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6혁명의 역사적 의의 오늘날 한국과 북한의 차이는 박정희와 김일성의 차이다. 최성재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1961년의 한국과 2016년의 한국] 1961년 한국은 국가 예산의 52%를 미국의 원조에 의존하고 있었다(박정희의 <국가와 혁명과 나>). 35년에 걸친 식민지배의 여파로 한국은 근대화를 담당할 지식인이 태부족(1945년 당시 전문대 이상 대학생 7819명<해방전후사의 재인식>)한데다, 엽전의식(조선인은 안 돼!)이 만연하여 정신적 공황상태에 있었다. 대한민국호에 승선한 사람들은 선장도 항해사도 기관사도 없는 것 같은 정신적 공황상태를 겪고 있었던 것이다. 설상가상 3년간의 동족상잔으로 그전에 이미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하던 ‘섬나라’ 자유대한은 그나마 비바람을 가려 주던 초가삼간마저 반파(半破)되어, 거지와 깡패와 도둑이 선량한 시민과 거의 구별되지 않는 나라로, 절대빈곤과 무질서가 정상인 나라로 전락했다.
목구멍이 포도청인 나라에서 고무신 한 켤레, 막걸리 한 사발이면, 누가 대통령이 되건, 누가 국회의원이 되건, 그들이 미국의 원조를 어떻게 갈라먹든, 어떻게 나눠주든, 멀쩡한 선남선녀가 신성한 주권을 얼씨구나 내팽개친다고 해서 누가 돌을 던질 수 있었을까. 의기양양 자랑해야지! (소련과 동구권의 몰락 이후 자유민주 국가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났지만, 10억 절대빈곤국들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심층연구한 바에 따르면, 선거 민주주의는 15년이 넘도록 빈곤과 무질서를 도리어 심화시켰을 뿐이다. <전쟁, 총, 투표>(2009년)) 2016년의 한국은 북한에 비하면, 1961년의 ‘남조선’보다 못한 2016년의 북한에 비하면, 지상낙원을 넘어 지상천국이다. 2012년 The Economist의 민주화 지수(Democracy Index)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세계 20위로서 일본 23위보다 앞선다. 아시아에서 당당 1위다. 대만 35위, 인도 38위, 심지어 유럽의 프랑스(28위), 이태리(32위)보다 앞선다. 개혁개방으로 승승장구하는 중국 142위, 베트남 144위와는 비교 자체가 무의미하다. UN의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는 1인당 실질구매력(PPP)만이 아니라, 기대수명, 유아사망률, 교육, 양성평등, 세금, 부채 등을 종합해서 수치화한 것인데, 2014년말 기준 대한민국은 17위이다. 일본 20위, 프랑스 22위보다 높다! 인구 3천만 이상의 국가로 치면, 독일 6위, 미국 10위, 캐나다 11위, 영국 15위에 이어, 세계 5위다. [남북의 차이는 박정희와 김일성의 차이] 해방 당시에는 한국보다 북한이 월등히 나았다. 공장과 발전소와 지하자원 모두 북한은 한국보다 10배 많았는데, 인구는 한국의 절반밖에 안 되었다. 아무 것도 않고 그것만 뜯어 먹어도 10년은 한국에 비해 호의호식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외환보유고든 자유든 평등이든 한국이 북한보다 1000배, 10000배 많거나 낫다. 이 차이를 만든 사람이 김일성과 박정희다. 북한은 아직까지 김일성 체제 그대로이고, 한국은 지금도 박정희 체제가 근간을 이루기 때문이다. [쿠데타냐, 혁명이냐] 한국에서는 반세기가 넘었지만, 아직도 5.16을 쿠데타로 보느냐, 혁명으로 보느냐, 이 잣대로 선악의 기준을 삼는 자들이 수두룩하다. 특히 지식인일수록 그러하다. 우파라고 해서 예외가 아니다. CSP(Center for Systemic Peace)에 따르면, 1946년에서 2010년까지 전 세계에서 쿠데타는 750회 발생했다. 한국은 1961년 5월 16일과, 1979년 12월 12일이 포함된다. 한 명도 죽은 사람이 없다고 하더라도 군대의 힘으로 헌정을 중단시키고 2년간 계엄 통치했으니까, 5.16은 쿠데타가 맞다. 그러나 그 후에 일어난 것을 보면, 혁명도 능가하는 가히 천지개벽이다. 쿠데타는 나쁘고 혁명은 좋다라는 단순무식한 공식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두 가지 예로 반증하겠다. 프랑스 혁명은 길게 보면 위대했지만, 그것은 곧바로 불안과 공포의 검은 장막에 휩싸였다. 나폴레옹이 쿠데타로 정치적 안정과 효율적 정부와 민법 정착과 국민교육 보급과 과학기술 진작과 산업혁명을 가져옴으로써 비로소 프랑스만이 아니라 유럽 전체에 자유와 평등과 박애를 시대의 도도한 흐름으로 바꿔놓았다. 그것은 대량살상의 처절한 전쟁 와중에도 바뀌지 않았다. 자유는 피를 먹고 자란다! 러시아 혁명은 어떤가. 노동자와 농민이 주인이 된다는 만민평등의 공산혁명은 한 줌의 공산당이 새로운 지주와 자본가와 폭군으로 군림하며 절대다수를 그저 시키는 대로 행복해요, 라고 외치는 노예로 전락시켰다. 유물론은 자본가와 지주만이 아니라 체제에 반대하는 노동자와 농민을 나폴레옹 전쟁과 세계 1차, 2차 대전에서 사망한 사람을 모두 합한 것보다 더 많은 사람을 말 그대로 때려 죽였다. 후에 중공은 그보다 더했다. 공산권에서 생목숨을 잃은 사람은 1억 명을 웃돈다. 결국 전쟁보다 못한 혁명이 러시아 혁명이었던 것이다. 그것은 길게는 70년, 짧게는 45년, 인류의 절반을 철의 장막에 가두고 그들에게 지옥의 쓴맛을 제대로 보여 주었다. [5.16은 산업혁명과 민주혁명을 동시에 달성한 유일한 쿠데타] 해방 당시 문맹률이 78%이고 농민이 70%인 나라에서 자유선거를 실시한 나라가 한국이다. 과연 그대로 두었으면, 장면의 민주당이 자유민주와 경제개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었을까. 인도가 있지 않느냐고? 좋은 지적이다. 미안하지만 인도는 실패했다. 네루는 명분은 찬란했지만 민주도 뿌리 내리지 못했고 경제개발은 더더구나 못했다. 민주는 첫째가 평등인데, 신분타파인데, 네루는 카스트 제도를 전혀 없애지 못했다. 선거권만 준다고 해서 카스트는 없어지지 않는다. 대대적으로 중산층이 형성되어야 하고, 교육이 보급되어야 하고, 상공업이 발달해야 하고, 무엇보다 농지개혁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승만은 소작농을 0%로 만들었지만, 네루와 네루의 딸은 고작 농지의 3%만 분배했다. 여전히 농민의 절대다수를 소작농으로 내버려두었다. 네루는 선거 민주주의로 제 가문의 영광만 1947년에서 1989년까지 누리게 했을 뿐이다. 자유민주가 정착된 서구도 산업혁명으로 중산층이 두터워지고 이어 제1차세계대전으로 여성노동이 절실해진 이후에야 비로소 남녀가 공히 1인 1표를 행사했다. 산업혁명의 첫걸음을 떼자마자, 1963년 박정희는 바로 후진국에서는 일찍이 예가 없는 공정한 선거로, 그래서 그야말로 아슬아슬하게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1963년 이후 박정희 체제는 유신체제를 포함하더라도 이미 산업혁명을 완성한 1914년 서구 어떤 나라보다 앞선 자유민주를 실천했던 것이다. 남녀 공히 1인 1표인 자유민주를 실천했던 것이다. 민주도 상대적인 것이다. 그는 경제개발만 잘한 게 아니었던 것이다. 단순하게 1963, 1972년의 대한민국을 200년 300년에 걸쳐 서서히 발전시킨 서구의 자유민주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미친민주주의(Democrazy)적 발상이다.
한국과 가장 여건이 비슷했던 대만은 1949년부터 1987년까지 대를 이어 38년간 계엄 통치했지만, 박정희는 딱 2년만 계엄 통치했을 뿐이다. 유신시대에도 총선은 한 번도 거른 적이 없어서 여야의 의석이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반면에 대만과 싱가포르는 야당의 의석이 텅텅 비어 있었다. 박정희는 또한 정적을 단 한 명도 죽이지 않았다. 히틀러보다 잔인한 김일성의 무수한 도발에도 불구하고, 박정희는 자유민주의 근간인 법치를 뿌리내렸고 김일성 만세를 부르짖는 자 외에는 일반 국민의 사생활에 일체 손대지 않았다. 5.16혁명(쿠데타라고 하든지)은 기타 749개의 군사쿠데타와 시작부터 달랐다. 5.16의 주역들은 애국심으로 철저히 무장되어 있었다. 박정희는 청렴하고 엄한 가부장이었지, 계몽 대통령이었지, 폭군이나 독재자가 아니었다. 정치는 결과다. 자신의 욕심을 투영한 독심술(투사적 동일시)로 박정희의 권력욕을 꿰뚫어 보았다고 희희낙락 잘난 척할 일이 아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독재자에겐 공통적인 3대 과업이 있었다. 첫째, 철강업! 둘째, 고속도로! 셋째, 독재자의 동상! 이 중에서 성공한 것은 독재자의 동상 건립밖에 없다. 그것이 결과로 드러난 독재자의 참모습이다. 입만 떼면 독재자라고 오늘날까지 대한민국의 대부분 지식인(경제개발을 인정하는 우파 포함)이 박정희를 매도하지만, 박정희는 자신의 동상을 단 한 개도 안 세웠다. 대신에 세계제일의 철강업을 일으켰다. 인구가 1억이 안 되는 후진국은 절대 불가능하다는 철강업을 자본도 기술도 자원도 없이 일으켰다. 인구 8억에 자본과 자원도 무한정 동원할 수 있었던 공산황제 모택동도 못했던 철강업을 일으켰다. 일본도 반대하고 독일도 반대하고 미국도 반대하고 UN도 반대하고 세계은행도 반대하고 IMF도 반대했지만, 나라가 망한다고 국내 지식인도 목에 피가 나도록 반대했지만, 감히 쳐다보지도 못하던 일본과 독일과 미국을 능가하는 철강업의 기초를 확고하게 다져놓았다. 그로 인해 조선업과 자동차산업의 기반도 확실하게 닦아 놓았다. 게다가 박정희는 전국의 차량이 10만 대밖에 안 될 때, 1000만 대가 다닐 고속도로를 자력으로 건설하여 전국을 일일 생활권으로 만들었다.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일제시대의 도로와 일제시대의 철강업을 우려먹으며 자신의 동상만 방방곡곡에 1500년 동안 조상들이 금수강산에 세운 불상보다 많이, 그 어떤 것보다 거대하게 세운 자가 김일성이다. 박정희의 생일은 5천만 중에 휴대폰 검색하지 않고 기억하는 사람이 50명이나 될까 말까 하겠지만, 김일성 생일은 북한의 코흘리개도 자기 생일보다 더 잘 안다. 사탕이 나오니까! 다시 말해 도덕과 달리 정치는 결과인데, 이 결과로써 김일성의 마음과 박정희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