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배움/텃밭의재미

IBA(발육촉진제) 처리농도 및 가식일수에 따른 묘 생육

淸山에 2009. 12. 12. 14:38
 

 

 
 

[자료출처 : 농촌진흥청]

         
 IBA처리 및 가식일수에 따른 생육 및 수량
 
기관 :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성명 : 유인모
 
전화 : 043-263-8509
           
  1. IBA 처리농도 및 가식일수에 따른 묘 생육
    Pot묘 육묘시 IBA 처리농도 및 가식일수에 따른 삽식전 고구마 묘 생육상황은 가식일수가 길어질수록, IBA 농도가 높을수록 묘장·발근장은 길었으며 절수·발근수도 많았다. 무처리(관행)는 묘장 8.7㎝, 절수 4.0개의 묘를 사용하였다.
           
  표 1. IBA 처리농도에 따른 삽식전 묘 생육상황
 
처리농도(ppm)
가식일수(일)
묘장(㎝) 주만절수(개/개체)
근장(㎝)
근수(개/개체)
100 10
15
20
  9.3
12.0
14.1
4.4
5.7
6.1
34.5
58.5
69.0
  6.1
  9.2
13.2
200 10
15
20
10.2
14.0
15.0
5.3
6.1
6.5
50.0
98.0
103.0  
10.1
12.3
13.9
300 10
15
20
10.5
14.2
16.4
5.5
6.2
6.7
71.0
110.5  
120.5  

  9.7
12.7
14.8

관행대비   8.7 4.0 - -
           
  2. IBA 처리농도 및 가식일수가 고구마 생육에 미치는 영향
     IBA처리가 지상부 생육에 미친 영향은 주만장의 경우 무처리 270㎝보다 IBA처리에서 40~70㎝ 길었으며, 총만장은 IBA 200ppm 15일 가식에서 1,278㎝로 가장 길었으나, IBA 100, 300ppm에서는 가식일수가 짧을수록 긴 경향이었다.
  분지수는 IBA처리 200, 300ppm 15일 가식묘에서 3.7~3.8개로 무처리보다 많았으나, 그 외 처리에서는 같거나 적었고, 엽병수량은 무처리 1,761kg/10a에 비하여 20일 가식묘를 제외한 IBA처리구 모두에서 6~16%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표 2. IBA 처리농도 및 가식일수에 따른 지상부 생육상황
 

처리농도

(ppm)

가식일수

(일)

주만장 (cm)

총만장 (㎝)

분지수

(개/개체)

엽병생체중

(㎏/10a)

지수

100

10

15

20

310

315

314

1,202

1,195

1,186

3.4

3.6

3.2

1,872

1,964

1,701

106

112

  97

200

10

15

20

338

350

332

1,231

1,278

1,203

3.5

3.7

3.4

1,974

2,012

1,721

112

114

  98

300

10

15

20

334

339

320

1,250

1,227

1,171

3.5

3.8

3.4

1,930

2,048

1,699

110

116

  96

관행(대비)

270

1,100

3.4

1,761

100

 

           
 

3. IBA 처리농도 및 가식일수가 전분가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10a당 상저수는 IBA 전처리 모두 가식일수 10일 및 15일 가식묘에서 무처리의 14,400개/10a에 비하여 많았으나, 20일 가식묘에서는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전분가는 IBA 200, 300ppm 15일 가식묘에서 27.7%로 가장 높았으며, 상저수량은 IBA처리에서 가식일수에 관계없이 무처리 1,343㎏/10a에 비하여 9~25% 증수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IBA 200ppm 15일 가식묘에서 증수효과가 가장 커 Pot묘 육묘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3. IBA 처리농도 및 가식일수에 따른 상저수, 전분가 및 수량
 
처리농도 (ppm)
가식일수 (일) 전분가 (%) 상저수량 지수
(개/10a) (kg/10a)
100 10
15
20
27.0
27.3
27.1
15,300
16,000
14,000
1,470
1,581
1,509
109
118
112
200 10
15
20
27.3
27.7
27.4
15,700
16,800
15,000
1,528
1,677
1,554
114
126
116
300 10
15
20
27.3
27.7
27.1
15,100
15,700
13,800
1,471
1,576
1,499
109
117
112
관행(대비)
26.5 14,400 1,343 100
           
  4. IBA 처리농도 및 가식일수에 따른 소득
    엽병수량과 상저중으로 분석한 소득은 엽병수량은 IBA 300ppm 15일 가식묘가 2,048㎏/10a로 가장 높았고, 상저수량은 발근촉진제 농도 200ppm 15일 가식묘에서 1,677㎏/10a으로 가장 높았다. 10a당 소득은 IBA처리시, 관행재배 1,163천원보다 높았는데 특히 IBA 200ppm 15일 가식묘에서 1,611천원/10a으로 소득이 39%향상되었다.
           
  표 4. IBA 처리농도 및 가식일수에 따른 소득비교
 
처리농도 (ppm)
가식일수 (일) 수량(kg/10a)
조수입
(천원/10a)
경영비
(천원/10a)
순수입
(천원/10a)
지수
엽병 상저
100 10
15
20
1,872
1,964
1,701
1,470
1,581
1,509
2,534
2,701
2,493
1,156
1,220
1,224
1,378
1,481
1,249
118
127
107
200 10
15
20
1,974
2,012
1,721
1,528
1,677
1,554
2,648
2,831
2,552
1,156
1,220
1,224
1,492
1,611
1,308
128
139
112
300 10
15
20
1,930
2,048
1,699
1,471
1,576
1,499
2,564
2,738
2,482
1,156
1,220
1,244
1,408
1,518
1,238
121
131
106
관행(대비)
1,761 1,343 2,340
1,177
1,163
100
  주) 상저가격 : 1,100원/㎏, 엽병가격 : 490원/㎏, 엽병채취량 : 13㎏/hr
           
  참 고 문 헌
   
  김태석 외. 1973. 생장조절제 처리가 고구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12 : 139­145
이효승 외. 1990. 생장조정제 Atonic 및 Chloine chloride의 침지처리가 고구마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작물보호편). 32(3) : 39­48.
작물과학원. 1991. 남북지역 고구마 안전재배기술 개선시험. 작시 농시연보(전작편) : 353­369.
제주도농촌진흥원 1981. 고구마 조기재배법 확립. 제주농진보 : 107-111.
조재영. 1980. 전작. 향문사. 327­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