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ert Schumann (1810 - 1856)
Violin Concerto in D minor, WoO 23
슈만 -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Finnish Radio Symphony
Thomas Zehetmair, conductor and soloist
1. In kräftigem, nicht zu schnellem Tempo (00:39)
2. Langsam (17:29)
3. Lebhaft, doch nicht schnell (24:10)
뒤셀도르프에서 지낸 1853년은 슈만에게 있어서 최후의 창작기라고 말할 수 있다.
그 해 10월 15일부터 18일 사이에 작곡한 [아침의 노래 Op.133]는 그의 생전에 출판된 마지막 작품이다.
오랜만에 피아노를 위한 음악으로 돌아온 슈만은 이내 불멸의 세계를 향한 현실 도피로 치닫게 된다.
그해 5월 슈만은 젊고 영감에 넘치는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하임을 만나 깊은 감동을 받았다.
요하임이 연주한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에 찬탄을 아끼지 않은 슈만은 일기장에
그 감격을 적어놓기도 했다. “요하임은 너무 마력적이고 너무 놀라울 따름이다.
아침부터 밤 늦도록 그와 연주했다. 아름다운 시간들이었다.”
요하임을 위한, 요하임에 의한 숨겨진 보석
한편 요하임의 소개로 브람스를 만난 슈만은 다시금 창조적 열기에 휩싸인 채 행복한 나날을 보낼 수 있었다.
곧바로 그는 요하임을 위해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Op.131]을 작곡했고, 뒤이어 1853년 9월에는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다. 한편 10월에는 새로 알게 된 젊은 브람스와 자신의 제자였던 알베르트 디트리히
(Albert Dietrich)와 함께 요하임을 위해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F-A-E 소나타]를 작곡하여 헌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요하임은 환상곡, 소나타는 기꺼이 헌정받아 자주 연주했지만 협주곡은 그렇지 않았다.
1853년 10월 요하임은 자신이 콘서트마스터로 재직하던 하노버 궁정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이후 평생동안 이
작품을 연주하지 않았다. 1854년 2월, 슈만은 자살을 시도한 뒤 엔데니히의 요양원으로 실려갔고, 그때 슈만의
모습을 지켜본 요하임은 슈만이 미쳐있는 상태에서 이 곡을 작곡했음을 확신했다. 그리고 더욱 이 곡을 기피했다고
한다. 요하임의 전기작가인 안드레아스 모저(Andreas Moser)는 요하임이 보낸 편지에서 “정신적 에너지의 마지막
한 방울까지 짜내서 작곡한 듯한 일종의 극심한 피로감이 느껴진다”라고 쓴 내용을 밝히며 “몇몇 개성적인 패시지
에서는 창조적 예술가의 심오한 감수성을 목격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정신적 문제를 극복하려 했던 자아도취적 작품
이 바이올린 협주곡은 슈만이 자신의 정신적 문제를 음악적 창작열로 극복하고자 했던 시기의 작품인 만큼 실제
완성도는 완벽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 시기에 작곡된 다른 작품들 또한 사이사이 내비치는 천재성, 독창적인
음악어법 외에는 젊은 시절의 곡만큼 눈여겨 볼 만한 특징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 다시 말하자면, 슈만은 자신이
평생토록 열망했던 문학적 상상력, 자아도취적 경향을 이 음악을 통해 드러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요하임의 부정적 평가는 슈만의 미망인 클라라 슈만과 브람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특히 클라라 슈만은 이 협주곡의 연약한 성질에 많이 놀랐다.
이 작품이 남편의 명성에 나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했다. 바이올린 협주곡은
슈만의 작품 전집에서 포함되지 않은 채 19세기 내내 비밀의 작품으로 잊혀져 갔다.
그러나 브람스는 ‘슈만의 마지막 음악적 생각’이라는 표현을 달아 슈만이 이 협주곡에서
사용한 주제로 [슈만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23](1854)을 작곡하기도 했다.
사후 80여년 만에 세상의 빛을본 협주곡
별 다른 이야기가 들리지 않다가 4년 뒤인 1937년, 마인츠에 있는 쇼트 출판사는 이 작품의 카피를 당시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로 각광받던 젊은 예후디 메뉴힌(Yehudi Menuhin)에게 보여주었다. 메뉴힌은 지휘자 블라디미르
골쉬만(Vladimir Golschmann)과 함께 그해 10월 3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이 작품을 초연하고자 계획했다.
그러나 갑자기 옐리 다라니가 등장하여 초연에 대한 권리는 영적 계시를 받은 자신에게 있다고 주장하며
메뉴힌의 연주회에 제동을 걸었다.
한편 미국 초연은 1937년 12월 뉴욕의 카네기 홀에서 메뉴힌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1938년에는 존 바비롤리와
뉴욕 필하모닉의 협연으로 녹음되었고, 영국 초연은 당연히 다라니가 맡았다. 이후 1988년 독일의 바이올리니스트
토마스 체헤트마이어(Thomas Zehetmair)는 이 작품의 1937년 출판본에 가미된 편곡과 수정을 말끔히 걷어내고
오리지널 스코어를 토대로 녹음해 화제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1악장 ‘강건하면서도 너무 빠르지 않게(In kräftigen, nicht zu schnellem Tempo)’는 아름다운 주제 선율들이
극적인 대조를 이루며 이전보다 한층 강화된 소나타 형식을 이루고 있다.
정신적 혼란을 겪던 슈만에게 소나타 형식은 현실적 삶을 지탱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가 아니었을까 싶다.
어두운 D단조 도입부를 거치며 저주받은 듯한 분위기가 지속되고, 슬픔에 잠긴 2주제가 제시되면서
슈만의 남다른 감수성이 극대화된다. 이후 오케스트라의 강박증적인 도발과 솔로 바이올린의 회한어린
체념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며 비관적인 분위기로 코다를 맺는다.
2악장 ‘느리게(Langsam)’는 천사가 불러주었다는 주제가 사용된 악장이다.
따사로운 분위기 속에서 사색에 잠긴 영혼이 확신에 찬 어조로 노래를 부른다. 마지막 3악장 ‘활기있게,
그러나 빠르지 않게(Lebhaft, doch nicht schnell)’는 폴로네이즈 형식의 품위있는 악장이다.
바이올린의 랩소디풍 에피소드들이 오케스트라와 정교하게 조화를 이루며 비상하는
듯한 화려한 결말로 끝을 맺는다.
토마스 체헤트마이어의 연주(AVIE)는 오리지널 스코어를 복원해
원작 역시 훌륭한 작품임을 역설한 연주로 손꼽힌다.
Schumann, Violin Concerto in D minor, WoO 23 WDR Sinfonieorchester - Kölner Philharmonie
Frank Peter Zimmermann, violin
conducted by: Jukka Pekka Saraste (Chefdiri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