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사진은 미정부당국의 공식 사진으로 Don Obrien이 35mm영상카메라 Eyemo를 사용하여
<한국철도에 관한 보고서>의 영상필름에 기록하기 위한 한강철교 촬영 장면이다. 1945. 10.
![]() 당시, 한국 사병들. 그러나 해방직후여서 미군정하의
국방경비대 정도였다.
![]() 이 사진은 Don Obrien일행이 38선 부근으로 취재촬영차 가던 중,
발견한 일본의 중무장 수송열차로 당시 소련군의 관할에 있어
촬영을 거부당하였는데 만주에서 활동한 일본의 중무장 수송열차에
관한 사이트에서 이 사진을 발견하여 올린 것이라고 한다.
![]() 이 사진은 용케 찍은 듯....
![]() 이 사진은 38선 부근에서 취재촬영하던 중,
소련軍 장교와 사병을 만나 대화하는 장면이다. 1945. 11.
![]() 한강부근. 1945. 가을.
![]() Don Obrien 일행의 기록영화를 찍는 카메라가 신기한 듯,
구경하는 청소년들. 1945. 가을.
![]() 경회루. 1945. 가을. ![]() Don Obrien이 친구라고 소개한 당시, 서울신문의 김기자.
![]() 1945. 10. 이승만박사 귀국환영식장에 취재촬영차 나온 한국의 사진기자들.
![]() 한국의 인력거(人力車). 1945. 가을. ![]() 당시, 운송수단의 하나였던 마차수레.
자전거와 오토바이 등이 많아서 다소 혼잡했다고 한다. 1945.
![]() 서울의 어느 일가족. 담배피우는 아낙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1945. 가을. ![]() 갯바위에서 굴, 조개 등을 채취하는 모습. 서울근교. 1945. 가을.
![]() 어느 곳에서나 친절하게 대해 준 한국인들이었다고 촬영자인 Don Obrien은 회고한다.
![]() 1945. 11. 얼음을 깨고 빨래하는 것으로 16 mm 영상필름에서 스캔한 것이다.
![]() 그 시절엔 어린 소년들도 나뭇짐을 하는 것이 일상적인 일이었다. 1945. 12.
![]() 영문벽보는 얄타협정에 따른 산탁통치를 반대하는 내용으로 보인다. 1946. 1. 서울.
![]() 서울. 1945. |
'문학 & 예술 > 흘러간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14 (일사 후퇴) 때의 피난민들의 사진들 (0) | 2010.01.28 |
---|---|
Korea - 1945.10~1946.1. (6) (0) | 2009.12.12 |
Korea - 1945 10.~1946.1. 그 시절의 사람들 그리고 풍경 (0) | 2009.12.12 |
흘러간 한국 영화계의 문정희.최무룡-안다성-박재란-이수미-진송남-남인수 (0) | 2009.10.03 |
보기 힘든 귀한 자료 (0) | 2009.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