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 생장조절제 종류과 특성
국내에 고시된 생장조절제는 25종이 고시되어 있으나, 이중 과수와 관련되는 생장조절제는 [표 1]과 같이 10종이 고시되어 있습니다. 과수에서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몇가지 생장조절제의 종류와 특성을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베레린수용제
** 포도무핵화 및 생장촉진
포도 무핵화 생산 및 생장촉진을 위해 델라웨어는 꽃이만개하기 약 14일전과 만개후 약 10일경에 봉오리와 과방을 희석액에 침지 처리 합니다. 희석액은 지베렐린 수용제 1.6g 들이 한포당 0.5ℓ의 물에 희석하는데 10a(300평) 당 소요 희석액은 제 1회 처리시 약 8ℓ, 제2회 처리시 약 24ℓ가 필요합니다.
주의할 점은 1회 처리가 적기보다 이를 경우, 과방이 지나치게 신장되고, 늦으면 유핵과가 많이 생기므로 적기 선택이 중요합니다.
거봉은 무핵과 생산을 위해서 선단부 1cm 정도를 절단하고 과경부의 소화경 6∼8개를 제거한 후 중간부위 8∼10cm를 결실부위로 이용하여 개화직전 및 만개 10일 후 각각 1회씩 침지 처리하되, 희석액은 지베렐린 수용제 1.6g 들이 한포당 2ℓ의 물에 희석 사용합니다.
2. 지베렐린 도포제
** 배 비대 및 숙기 촉진
지베렐린 도포제는 배 비대 및 숙기를 촉진하며 사용적기는 배꽃이 완전히 핀 후 30∼40일경 봉지씌우기 전에 과경당 25㎎을 도포 합니다. 사용할 때에는 튜브에 첨부되어 있는 붓을 사용하여 튜브를 눌러서 일정선까지 빼낸 약을 붓으로 묻혀서 배 과경 부위에 바르되 이때 어린 과일의 과면에 묻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 효과는 장십랑과 만삼길에서 현저한 반면 신고에서는 현저하지 못합니다. 숙기가 약 1주일 정도 빨라지므로 수확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고, 비배 및 수세가 불량한 나무나 이상기후 조건하에서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3. 에세폰 액제
** 배, 포도 숙기 촉진
포도(캠벨얼리), 배(장십랑, 이십세기, 신세기)의 숙기 촉진용으로 사용되며 포도의 경우, 송이가 푸른색을 잃고 투명해지며 송이의 하단부가 자색을 띠기 시작할 때 약액을 과실에만 살포해야 합니다. 배는 개화후 100일경에 과실 직경이 6cm 되었을 때, 수관전면에 살포하되 과실부분을 위주로 살포 합니다.
4. 지베레린에이포세븐·비에이액제
** 사과 비대 촉진
유효성분중 GA4+7, BA가 각각 1.8%씩 함유되어 있는 이 약제는 사과 후지의 과실비대 목적으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 입니다.
처리시기는 후지의 경우 중심화 만개시 1,000배 희석하여 1차 처리하고 5 ~ 7일 경과후 2차 살포합니다. 쓰가루는 전체 만개시 1000배로 1차 처리하고 5 ~ 7일 후 2차 살포합니다. 보통 2회까지의 처리로 세포신장 및 세포분열 촉진 등의 작용에 의한 과실비대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희석농도는 1000배(20㎖/20ℓ)로 하여 과실 위주로 살포를 합니다. 주의할 점은 수분, 수정이 불량한 지역, 개화기 기상(저온, 강우, 바람)이 불량한 경우에는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경우, 기형과 및 6월 낙과의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방화곤충의 이용 또는 인공수분에 의한 사전 결실관리가 선행된 후 살포해야 합니다.
[표 1] 국내 고시된 식물생장조절제('97.04. 현재)
품목명(상표명) |
적용작물 |
사용적기 |
물20ℓ(1말)당 사용약량 |
사용목적 |
디클로르프로프 액제(미성알파) |
사과(쓰가루) |
수확예정 25∼30일전 |
20㎖ |
후기낙과방지 |
메피쿼트액제 (후라스타) |
포도(거봉) |
신초엽 7∼8매 전개시 |
40㎖ |
착립증진 |
비에이액제(-) |
감귤(궁천조생, 조생온주) |
가온개시(11월) 2∼3일 후 |
50㎖ |
하우스 재배감귤 화아형성 촉진 |
에세폰액제 (에스렐) |
포도(캠벨얼리) |
포도송이가 푸른색을 잃고 투명해 지며 송이의 하단부가 자색을 띠기 시작할 때 |
8㎖ |
숙기촉진 |
배 (장십랑, 이십세기) |
개화후 100일경, 과실직경이 6cm 될 때 |
5㎖ |
에티클로제이트유제(휘가론) |
감귤 |
만개 20∼25일후 |
100㎖ |
적과효과 |
지베렐린도포제(-) |
배 |
만개후 30∼40일 후 |
25㎎/과경 |
비대 및 숙기촉진 |
지베레린4+7,· 비에이액제 (포미나) |
사과(후지) |
중심화 만개시 1회 처리후 5~7일후 2차살포 |
20㎖ |
비대촉진 |
사과(쓰가루) |
전체 만개시 1회 처리후 5~7일후 2차살포 |
지베레린수용제(-) |
포도(거봉) |
개화직전 및 만개 10일후 각각 1회 과방 침지 |
16.13g (1.6g 포장 10개) |
무종자화 |
포도(델라웨어) |
꽃이 만발하기 약 14일전과 만발후 약 10일경에 봉오리와 과방을 희석액에 침지 |
64.5g (1.6g 포장 40개) |
생장촉진 |
칼카본수화제 (크레프논) |
감귤(온주밀감) |
과실착색 초기부터 10일 간격 |
400g |
부피방지 |
포클로르훼누론액제(풀메트) |
참다래 (헤이워드) |
만개 30일 후 과실 침지 |
50㎖ |
과실비대 |
* 결실 증진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의 활용방법
지금까지 국내에 고시된 생장조절제 중 과수의 결실 증진을 목적으로 고시된 약제는 현재까지는 없습니다. 외국의 경우, 사과에 대하여 신초신장 억제에 따른 화아분화 유도를 촉진하기 위하여 화아분화 개시직전(한국의 경우 7월 초∼중순) NAA를 살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이나, 뚜렷한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재배적인 조치로 결실 증진을 도모할 수 밖에 없는데, 여기에는 환상박피, 가지의 수평유인, 하계 전정, 적당한 수세관리 등으로 해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