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배움/명소의 풍경

중국 만리장성

淸山에 2011. 1. 1. 14:19
 

 

 
 
 
중국 만리장성

 

중국 본토 북쪽에 축조된 방어용 성벽. 현재 그 길이는 지도상 약 2700㎞이지만 중복된 부분을 합치면 그 2배 가까이 된다. 춘추시대 제(齊)가 영토방위를 위하여 국경에 쌓은 것이 장성의 기원이며 전국시대의 여러 나라도 이에 따랐다.
 
진시황제는 중국 통일(BC 221) 후 흉노족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간쑤성 남부로부터 북으로, 황하의  대굴곡부의 북쪽을 따라  동으로 뻗어나가,  둥베이[東北(동북)] 지구의  요하하류에 이르는 장성을 쌓았는데, 절반 이상은 전국시대의 연(燕)·조(趙) 등이 쌓은 장성을 이용한 것이었다.
 
근년에 이 장성의 동부 유지(遺址)가 둥베이지구에서 발견되고 있다.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허시후이랑[河西回廊(하서회랑)]을  흉노로부터 지키려고  장성을  란저우[蘭州(난주)] 북방에서 서쪽으로 둔황[敦煌(돈황)] 서편의 위먼관[玉門關(옥문관)]까지 연장하였다. 남북조시대에는 북방민족의 활동으로 장성 위치는 남하하여, 6세기 중엽 북제(北齊)는 다퉁[大同(대동)] 북서에서 쥐융관[居庸關(거용관)]을 거쳐 산하이관[山海關(산해관)]에 이르는 장성을 축성하였으며, 수(隋)는 돌궐·거란 방비를 위하여 오르도스(내몽골자치구의 중남부) 남쪽에 장성을 쌓았다.
 
 장성이 현재의 규모로 된 것은 명(明)나라시대로, 몽골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였다. 
오늘날  관광 대상이 되고 있는  바다링[八達嶺(팔달령)] 근처의 장성은  높이 8.5m, 두께는 밑부분 6.5m, 윗부분 5.7m이며, 위에는 높이 1.7m의 연속된 철자형(凸字形) 담인 성가퀴[城堞(성첩)]를 만들고 총안(銃眼)을 냈고, 120m 간격으로 돈대(墩臺)를 만들어 군사의 주둔과 감시에 이용하였다.
 
청나라 때에는 군사적 의미를 상실하고 몽골과의 정치적 경계에 불과하게 되었다.
 
<출처 : 야후 백과사전 >
 
 

 




'관심 & 배움 > 명소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구 1천만의 대도시 모스크바  (0) 2011.01.01
인도 타지마할  (0) 2011.01.01
프랑스 베르사유궁전  (0) 2011.01.01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0) 2011.01.01
각 나라의 성들  (0) 2011.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