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결혼 10년차이다. 하지만 이혼경력 2년차이기도 하다.
나에겐 아들 한명과, 딸 한명이 있다. 그리고 아내는 없다.
그 자리를 내가 지키지 못했다.
그래서 아내는 나의 곁을 떠났다.
부부는 물방울과 같은 것이다. 두 물방울이 만나서 하나가 되기 때문이다.
여느 부부처럼 우리도 한때는 단란하고 행복한 가정이었다.
아내는 애교도 많았고, 한편으론 엄마같은 포근함을 지닌 여자였다.
우리의 사이에 금이 가기 시작한 것은 부모님과 가까이 살면서 부터 였을 것이다.
거리상으로 10분 정도의 거리로 우리의 보금자리를 옮겼다.
첫애를 낳은 후였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어느 순간 아내는 투정이 늘기 시작했다.
첨음엔 다독여 주기도 해보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나 역시도 아내가 못마땅했다.
부모님과 한집에 살면서부터는 관계가 더욱 악화되어갔다.
난 그 모든 잘못이 아내에게 있다고 생각했다.
넓은 마음으로 이해하지도 못하고 자기만을 아는 그런 이기적인 여자라고...
부모님이나 형제모두에게 아내는 늘 불만이었다.
그런 아내의 투정들이 나를 너무 힘들게 했다.
아내 하나만 참아주면 될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아내는 참아 주질 못했다. 그리고 우린 이혼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나에게 좋은 부모 좋은 형제일지 모르지만...
아내에겐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그땐 알지 못했다..
남편들은 명심해야 된다.
나에게 좋은 친구지만 다른 친구에게 그 녀석은...
아주 안 좋은 사람일 수도 있다는 것을...
남편들은 아내를 대신해 효를 다하려 한다.
결혼하면 남자들은 효자가 되네” 늘 아내가 나에게 하던 말이었다.
결혼을 해서 보니 늙어가는 부모님 모습을 보면서...
안쓰러운 마음이 하나,둘씩 생기더니 아이가 생기고 나서부터는 더욱 간절해졌다.
부모님에 대한 마음이..
아내역시도 그러했을 것이다. 하지만 아내는 마음만 간절했을 뿐이었다.
난 내부모를 모시는 것에 우선시 했으면서도...
처가댁 부모님을 모시는 것을 우선시 해본 적은 없기 때문이다.
내가 이기적인 건 아닐까? 왜 우리 집이 우선시 되는 걸까?
하지만 난 중요한 걸 잊고 있었다. 아내를 통해서 효도를 하려고 했던 것이다.
아내가 나를 대신해 우리 부모님께 형제에게 잘 하는 게 좋았다.
아니, 어쩜 대리만족이었는지 모른다.
내가 하는 것보단 아내가 하는 게 사랑받을 일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건 나를 정당화하기 위한 변명에 불과 했다.
아내 역시도 바랬을 일들을 난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래의 상황들처럼...
1. 아내는 우리 부모님께 전화를 자주 드린다.
나는 가끔 처가에 전화를 드린다.
그리고 아내에게 처가에 전화를 했다고 대견스럽게 얘길한다.
(잘했지? 라고 칭찬이라고 듣고 싶은 사람처럼)
2. 아내는 시댁에 못해도 한달에 2,3번은 가려고 애쓴다. (아내는 일을 한다)
나는 아내가 처가에 가자고 하기 전에 먼저 가자고 한 적이 별로 없다.
3. 제사 있는 날이면 아내는 하루 쉬더라도 아님 일찍 마쳐서라도 와서 음식을 하고,
설겆이를 하고 있다.
나는 한 번도 처가 제사에 가본 적이 없다.
우리 집 제사는 당연히 가야 되는 것처럼 옷을 차려입고 간다.
하지만 처가 제사 때는 한 번도 가 본 적이 없다.
(우리 둘 다 양가 부모님은 살아 계신다. 우리 집은 증조까지 제사를 지낸다.)
4. 아내는 우리 가족의 생일이며, 제사며, 기념일등을 기억하면서 늘 신경을 쓰고..
꼼꼼히 챙긴다.
나는 한 번도 처가 가족들의 생일이며, 제사며, 기념일등을 미리 아내처럼
신경쓰고 챙긴 적이 없다. 아내가 전화를 드리라고 하면 전화를 하는 정도였고,
그 모임에 참석하는 정도였다.
5. 아내는 휴가 때면 바리바리 싸들고 간 음식을 장만하느라 제대로 쉬지도 못했다.
휴가는 쉬기 위해 가는 것인데, 아내는 휴가 때마저도 집안일을 해야 했다.
나는 처가랑 휴가를 갔을 때 밥을 해먹은 적이 없다. 끼니때면 사먹고 놀았다.
그때 아내는 정말 휴가다운 휴가를 즐기고 있었다.
6. 명절때 아내는 힘들게 제사음식이며 명절음식을 준비하고,
하루종일 부엌에 서서 일을 한다.
나는 도와준다고 하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었다.
청소하고, TV보다가 잠도 잠깐자고, 저녁을 먹고 난 후 가족들과 놀고,
술을 마시며 도란도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눈다. 명절 당일 날 처가에 저녁 늦게 간다.
모처럼 모인 가족들 보기힘들어서 누나들 오는것까지 항상 보고간다.
처가에 가면 난 그 전날의 피곤함에 잠을 청한다. 아내는 처가에서 몰려오는 잠을 청한다.
처가 식구들하고 제대로 놀지도 못하고 그 이튿날 오는 경우가 많았다.
7. 내가 아빠가 되던 때 우리 부모님이 아기를 보고 싶어 하셔서 친정에서 몸조리하는
아내에게 가자고 이야기한다.
보고 싶어 하는데 보여 드려야 된다고 아내를 데리고 아기를 데리고 집에 갔다.
아기를 보는 것보다 산후 몸조리가 중요한데 그건 아직도 아내에게 미안하다.
부모님의 보고 싶음 보다 아내의 몸을 생각했어야 하는 게 당연한데도 불구하고
나는 아내를 데리고 갔었다.
8. 같이 살면서부터 나는 출근을 하고 퇴근을 해서 씻고, 저녁 먹고, 아이들하고 잠깐 놀아주고,
TV시청을 하고 잠자리에 들곤 했다. 가끔 주말에 아이들과 부모님 모시고 근교에 놀러가고,
외식하고 그렇게 하는 게 다 일거라고 생각했다.
아내는 하루세끼를 꼬박챙기고, 아이들 뒤치닥거리에 집안 일에 하루종일 내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난 아내가 저녁때 하는 그런 투정들이 갈수록 짜증스러워지기 시작했다.
아내는 내가 알아주길, 이해해주길, 숨 쉴 구멍을 찾아주길 바랬을 것인데 말이다.
나는 아내를 외면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아내는 점점 말수가 줄기 시작했다.
어느 날부터는 아예 입을 닫아버렸다. 투정도 하지않고, 싸늘하게 나를 대했다.
우리 부모님을 모시는게 그렇게 불만이냐는 식으로 너같은 여자와 더 이상 살 수 없다고 했다.
생각만해도 무섭고 이기적인 여자라고 해버렸다.
난 내 부모 감정과 형제들 감정만 중요시 했지 정작 아내의 감정들은 이해할 수도 없었고,
나를 이해해 주지 않는 아내가 미웠다.
아내가 화를 내는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것이었고, 아내에게 참으라고 하기 이전에
내가 그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부모님과 형제들에게 인식을 시켜 주었어야 될 일들이었다.
난 아내에게 양보하라고 만 했다. 부모님의 섭섭함도 참으라고...
"그런 분들이 아닌데 왜 그러나 몰라"식으로 달래곤 했다. 분명 그건 잘못된 것인데도 말이다.
하루, 이틀.. 점점 우리부부는 멀어져갔다. 그리고 결국 헤어졌다.
부모님이랑 같이 살면서 나는 자식이기에 너무나 당연한 것이었다.
우리 형수가 모시기 싫어해서 불쌍한 우리 부모님 나라도 모셔야 된다는 생각에
아내의 의견도 듣지않고 같이 살게 된게 나의 잘못이었다.
누구에게나 부모는 소중하다.
하지만 결혼을 함과 동시에 시댁에 귀속이 되어버린 아내를 생각해 본 적이 있는지
남편들에게 묻고 싶다.
위에 나열한 몇몇가지 상황들에서도 남편들에게 묻고 싶다.
정말 자신이 효를 한다고 생각하는지 말이다.
그리고 우리는 아내처럼 처가에 똑같이 하고 있는지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