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部首)의 정의(定義)
부수(部首)란 한자(漢字)의 외형적 한 부분{部}이면서 전체 의미를 상징{首}하는 것입니다. 자세하게 표현하면 한자의 자형(字形) 구성 면에서 낱개의 글자마다 내포되어 있는 의미의 부호(符號) 부분을 추출하여 한 부분(部)를 만들고 그 부분이 공통된 형태의 한자들을 분류하여 부수(部首)로 설정한 것입니다. 결국 부수는 한자(漢字)의 핵심(核心) 의미이자 한자 분류(分類)의 기본 원칙이 되는 것입니다. 특히 육서(六書) 원리의 "형성자(形聲字)"에서 뜻{의미:形} 부분이 바로 그 한자의 부수라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곧 한자의 80% 이상인 형성자의 효과적 이해는 부수(部首)의 이해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는 것입니다.
부수(部首)의 유래(由來)
부수(部首)의 발생은 뜻글자{표의문자(表意文字)}인 한자의 특성으로 인해 기하급수적(幾何級數的)으로 늘어나는 문자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할 필요성에서 착안(着眼)된 것입니다. 최초의 부수의 개념을 창안(創案)한 사람은 중국 한(漢)나라 때의 경전(經典)학자이자 문자(文字)학자였던 허신(許愼)이라는 인물입니다. 자성(字聖:문자의 성인)으로 불리는 허신이 세계 최초의 자전(字典)이며 현존하는 문자학(文字學)의 최고 권위를 지닌 《설문해자(說文解字)》를 만들었는데, 계통별로 540개의 부수(部首)를 분류해 당시 한자(漢字) 9,353자를 체계적으로 분류했고, 또한 구성원리인 "육서(六書)"의 법칙으로 한자의 구조를 설명했습니다.
부수는 현재 1획부터 17획까지 총 214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오랜 세월 동안 변천되어 왔기에 정확한 객관성이나 과학적 분석면에서는 다소 의문시(疑問視)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의미가 중복이 되는 경우나 의미 전달의 미흡, 분류의 미흡 등이 있는데{皿-血, 首, 麻, 黑, 鼓 등}, 특히 글자의 총 획수(總劃數)가 적어 의미 부분의 추출이 곤란한 한자의 경우 형태가 유사한 부수에 일괄해서 포함시킨 흔적이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형태면에서 단독(單獨)의 글자로 이루진 부수도 있지만 상용(常用)이 되지 않는 부수도 다수 있습니다.
부수의 구조(構造)는 전체 214개 가운데 자원(字源)에 따라 보면 형상을 본뜬 '상형자(象形字)'가 149자, 추상적 상징의 약속인 '지사자(指事字)'가 17자, 의미끼리의 결합인 '회의자(會意字)'가 21자, 의미와 발음의 결합인 '형성자(形聲字)'가 27자입니다.{구조별 부수의 갯수는 문자학(文字學) 연구 학설(學說)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에 자원(字源)에서 확대된 '가차(假借)'의 개념으로 설명되는 부수들도 있고 육서의 분류가 중복된 부수자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오랜 변천 과정으로 인해 다소 불합리(不合理)한 측면도 있지만, 부수(部首)는 한자의 핵심이자 체계적 분류 원칙으로 한자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해왔고, 자전(字典) 활용을 넘어 한자의 올바른 이해 측면에 큰 비중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이해의 방향을 잡아야 할 것입니다. 아울러 부수의 배열(排列)은 과거 중국의 <옥편(玉篇)> 분류 방법인 의미에 따른 계통 분류로 배열된 것이 많았으나, 근래의 배열 방법은 거의 획수(劃數)에 의한 순서로 배열하고 있습니다. | |
|
|
|
|
부수(部首)는 글자의 어느 위치에 놓이냐에 따라 8가지로 분류를 합니다. 하지만 부수가 한가지 분류에만 속하는 것은 아니고, 중복해서 분류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분류 명칭의 용어는 구애받지 않아도 됩니다.{예를 들어 <'阜'(부)언덕> 부수는 글자 왼쪽에 위치하면서도 "좌부변"이 아닌 "좌부방"으로 통용되어 옴}
변{邊} - 글자의 왼쪽에 위치한 경우의 부수 * 대표 부수 :
* 예시 한자 : 休(휴)쉬다, 往(왕)가다, 情(정)정, 技(기)재주, 松(송)소나무, 油(유)기름, 狗(구)개, 碑(비)비석, 神(신)귀신, 秋(추)가을, 紅(홍)붉다, 計(계)계책, 鈍(둔)둔하다, 限(한)한계, 飯(반)밥, 騎(기)타다
방{傍,旁} - 글자의 오른쪽에 위치한 경우의 부수 * 대표 부수 :
* 예시 한자 : 利(리)이롭다, 我(아)나, 敎(교)가르치다, 歌(가)노래, 親(친)친하다, 邦(방)나라, 雄(웅)호걸, 頭(두)머리, 鷄(계)닭,
머리{頭(두)} - 글자의 위쪽에 위치한 경우의 부수 * 대표 부수 :
* 예시 한자 : 京(경)서울, 安(안)편안하다, 崩(붕)무너지다, 爲(위)하다, 答(답)대답, 罪(죄)죄, 花(화)꽃, 雲(운)구름,
발 - 글자의 아래쪽에 위치한 경우의 부수 * 대표 부수 :
* 예시 한자 : 兄(형)형, 無(무)없다, 盛(성)성하다, 貴(귀)귀하다
받침 - 글자의 왼쪽에서 아래로 받쳐져서 위치한 경우의 부수 * 대표 부수 :
* 예시 한자 : 延(연)끌다, 越(월)넘다, 過(과)허물
엄호{ 戶} - 글자의 위에서 왼쪽 아래로 위치한 경우의 부수 * 대표 부수 :
* 예시 한자 : 原(원)근원, 屋(옥)집, 庭(정)뜰, 病(병)병, 處(처)곳
몸{에운담} - 밖에서 글자를 에워싸고 있는 위치의 부수 * 대표 부수 :
* 예시 한자 : 凶(흉)흉하다, 區(구)구역, 國(국)나라, 間(간)사이,
제 부수 - 글자 자체가 부수자 * 예시 부수 한자 : 一(일)하나, 入(입)들어가다, 力(력)힘, 土(토)흙, 士(사)선비, 大(대)크다, 氏(씨)성씨, 牛(우)소, 立(립)서다, 臣(신)신하, 色(색)색, 行(행)가다, 豆(두)콩, 辛(신)맵다, 面(면)얼굴, 高(고)높다, 鹿(록)사슴, 麥(맥)보리, 黑(흑)검다, 鼓(고)북, 鼠(서)쥐, 齒(치)이, 龍(용)용
부수가 단독의 글자로 사용될 때{제부수 글자}와 글자의 일 부분으로 사용될 때의 자형(字形)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변형의 이유는 한자의 서체(書體) 변천에서 되도록 정방형(正方形)의 규격에 맞게 발전됨으로 해서 나타난 양상입니다. 위의 8가지 분류의 대표 부수자들 중 ( )안에 있는 부수들이 변형된 모습입니다.
부수(部首)가 한자의 핵심(核心)이자 한자 분류의 원리(原理) 체계라면 최대한 부수를 활용하여 한자 이해의 척도(尺度)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그렇기에 부수에 대한 이해가 또다른 한자 암기(暗記)의 괴로움으로 전락해서는 안됩니다. 특히 학교 시험(試驗)에서 부수의 이해도 평가(評價)에 문제를 위한 문제를 만들어 애매한 한자의 부수만으로 혼란한 문제를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양(止揚)되어야 할 부분들이고, 부수는 단순한 접근이 오히려 큰 효과(效果)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부수가 총 214개나 되지만 이해 및 활용의 측면에서는 실제 교육용 한자(敎育用漢字)로 제시되고 있는 1800자 가운데 사용 빈도수(頻度數)로 볼 때, 상위 20개 정도의 부수에 한자가 1000자 가까이 속해 있습니다. 이는 결국 활용도 측면에서 부수를 통한 한자의 이해는 두 방면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는 상위 사용 빈도수가 높은 부수에 속한 글자들을 체계적으로 집중해서 정리 이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반대로 사용 빈도수 낮은 부수에 속한 글자들을 부수와 직결 시켜서 이해하는 것입니다. 물론 교육용 한자가 속해있지 않은 부수자들도 있습니다. 자전(字典)에서 한자를 찾는 용도 정도로만 부수를 활용한다면 결국 한자의 어려움을 배가(倍加)시킬 뿐입니다.
이번 "부수 이야기"의 전개 방식은 획수(劃數)의 순서에 따라 부수의 자원(字源)을 정리하고, 혹 부수가 한자 이해의 방편(方便)이 되는 단서(端緖)들은 강조합니다. 또한 교육용 한자(敎育用漢字) 1800자를 이해하기 쉽게 각 부수에 속한 한자를 기초한자로 제시하고, 한자의 뜻을 충실하게 이해하기 위해 예시(例示) 단어(單語)나 성어(成語)를 함께 제시합니다. 현재 우리의 교육제도하에서 한자/한문 교육의 문제점(問題點)은 안팎으로 산적(山積)해 있습니다. 특히 학교 교육에서도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거부감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실상(實狀)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처음 한자를 접하고 배울 때 일정 기간 동안 한자와 친숙(親熟)해 질 수 있는 계기로 부수에 대한 이해의 시간을 갖는 것입니다. 물론 한자의 이해는 반드시 낱개의 글자가 아닌 성어(成語)나 구절(句絶), 한문문장(漢文文章) 속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맹목적으로 한자를 영문 알파벳이나 한글 자모음의 암기 방법으로 접근한다면 난관(難關)에 부딪힐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제 部首의 세계로 여행을 출발하겠습니다. | |
|
|
|
기초한자[1800자]속 부수 활용 | |
|
|
(용례: 각각 위로부터 ) - [순위], 부수자, (발음), 의미, 육서분류 - 획수, <소속 기초한자 수> |
[89-13] |
[89-14] |
[89-15] |
[104-1] |
[104-2] |
[104-3] |
[104-4] |
[104-5] |
[104-6] |
[104-7] |
辛 |
里 |
黑 |
|
|
|
|
|
|
|
(신) |
(리) |
(흑) |
(주) |
(궐) |
(경) |
(천) |
(요) |
(인) |
(삼) |
맵다 상형 회의-7 <4자> |
마을 회의-7 <4자> |
검다 회의-12 <4자> |
점 지사-1 <3자> |
갈고리 상형-1 <3자> |
먼데 상형-2 <3자> |
내 상형-3 <3자> |
작다 상형 -3 <3자> |
길게걷다 민책받침 지사-3 <3자> |
터럭 상형-3 <3자> |
[104-8] |
[104-9] |
[104-10 |
[104-11 |
[104-12 |
[104-13 |
[104-14 |
[104-15 |
[104-16 |
[104-17 |
戶 |
斗 |
毋 |
爪 |
玄 |
|
老 |
臣 |
至 |
|
(호) |
(두) |
(무) |
(조) |
(현) |
(발) |
(로) |
(신) |
(지) |
(아) |
지게 상형-4 <3자> |
말 상형-4 <3자> |
말다 회의 상형 가차-4 <3자> |
손톱 상형-4 <3자> |
검다 회의 상형-5 <3자> |
걸어다니다 상형-5 <3자> |
늙다 상형 회의-6 <3자> |
신하 지사 가차-6 <3자> |
이르다 회의 지사-6 <3자> |
덮다 상형-6 <3자> |
[104-18 |
[104-19 |
[104-20 |
[104-21 |
[125-1] |
[125-2] |
[125-3] |
[125-4] |
[125-5] |
[125-6] |
角 |
豆 |
辰 |
音 |
|
|
|
匕 |
|
卜 |
(각) |
(두) |
(진,신) |
(음) |
(멱) |
(감) |
(포) |
(비) |
(혜) |
(복) |
뿔 상형-7 <3자> |
콩 상형-7 <3자> |
지지, 별 상형-7 <3자> |
소리 지사-9 <3자> |
덮다 상형-2 <2자> |
입벌리다 상형-2 <2자> |
싸다 상형-2 <2자> |
비수 상형-2 <2자> |
감추다 회의-2 <2자> |
점 상형-2 <2자> |
[125-7] |
[125-8] |
[125-9] |
[125-10 |
[125-11 |
[125-12 |
[125-13 |
[125-14 |
[125-15 |
[125-16 |
|
|
|
毛 |
氏 |
片 |
甘 |
生 |
疋 |
而 |
(사) |
(왕) |
(공) |
(모) |
(씨) |
(편) |
(감) |
(생) |
(소,필) |
(이) |
사사롭다 (마늘모) 지사-2 <2자> |
절름발이 상형-3 <2자> |
받들다 회의-3 <2자> |
털 상형-4 <2자> |
성 상형 가차-4 <2자> |
조각 상형-4 <2자> |
달다 지사-5 <2자> |
나다 상형-5 <2자> |
발,짝 상형-5 <2자> |
말 잇다 상형 가차-6 <2자> |
[125-17 |
[125-18 |
[125-19 |
[125-20 |
[125-21 |
[125-22 |
[125-23 |
[125-24 |
[125-25 |
[150-1] |
自 |
舌 |
血 |
靑 |
飛 |
骨 |
鬼 |
魚 |
鹿 |
|
(자) |
(설) |
(혈) |
(청) |
(비) |
(골) |
(귀) |
(어) |
(록) |
(곤) |
스스로 상형-6 <2자> |
혀 상형 회의-6 <2자> |
피 지사-6 <2자> |
푸르다 회의 형성-8 <2자> |
날다 상형-9 <2자> |
뼈 회의-10 <2자> |
귀신 상형 회의-10 <2자> |
물고기 상형-11 <2자> |
사슴 상형-11 <2자> |
뚫다 지사-1 <1자> |
[150-2] |
[150-3] |
[150-4] |
[150-5] |
[150-6] |
[150-7] |
[150-8] |
[150-9] |
[150-10 |
[150-11 |
|
|
|
|
支 |
文 |
无 |
比 |
|
父 |
(궤) |
(쇠) |
(철,초) |
(익) |
(지) |
(문) |
(무) |
(비) |
(기) |
(부) |
안석 상형-2 <1자> |
천천히 걷다 지사 상형-3 <1자> |
싹나다 풀 상형-3 <1자> |
주살 상형-3 <1자> |
지탱하다 회의-4 <1자> |
글월 상형-4 <1자> |
없다 상형 회의 가차-4 <1자> |
견주다 회의 형성-4 <1자> |
기운 상형-4 <1자> |
아비 회의-4 <1자> |
[150-12 |
[150-13 |
[150-14 |
[150-15 |
[150-16 |
[150-17 |
[150-18 |
[150-19 |
[150-20 |
[150-21 |
|
牙 |
瓦 |
用 |
皮 |
|
缶 |
|
聿 |
舛 |
(장) |
(아) |
(와) |
(용) |
(피) |
(유) |
(부) |
(뢰) |
(율) |
(천) |
조각 상형-4 <1자> |
어금니 상형-4 <1자> |
기와 상형-5 <1자> |
쓰다 회의 상형-5 <1자> |
가죽 상형 회의-5 <1자> |
발자국 상형-5 <1자> |
장군 상형-6 <1자> |
쟁기 회의 상형-6 <1자> |
붓 상형 지사-6 <1자> |
어그러지다 회의-6 <1자> |
[150-22 |
[150-23 |
[150-24 |
[150-25 |
[150-26 |
[150-27 |
[150-28 |
[150-29 |
[150-30 |
[150-31 |
艮 |
色 |
谷 |
|
赤 |
身 |
|
長 |
|
非 |
(간) |
(색) |
(곡) |
(치,체) |
(적) |
(신) |
(변) |
(장) |
(이) |
(비) |
그치다 회의-6 <1자> |
빛 회의-6 <1자> |
골 회의 상형-7 <1자> |
벌레, 해태 상형-7 <1자> |
붉다 회의-7 <1자> |
몸 상형 형성-7 <1자> |
분별하다 상형 지사-7 <1자> |
길다 상형 회의 형성-8 <1자> |
미치다 회의-8 <1자> |
아니다 상형-8 <1자> |
[150-32 |
[150-33 |
[150-34 |
[150-35 |
[150-36 |
[150-37 |
[150-38 |
[150-39 |
[150-40 |
[150-41 |
面 |
革 |
韋 |
風 |
首 |
香 |
高 |
|
|
鹵 |
(면) |
(혁) |
(위) |
(풍) |
(수) |
(향) |
(고) |
(표) |
(투) |
(로) |
낯 상형-9 <1자> |
가죽 고치다 상형 회의-9 <1자> |
가죽 회의-9 <1자> |
바람 형성 상형-9 <1자> |
머리 상형-9 <1자> |
향기 회의-9 <1자> |
높다 상형 지사-10 <1자> |
긴털드리우다 회의-10 <1자> |
싸우다 상형 회의-10 <1자> |
소금밭 상형 지사-11 <1자> |
[150-42 |
[150-43 |
[150-44 |
[150-45 |
[150-46 |
[150-47 |
[150-48 |
[150-49 |
[150-50 |
[200-1] |
麥 |
麻 |
黃 |
鼓 |
鼻 |
齊 |
齒 |
龍 |
龜 |
|
(맥) |
(마) |
(황) |
(고) |
(비) |
(제) |
(치) |
(룡) |
귀,구,균 |
(방) |
보리 상형 회의-11 <1자> |
삼 상형 회의-11 <1자> |
누렇다 상형 가차 형성-12 <1자> |
북 회의-13 <1자> |
코 상형 형성-14 <1자> |
가지런하다 상형-14 <1자> |
이 상형 형성-15 <1자> |
용 상형-16 <1자> |
거북 터지다 상형-16 <1자> |
상자 상형-2 <0자>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0-10 |
[200-11 |
|
|
爻 |
瓜 |
矛 |
|
|
|
黍 |
|
(치) |
(계) |
(효) |
(과) |
(모) |
(구) |
(창) |
(력,격) |
(서) |
(치) |
뒤져오다 지사-3 <0자> |
돼지머리 상형-3 <0자> |
점괘 지사-4 <0자> |
오이 상형-5 <0자> |
창 상형-5 <0자> |
부추 상형-9 <0자> |
울창주 회의-10 <0자> |
솥, 사이 상형-10 <0자> |
기장 회의-12 <0자> |
바느질하다 상형-12 <0자> |
[200-12 |
[200-13 |
[200-14 |
[200-15 |
활용 순위별 기초한자 수 - 총 1800자 |
|
鼎 |
鼠 |
|
1 - 10 순위 : 629자, 11 - 20순위 : 285자 21 - 30순위 : 179자, 31 - 40순위 : 129자 40 - 54순위 : 134자, 55 - 62순위 : 64자 63 - 72순위 : 70자, 73 - 79순위 : 42자 80 - 88순위 : 45자, 89-103순위 : 60자 104-124순위 : 63자, 125-149순위 : 50자 150-199순위 : 50자, 200-214순위 : 0자 |
(맹,민) |
(정) |
(서) |
(약) |
맹꽁이, 힘쓰다 상형-13 <0자> |
솥 상형-13 <0자> |
쥐 상형-13 <0자> |
피리 상형 회의-17 <0자> | |
|
|
|
| |
|
|
|
|
|
(용례: 각각 위로부터 ) : [순서]- 변형 획수 / 변형 부수 / 부수자, (발음)-정자 획수 / 의미 / (예) |
[1] - 1획 |
[2] - 2획 |
[3] - 2획 |
[4] - 2획 |
[5] - 3획 |
乙 (을)-1획 |
人 (인)-2획 |
刀 (도)-2획 |
(절)-2획 |
(천)-3획 |
새 (예) '방' 사용 乳(유), 亂(란) |
사람 (예) '변' 사용 仁(인), 仕(사) |
칼 (예) '방' 사용 刊(간), 列(렬) |
병부 (예) '발' 사용 危(위), 卷(권) |
내 (예) 변형의 古字 州(주), 巡(순) |
[6] - 3획 |
[7] - 3획 / 4획 |
[8] - 3획 |
[9] - 3획 |
(계)-3획 |
心 (심)-4획 |
手 (수)-4획 |
邑 (읍)-7획 |
돼지머리 터진가로왈 (예) '머리,발'사용 彗(혜), 彙(휘) |
마음 (예) '변'과 '발' 사용 忙(망), 快(쾌) / 恭(공), 慕(모) |
손 (예) '변' 사용 打(타), 托(탁) |
고을 (예) '방' 사용 那(나), 邦(방) |
[10] - 3획 |
[11] - 3획 / 4획 |
[12] - 3획 |
[13] - 4획 |
阜 (부)-8획 |
水 (수)-4획 |
犬 (견)-4획 |
(복)-4획 |
언덕 (예) '변' 사용 防(방), 阿(아) |
물 (예) '변'과 '발' 사용 汎(범), 汚(오) / 求(구), 泰(태) |
개 (예) '변' 사용 犯(범), 狗(구) |
치다 (예) '방' 사용 收(수), 改(개) |
[14] - 4획 |
[15] - 4획 |
[16] - 4획 |
[17] - 4획 |
[18] - 4획 |
无 (무,기)-4획 |
火 (화)-4획 |
(착)-7획 |
艸 (초)-6획 |
老 (로)-6획 |
없다 / 이미 (예) '방' 사용 旣(기), 亂(란) |
불 (예) '발' 사용 烈(렬), 烏(오) |
천천히 걷다 (예) '받침' 사용 迎(영), 近(근) |
풀 (예) '머리' 사용 필기체는 3획 花(화), 芳(방) |
늙다 (예) '엄' 사용 考(고), 者(자) |
[19] - 4획 |
[20] - 4획 |
[21] - 4획 / 5획 |
[22] - 4획 |
玉 (옥)-5획 |
示 (시)-5획 |
(망)-6획 |
肉 (천)-6획 |
구슬 (예) '변' 사용 珍(진), 班(반) |
보이다 (예) 필기체 사용 社(사), 祀(구) |
그물 (예) '머리' 사용 罔(망) / 罪(죄) |
고기 (예) '변' 등 사용 肝(간), 肖(초) |
[23] - 5획 |
[24] - 6획 |
[25] - 7획 |
[26] - 7획 |
衣 (의)-6획 |
羊 (양)-6획 |
臼 (구,거)-6획 |
足 (족)-7획 |
옷 (예) '변' 사용 被(피), 裕(유) |
양 (예) '변'과 '머리' 사용 / '방'에는 정자 羚(령) / 美(미), 着(착) |
절구 / 들다 (예) 결합하여 사용 與(여), 興(흥) |
발 (예) '변' 사용 距(거), 跡(적) |
[27] - 7획 |
[28] - 9획 |
[부수 구별이 어려운 한자]
一(일) : 丁(정), 上(상) (점) : 丸(환), 丹(단) /(별) : 之(지), 乃(내) 乙(을) : 九(구), 亂(란) ♩(궐) : 了(료), 事(사) 二(이) : 五(오), 云(운) 匕(비) : 化(화), 北(북) 十(십) : 千(천), 卓(탁) 工(공) : 巨(거), 左(좌) 干(간) : 平(평), 年(년) 戈(과) : 成(성), 我(아) 止(지) : 正(정), 歸(귀) 臼(구) : 興(흥), 臾(유) 豕(시) : 象(상), 豚(돈) |
長 (장)-8획 |
食 (식,사)-9획 |
길다 (예) '변' 사용 부수로 사용 안됨 肆(사: 聿부수) |
먹다 / 밥 (예) '변' 사용 필기체는 8획 飢(기), 飮(음) | |
|
|
<한자> 부수이야기 - 출처: 이야기 한자 여행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