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kr.img.blog.yahoo.com/ybi/1/bf/bf/yoonhtec/folder/21/img_21_741_0?1156307413.jpg)
가는 길
- 김소월-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그냥 갈까 그래도 다시 더 한번......
저 산에도 까마귀, 들에 까마귀, 서산에는 해 진다고 지저귑니다.
앞 강물, 뒷 강물, 흐르는 물은
어서 따라 오라고 따라 가자고 흘러도 연달아 흐릅디다려.
엄마야 누나야
- 김소월
엄마야 누나야 강변(江邊)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金)모래빛,
뒷문(門)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江邊) 살자.!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 김소월
봄 가을 없이 밤마다 돋는 달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이렇게 사무치게 그리울 줄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달이 암만 밝아도 쳐다볼 줄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이제금 저 달이 설움인 줄은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진달래꽃
- 김소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산유화
- 김소월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산에 산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산에서 우는 작은 새여. 꽃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네.
산에는 꽃 지네.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지네.
초혼
- 김소월
산산히 부서진 이름이어! 허공중에 헤어진 이름이어!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어!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어!
심중에 남아 있는 말 한 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붉은 해는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 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멀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어!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못 잊어
- 김소월
못 잊어 생각이 나겠지요, 그런대로 한세상 지내시구려, 사노라면 잊힐 날 있으리다.
못 잊어 생각이 나겠지요, 그런대로 세월만 가라시구려, 못 잊어도 더러는 잊히오리다.
그러나 또 한끝 이렇지요, 그리워 살틀히 못 잊는데, 어쩌면 생각이 떠지나요?
금잔디
- 김소월
잔디, 잔디, 금잔디,
심심(深深) 산천에 붙는 불은 가신 님 무덤 가에 금잔디.
봄이 왔네, 봄빛이 왔네, 버드나무 끝에도 실가지에.
봄빛이 왔네, 봄날이 왔네, 심심 산천에도 금잔디에.
님의 노래
- 김소월
그리운 우리 님의 맑은 노래는 언제나 제 가슴에 젖어 있어요
긴 날을 문 밖에서 서서 들어도 그리운 우리 님의 고운 노래는
해지고 저무도록 귀에 들려요 밤들고 잠드도록 귀에 들려요
고이도 흔들리는 노랫가락에 내 잠은 그만이나 깊이 들어요
고적한 잠자리에 홀로 누워도 내 잠은 포스근히 깊이 들어요
그러나 자다깨면 님의 노래는 하나도 남김 없이 잃어버려요
들으면 듣는 대로 님의 노래는 하나도 남김없이 잊고 말아요.
먼 후일
- 김소월
먼 후일 당신이 찾으시면 그 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당신이 속으로 나무라면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그래도 당신이 나무라면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오늘도 어제도 아니잊고 먼 후일 그때에 '잊었노라'
부모
- 김소월
낙엽이 우수수 떨어질 때, 겨울의 기나긴 밤, 어머님하고 둘이 앉아 옛 이야기 들어라.
나는 어쩌면 생겨 나와 이 이야기 듣는가? 묻지도 말아라, 내일날에 내가 부모되어서 알아보랴.
옛 이야기
- 김소월
고요하고 어두운 밤이 오며는 어스레한 등불에 밤이 오며는
외로움에 아픔에 다만 혼자서 하염없는 눈물에 저는 웁니다.
제 한몸도 예전엔 눈물 모르고 조그마한 세상을 보냈읍니다.
그때는 지난날의 옛 이야기도 아무 설움 모르고 외었읍니다.
그런데 우리 님이 가신 뒤에는 아주 저를 버리고 가신 뒤에는
전날에 제게 있던 모든 것들이 가지가지 없어지고 말았읍니다.
그러나 그 한때에 외어 두었던 옛 이야기뿐만은 남았읍니다.
나날이 짙어가는 옛 이야기는 부질없이 제 몸을 울려 줍니다.
왕십리
- 김소월
비가 온다 오누나
오는 비는 올지라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
여드레 스무날엔 온다고 하고
초하루 삭망(朔望)이면 간다고 했지. 가도 가도 왕십리 비가 오네.
웬걸, 저 새야 울랴거든
왕십리 건너 가서 울어나 다고, 비맞아 나른해서 벌새가 운다.
천안에 삼거리 실버들도 촉촉히 젖어서 늘어졌다네.
비가 와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 구름도 산마루에 걸려서 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