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 2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 2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입니다. 1950. 7. 29. 경북 영덕, 논두렁에 머리를 처박고 죽은 북한군 병사ⓒ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1950. 7. 29..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6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 3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 3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입니다. 1950. 8. 3. 뙤약볕 속에 전선으로 가는 국군 행렬ⓒ2004 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1950. 8. 3. 한국전쟁 무..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6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 4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 4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입니다. 1951. 1. 5. 1.4 후퇴 피난민 행렬ⓒ2004 박도 1951. 1. 5. 언 한강을 피난민들이 걸어서 건너고 있다ⓒ2004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6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 5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 5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입니다. 1950. 12. 1. 부산 임시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를 등록하려고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2004 미국국립문서..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6
한국전쟁에 대하여 - 네이버 ethnos44님 ^ 한국전쟁에 대하여.. 글쓴이 네이버 ethnos44님 한국전쟁은 우리 민족 민족사에 있어서 전례가 드문 동족상잔의 경험으로서 우리 현대사의 경로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이 전쟁에서 인해 남북한으로 갈렸던 우리 민족은 수십만 명의 사망자와 수백만 명의 부상자를 냈다. 부모와 자식, 친척과 헤어져야..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6
칼라로 된 韓國戰 필름 칼라로 된 韓國戰 필름 이 자료는 한국전의 발발에서 부터 휴전까지의 역사적 자료를 담은 매우 귀중한 영상 자료입니다. 일부러 구하려고 노력해도 쉽게 구할 수 없는 것인데 이렇게 14편 전질을 모아서 보내드리오니 저장하여 두시고 차근 차근 보시면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특히 한국전쟁의 참..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4
北傀의 南侵戰爭 慘狀 ▲ 1950. 9. 30. 전화(戰禍)로 폐허가 된 대전역. ⓒ2004 NARA ▲ 1950. 11. 24. 불타버린 서울역 앞 세브란스 병원. ⓒ2004 NARA ▲ 1950. 10. 7. 불타고 있는 김포 비행장. ⓒ2004 NARA ▲ 1950. 10. 18. 전화에 그을린 중앙청. ⓒ2004 NARA ▲ 1950. 10. 18.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멀리 북악산과 중앙청 돔이 보인다. ⓒ2004 NARA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4
러시아 소장 북한 영상기록물 러시아 정부가 소장한 북한 관련 영상기록 이 영상기록들은 일제말기 어린이 강제노동부터 1960년대 재일동포의 북송까지 북한의 정치사 외에 1940~50년대 북한의 일상적인 생활모습을 잘 보여준다.해방 직후인 1947년 평양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어린이들이 춤을 추고 있다. 1953년 전쟁이 끝난 뒤 폐허가..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4
六二五戰爭 Korean Conflict 六二五戰爭 Korean Conflict 요약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 공산군이 남북군사분계선이던 38선 전역에 걸쳐 불법 남침함으로써 일어난 한국에서의 전쟁. 본문 ↑ 자유의 다리 / 임진강의 남과 북을 잇는 다리로 6·25전쟁 중 파괴되었으나 84공병대원들에 의해 임시로 복구된 모습.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