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달러풀기 축소]
美, 3차례 걸쳐 3조2000억달러 풀어… G7 합치면 10조달러 김태근 기자
입력 : 2013.12.20 01:31
日·유럽은 축소 움직임 없어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 정책은 미 연준(Fed) 100년 역사에서 지난 2009년 3월에야 처음 시도한 '비정상(非正常)적' 정책이다. 보통 중앙은행은 단기 금리를 올리고 내려 시중에 풀리는 돈의 양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경기를 관리한다. 경기가 안 좋으면 금리를 내려 돈을 풀고, 반대로 경기가 과열될 것 같으면 금리를 올리는 식이다.
2008년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글로벌 경제 위기가 닥치자, 미 연준은 기준 금리를 0%까지 끌어내렸다. 하지만 금융시장에서는 여전히 돈이 돌지 않고 경기가 계속 얼어붙었다. 그러자 미 연준은 어떻게든 시중에 돈이 돌게 하기 위해 직접 돈을 찍어 금융회사와 모기지 회사들이 가진 장기 채권을 사들였다. 금리를 더 내릴 수 없는 상황에서 시중에 돈을 공급한다는 뜻에서 '양적 완화'라는 이름이 붙었다.
미국의 양적 완화는 총 3차례에 걸쳐 이뤄졌는데 1차는 2009년 3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총 1조7250억달러, 2차는 2010년 11월부터 2011년 7월까지 6000억달러를 풀었고, 3차는 작년 9월에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조치는 일본 중앙은행이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난 2001년 3월 시도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당시에는 미미한 규모 탓에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실패했다.
미국이 2009년부터 이어진 양적 완화로 시중에 풀어댄 돈은 총 3조2000억달러, 우리 돈으로 3300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양적 완화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주요 선진 7개국(G7)이 시중에 푼 돈은 이미 10조달러를 넘긴 것으로 JP모건 등 글로벌 금융회사들은 추산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18일 마침내 양적 완화를 축소하는(Tapering) 정책으로 전환했지만, 경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한 일본·유럽 등 다른 선진국은 아직 그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