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복건성 - (하문) 南普陀寺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21_13_9_25_04Tj4_IMAGE_33_3392.jpg%3Fthumb&filename=3392.jpg)
남보타사, 중국 하문 (출처- http://www.e-worldphoto.com/china/)
당(唐)나라 때 창건된 고찰로 샤먼 남동쪽의 오로봉(五老峰) 기슭에 있다.
중국불교 4대명산의 하나로써, 북쪽의 절강성 보타산과 대비되는 남보타사로 불리워지고 있다.
경내의 장경전을 지나면 나오는
거대한 바위에 조각되어 있는 4미터에 달하는 "불(佛)"자가 새겨져 있는 데 대단히 유명하다.
절이 매우 화려하고 비구니를 비롯한 많은 승려가 기거하고 있다.
사찰의 맨 후방인 법당 뒷산에는
엄청나게 큰 바위 벽에 불교에 관련된 글을 새겨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명대에 손상을 입었던 것을 청대에 와서 수복한 것.
경내에는 전전(前殿), 대웅보전(大雄寶殿), 대비전(大悲殿), 장경각(藏經閣) 등이 서 있다.
장경각에는 1만여 권의 경전이 있고,
지붕이 화려한 대비전에는 천수관음상(千手觀音像)이 안치되어 있다.
특히 금색의 당탑가람(堂塔伽藍)이 유명하고
청대 광서(光緖)연간에 새겨진 5m 정도의 불(佛)자 석각이 유명하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1_13_9_25_04Tj4_IMAGE_32_3291.jpg%3Fthumb&filename=3291.jpg)
전경 (출처- http://blog.naver.com/etien )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21_13_9_25_04Tj4_IMAGE_33_3393.jpg%3Fthumb&filename=3393.jpg)
뒷산에서 내려다본 사원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21_13_9_25_04Tj4_IMAGE_7_704.jpg%3Fthumb&filename=704.jpg)
사원 입구 (출처- 카페명 : 강북 건우산악회)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21_13_9_25_04Tj4_IMAGE_6_699.jpg%3Fthumb&filename=699.jpg)
안내도 (http://blog.naver.com/hoki7675 )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21_13_9_25_04Tj4_IMAGE_7_700.jpg%3Fthumb&filename=700.jpg)
사원 입구 천왕전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8%2F21_13_9_25_04Tj4_IMAGE_7_720.jpg%3Fthumb&filename=720.jpg)
입구 탑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8%2F21_13_9_25_04Tj4_IMAGE_7_721.jpg%3Fthumb&filename=721.jpg)
탑 불상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21_13_9_25_04Tj4_IMAGE_7_703.jpg%3Fthumb&filename=703.jpg)
경내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21_13_9_25_04Tj4_IMAGE_6_686.jpg%3Fthumb&filename=686.jpg)
경내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8%2F21_13_9_25_04Tj4_IMAGE_7_723.jpg%3Fthumb&filename=723.jpg)
108 나한상 (출처- http://blog.naver.com/etien )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21_13_9_25_04Tj4_IMAGE_7_701.jpg%3Fthumb&filename=701.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21_13_9_25_04Tj4_IMAGE_6_699.jpg%3Fthumb&filename=699.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2%2F21_13_9_25_04Tj4_IMAGE_33_3307.jpg%3Fthumb&filename=3307.jpg)
대불전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2%2F21_13_9_25_04Tj4_IMAGE_33_3308.jpg%3Fthumb&filename=3308.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3%2F21_13_9_25_04Tj4_IMAGE_33_3353.jpg%3Fthumb&filename=3353.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21_13_9_25_04Tj4_IMAGE_6_698.jpg%3Fthumb&filename=698.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21_13_9_25_04Tj4_IMAGE_7_700.jpg%3Fthumb&filename=700.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1_13_9_25_04Tj4_IMAGE_32_3292.jpg%3Fthumb&filename=3292.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1_13_9_25_04Tj4_IMAGE_32_3293.jpg%3Fthumb&filename=3293.jpg)
좌측에 보이는 바위에 동전을 던져 동전이 바위에 붙어 안떨어길 바라면서 기원을 한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21_13_9_25_04Tj4_IMAGE_33_3394.jpg%3Fthumb&filename=3394.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21_13_9_25_04Tj4_IMAGE_33_3395.jpg%3Fthumb&filename=3395.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21_13_9_25_04Tj4_IMAGE_7_705.jpg%3Fthumb&filename=705.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21_13_9_25_04Tj4_IMAGE_7_706.jpg%3Fthumb&filename=706.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8%2F21_13_9_25_04Tj4_IMAGE_7_722.jpg%3Fthumb&filename=722.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3%2F21_13_9_25_04Tj4_IMAGE_33_3354.jpg%3Fthumb&filename=3354.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21_13_9_25_04Tj4_IMAGE_6_687.jpg%3Fthumb&filename=687.jpg)
스님 기숙사
하문(厦門)
하문(厦門)는 복건성(福建省)남부의 항만도시로써
중국 표준어로 '샤먼(Xiamen)'이라고 발음하지만
현지의 방언으로는 복건어로 '아모이'라고 발음하는것이 더 잘 알려져 있다.
구룡강의 하구에 펼쳐져있는 아름다운 해변도시로써
'해상의 낙원'이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옛부터 동남부 아시아의 무역이 행해졌다.
인구는 약 120만명에 달한다.
현대 중국경제의 색인차로 불리우는 경제특구의 하나이며,
비치리조트로 알려져있는 풍경이 아름다운 휴양도시이다.
특히 하문항에 있는 고랑서, 마르코폴로섬등
근세에 들어온 열강의 각국 영사관들이 들어서 있으며,
1942년 이후에는 구 일본군점령하에 있었기 때문에
중국이면서 중국답지않는 도시로
서양식건물들이 많이 늘어서 있는 것이 특히 유명하다. 하문에서 수돗물은 마실수 없으며, 미네랄워터를 사서 마셔야 한다.
국제공항으로는 厦門高崎国際空港(XIAMEN GAOQI INT'L AIRPORT)이 있으며,
시의 약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제점이 있다.
하문 고기(高崎)국제공항은 하문시내에서 10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에서 국내선으로는 북경, 상해, 광주에 이어
4번째로 항공 출입량이많은 공항으로
국내 40여개의 크고 작은 도시를 하문과 연결하고 있다.
이밖에도 홍콩,마카오, 방콕, 싱가포르, 마닐라 등의 지역들까지
항공을 운항하고 있다.
공항 앞에는 기차역까지 가는 버스가 있으며,
요금은 1위안이고 막차가 오후 10시 30분까지 있다.
버스로 계속 이동하고자 한다면 이 버스를 타고 기차역에서 내려
이곳에서 다른 버스로 갈아타면된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21_13_9_25_04Tj4_IMAGE_6_688.jpg%3Fthumb&filename=688.jpg)
하문 시내 전경
바다 위의 아름다운 화원 숙장화원
1913년에 지어진 숙장화원은 하문에서 10분정도 거리에 떨어져있는 작은 섬,
고랑서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화원이다.
바다에 면해있으며
뒤쪽으로는 고랑서에서 숙장화원과 함께 가장 유명한 관광지인
일광암을 기대고 있다.
숙장화원은 본래, 지방의 지주인 林爾嘉(임이가)의 개인 별장으로
그 자신의 호인 '숙장'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
임이가는 대만사람으로 1895년 '마관조약'으로 대만이 일본으로 넘어가자
그의 아버지가 가족들을 데리고 하문에서 자리를 잡으면서
이곳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후 이곳에서 사업으로 크게 성공한 임이가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고랑서에 화원을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숙장화원이다.
1945년 일본이 물러난 후 임이가는 대만으로 돌아 갔고
뒤에 남은 그의 친지가 1956년 7월 1일 숙장화원을 국가에 헌납하면서
공원이 되었다.
아직도 고랑서에 가면 임이가의 동상을 볼 수 있다.
숙장화원은 크게 장해원(藏海園) 과 보산원(補山園) 두 부분으로 나뉘어 져,
장해원 오경(五景)에는 미수당,임추각,진솔정,사십사교가 있으며
보산원 오경(五景)에는 완석산방,십이동천,역애오하,청조루,소란정 등이 있다.
후에 정자와 다리등을 계속해서 더 만들었다.
숙장화원은 바다위에 있는 공원이지만
화원안에 바다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주변 자연환경과 뛰어난 조화를 이루고있다.
하문의 일광암
속칭 '황암(晃岩)'이라 불리는 일광암은 고랑서 중부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해발 92.68미터의 고랑서 최고높이의 봉우리에 있다.
전해지는 얘기로는 1647년 정성공(코싱가/鄭成功)이 이곳에 왔을때,
이곳의 경치가 일본의 일광산(日光山)보다 더 아름답다고 여겨,
'晃(밝을 황)'자를 나눠 일광암이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일광암은 직경 40여 미터의 거석으로,
이곳에 서면 하문의 경치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일광암은 하문의 상징이기도 하여
'일광암 위에 서지 않으면 하문에 오지 않은 것과 같다'는 말까지 있다.
일광암 주위에는 일광암사, 고벽서동,정성공기념관 등
여러 볼거리가 함께있다.
입장표: 70위안(피아노 박물관과 정성공 기념관 포함 요금)
고랑서 (鼓浪嶼,GULANGYU ISLAND)
해상의 화원으로 불리워지는 아름다운 작은 섬. 하문페리승차장에서 페리로 약 10분정도 소요되는 거리에 있다.
섬안의 유명한 곳으로는 일광암(日光巖)과 숙장화원등이 있다.
섬의 남부의 높이 90미터에 달하는 일광암(日光巖)에서의 전망은
하원시의 모습이나 대만령으로 구분되는 섬들까지도 전망할 수 있다.
뛰어난 전망을 갖추고 있는 고랑서는
옛 영국의 조계지로써 발전되어 왔다.
곳곳에 아직도 열강의 흔적이 남아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