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살 순간에도 "난 괜찮아".
니체가 말한대로 스스로의 혼을 더럽히지 않고
청탁을 함께 쓸어담았다가 이를 소화하여 한반도라는 화폭에
큰 그림을 그렸다는 점에서 박정희는 김일성과 차원을 달리하는 인간이다.
김일성은 권력으로 부패했으나 박정희는 권력을 쥐고도
끝까지 맑은 혼을 유지하였다.
63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시절에 쓴 '국가와 혁명과 나'에
그가 인용하여 실은 시의 한 구절은 '2등 객차에 불란서 시집을
읽는 소녀야 나는 고운 네 손이 밉더라'였다.
그는 이 시를 인용한 뒤에 '고운 손은 우리의 적이다'고 덧붙였다.
이 책 끝장에서 박정희는 '가난은 나의 스승이고 군림 사회와 특권 계층을 증오하는 것은 나의 생리'라면서 '서민 속에서 나고, 자라고, 일하고, 그리하여 그서민의 인정 속에서 생이 끝나기를 염원한다' 고 했다.
박정희는 1979년 10월26일 저녁 7시40분 김재규가 벽력 같은
고함을 지르면서 차지철을 쏠 때, 그리고 차지철이 실내 화장실로 달아날 때, 이어서 김재규가 일어서서 4∼5초쯤 주저하다가
박정희의 가슴을 향하여 발사할 때 미동도 하지 않고 눈을 지그시 감고 있었다.
이는 곁에 있었던 두여인의 일치된 증언이다.
차지철이 실내 화장실 문을 빼꼼이 열고 "각하 괜찮습니까" 하고 물었을 때
박정희는 "난 괜찮아"라고 했다.
두 여인이 "각하 진짜 괜찮습니까"라고 했을 때 그는 또다시
"난괜찮아"라고 했다.
이 순간 그는 관통상으로 인해 등에서는
선혈을 콸 콸 쏟고 있었다.
세계의 암살사를 다 뒤져도 이런 초인적인 장면을 발견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준비없이 맞이한 상황에서 그가 보여준 이 모습이야말로
인간 박정희의 꾸밈없는 진면목이다.
육영수는 선을 볼 때 박정희가 구두 끈을 푸는 뒷모습이 좋았다고 고백한 적이 있다.
인간은 앞 모습은 꾸밀 수가 있지만 뒷모습은 꾸밀 수가 없다.
뒷모습이야말로 그 인간의 참 얼굴일 것이다.
총알이 허파를 꿰뚫고 지나간 뒤에도 "난 괜찮아"라는 말을 한
그의 마지막 모습이 바로 우리가 본 그의 뒷모습이었다.
이런 행동은 죽음과 오랫동안 대면해 왔던 사람, 그리하여 죽음과 친구가
된 사람만이 자연스럽게 보여줄 수 있는 것이리라.
그는 어머니가 임신 했을 때 지워버리려고
그렇게 애썼던 생명이었다.
44세에 며느리를 둘이나 둔 어머니는 박정희를 임신하자
간장을 두 사발이나 마시고 기절해 보기도 하고 높은 데서
뛰어내려 상처를 내보기도 했다고 한다.
무거운 것을 배에 얹어서 뒤로 넘어져 보기도 했으나 뱃속의 생명은
지워지지 않았다.
그리하여 '태어나서는 안 될 생명'이 태어났고이 인물에 의하여
이 나라가 천지개벽의 변화를 겪었으니
운명적이란 말로써밖에 설명할 길이 없다.
박정희는 지옥의 문턱까지, 그리고 인생의 골짜기까지 떨어졌던 경험을
여러 번 했던 사람이다.
남로당에 포섭되었다가 탄로가 나서 전기고문을 받는 가혹한
수사 끝에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그의 인간됨을 아낀 많은 사람들의
운동에 의해서 생환했다.
그때 동거하던 이 모 여인은 가출하여 그를 버렸고 피난 중 부산의 어느 술집에서 이상한 관계로 재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