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퇴비장 |
|
|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성명 : 강방훈 |
|
전화 : 031-290-0265 |
|
|
|
|
|
|
|
|
지속적인 친환경농산물 생산, 축산농가 활용, 경운개선을 위한 친환경적인 생물자원 활용시설로 환경개선 및 대체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다. |
|
|
|
1. 배치 |
|
축산농가의 BMW와 연계하여 유기질퇴비생산을 통해 유기농산물을 재배하고 있는 농가를 중심으로 설치하여 마을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한다. |
|
|
|
2. 규모 및 형태 |
|
태양열을 활용한 소규모 퇴비장을 설치한다. 그물처럼 뚫린 바닥으로 되어 있는 토끼사육장 밑에 지렁이 상자를 두어 자연적으로 퇴비 생산이 가능한 소규모 퇴비장을 마련한다. 망으로 되어 있는 울타리 안에 닭을 키우며 닭이 흙을 고르고 파는 행동으로 자연스럽게 경운의 효과를 볼 수 있는 닭경운기를 활용한다. |
|
|
|
|
|
그림 1. 닭 퇴비장 예시도(좌)와 닭경운기 사례(우) |
|
|
|
3. 재료 |
|
닭 퇴비장의 지붕은 짚을 활용하고, 기둥은 자연재료인 목재를 이용하여 단단한 철망을 깔아 닭의 움직임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
|
|
|
4. 부대시설 |
|
퇴비장과 닭경운기 등이 설치된 곳에는 작은 푯말을 설치하여 시설의 가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
|
|
|
5. 기타 참고사항 |
|
농업체험장 및 밭경작지 부지에 소규모 퇴비장을 설치하여 체험프로그램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마을 체험객에게 환경보전과 이를 위한 생태적인 가치증진, 자연에너지이용 등에 대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
|
|
|
참 고 문 헌 |
|
|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3. 농촌화장실 그 아름다운 변화. 문화체육부. 1993. 청소년수련시설 설계기준 및 모형개발 연구. 조순재 외. 1996. 농촌마을 공동시설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2(2). 조경연구회. 최기호. 1997. 조경계획·설계자료집성 IV 특수시설. 지역활성화센터. 2004. 밀양시 평리녹색농촌체험마을 발전계획. 최기호. 1999. 오픈 스페이스 계획 및 설계론. 누리에. |
|
|
|
|
|
집필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강방훈 (전화 : 031-290-02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