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스치는 인연도 놓치지 않게 준비하라

淸山에 2009. 9. 3. 17:51

 

 

 


- “스치는 인연도 놓치지 않게 준비하라” -
中학자 창화가 말하는 ‘貴人 만나고 알아보는 법’

‘○○년생, 귀인(貴人)의 도움으로 어려움을 해결한다’‘○○년생,
동쪽에서 귀인을 만난다’. 신문의 운세 코너에서 흔하게 접하는 문구다.
운세를 크게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도 귀인을 만난다는 말은 믿고 싶어한다.

귀인이란 나를 성공과 행복으로 이끌어주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긴 여행을 떠날 때 짐을 꾸려줄 사람, 비바람을 만났을 때 우산이 되어줄 사람,
성공의 고지가 코앞에 놓여 있을 때 마지막으로 뒤에서 밀어줄 사람이 바로 귀인이다.
그런데 귀인을 어디서 만난다는 말인가.
도대체 나의 귀인이 누구인지 어떻게 안다는 말인가.

중국 전통문화 연구학자인 창화는 저서 ‘귀인(貴人)’에서
“귀인을 알아보는 기술이나 만나는 방법이 특별하지 않다”고 말한다.
주변의 모든 사람이 나의 귀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연히 버스나 비행기에서 만난 사람, 학창 시절의 친구나 직장 동료뿐만 아니라
심지어 나를 위해하려는 사람도 귀인이 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 여러 분야의 사람을 부지런히 사귀면서 인맥을 관리해야 하며,
특정 분야에서 누구에게나 인정받을 수 있는 실력을 갖춰야 한다.

비행기 옆 좌석에 앉았던 남자가 투자 관련 잡지를 읽는 것을 보고
평소 자신의 관심사였던 투자에 관해 대화를 나눈 사람이 있었다.
기내에서 그저 쉬고 싶은 생각도 있었지만,
자신이 알고 있는 만큼 성의껏 이야기를 나눴다.
헤어질 때 명함을 받고 보니 옆좌석의 남자는 대형 투자회사의 사장이었다.
그는 남자의 회사에 채용돼서 유능한 펀드매니저가 되었다.

세계적인 사무용품 제조기업인 휴렛팩커드는 대학동창인 빌 휴렛과
데이비드 팩커드가 함께 만들어 발전시킨 회사다.
휴렛과 팩커드는 취업을 준비하면서 마음에 드는 직장을 찾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깨닫고 처음에 당혹스러워 했다.
그러나 두 사람은 힘을 합쳐 창업하기로 결심,
갖은 어려움 속에서도 서로를 격려하며 회사를 성장시켰다.

영국의 대문호 셰익스피어는 고향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에서
양털을 깎던 젊은이였는데, 토머스 루시 경의 정원에서
노루를 몰래 사냥하다가 붙잡혀 하루동안 감금돼 곤욕을 치렀다.
셰익스피어는 이튿날 루시 경을 풍자하는 시를 정원 문에 붙였다가
루시 경의 분노를 사서 고향에서 추방당했다.
하릴없이 런던으로 흘러들어간 셰익스피어는 연극대본을 쓰게 되었고,
피나는 노력 끝에 뛰어난 극작가로 성공했다.
루시 경의 위협과 모욕이 없었다면 그는 평생 시골 마을에서
양털 깎는 사람으로 살았을지도 모른다.

저자 창화는 “귀인을 만나는 것은 우연일 수도 있지만 평소 자신의 관심 있는
분야에 끊임없는 노력을 쏟은 사람이라야 우연도 찾아오게 된다”고 지적한다.
작곡가 쇼팽이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기회를 준 리스트도,
휴렛과 팩커드가 성공적으로 회사를 키울 수 있도록 도와준 프레더릭 터먼 교수도
그들의 실력을 인정하지 않았다면 도움의 손길을 내밀지 않았을 것이다.

‘동쪽에서 귀인을 만난다’는 말은 귀인을 만나려면 동쪽으로 가는
수고쯤은 본인 스스로 해야 한다는 의미를 품고 있다.
오랜만에 동창생을 만났을 경우에 그저 한 번 만나자는 말만 하고 잊어버리지 말고,
그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기억했다가 꾸준히 연락을 하면
동창생을 통해서 성공에 도움을 주는 사람들을 만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장재선기자 jeijei@munhwa.com

귀인 만나기 위해 새겨 둘 말
●… 오늘의 초라한 친구가 내일의 귀인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
●… 한때의 원수가 나의 잠재력을 끌어내는 귀인이 될 수 있다.
●… 라이벌에 대한 두려움은 용기를 일으키는 힘의 원천이다.
●… 우연처럼 다가온 만남이 하느님이 주신 기회일 수 있다.
●… 먼 곳의 귀인 찾기보다 내 파트너를 귀인으로 만들어라.
●… 인생의 가장 큰 자산은 ‘폭넓게 맺은 좋은 인맥’이다.
●… 함께 웃은 사람은 잊지만 함께 울어준 사람은 기억한다.

- 창화 저 ‘귀인’에서
Copyright ⓒ 문화일보. All Rights Reserved.
기사 게재 일자 2009-06-01

 

 

'역사.정치.사회 > 관심 세상史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의 7가지 충고   (0) 2009.09.03
돈으로 살 수 없는 것 8가지   (0) 2009.09.03
청초의 계곡  (0) 2009.09.03
세계를 바꾼 13장의 사진들  (0) 2009.09.03
조선시대에도 조폭이 있었다  (0) 2009.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