 병원. ▲ 1950. 10. 7. 불타고 있는 김포 비행장. ▲ 1950. 10. 18. 전화에 그을린 중앙 청. ▲ 1950. 10. 18.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 멀리 북악산과 중앙청 돔이 보인다. ▲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6.23
한국의 역사 5000년 관계 지도와 함께 요약 한국의 역사 고조선(古朝鮮, 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08년)은 한국 역사상 최초의 국가로 일컬어지는 고대 국가이다. 고조선 단군 왕검이 기원전 2333년에 고조선을 세움 고구려 (1대 동명성왕 B.C 37년 - 28대 보장왕 668년)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1대 온조왕(기원전 18년)-31대 의자..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3.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