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Capital[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

淸山에 2013. 9. 28. 19:19

 

 

 

 

 

 

Capital

[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

 

 


조승연 오리진보카 대표

입력 : 2013.09.27 13:27

 

 

 

伊사업가들 창업前 돈부터 준비 그 돈을 '머릿돈'이라고 불러 영어로 들어와 '자본'으로 쓰여

 
capital은 '머리'를 뜻하는 라틴어 caput에서 왔다. 말 그대로는 '머릿돈'을 뜻한다. 우두머리, 즉 선장이나 기장 등을 뜻하는 captain, 머리에 쓰는 모자인 cap과 같은 어원이다.

 

사업을 시작하려면 돈부터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capital이 '자본금' 이라는 뜻으로 발전했다.

유럽에서 가장 먼저 금융사업이 시작된 곳은 이탈리아였다. 메디치 등의 금융가들이 현대 은행업을 개척하면서 이탈리아의 금융업이 크게 발전했다.

 

영국은 후발 주자로 금융업에 뛰어들었다. 1547년 크리스토펠이라는 작가가 첫 영어 금융 교과서를 썼는데 이 책에 "이탈리아 사업가들은 사업 시작 전에 돈부터 준비하는데 이 돈을 이탈리아어로 '머릿돈' 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

 

사람 몸에서는 머리가 '우선' 이듯 사업에서도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종자돈 마련이라는 뜻에서 나온 표현이다.

라틴어로 '머리'가 caput이기 때문에 '머릿돈'은 capital이 되었고 이것이 영어로 들어와

 '자본'으로 쓰이게 되었다.

 

19세기에는 독일의 사회학자 카를 마르크스가 자본,

즉 capital을 대는 사람이 실제로 공장을 운영하고 공장에서 노동하는 사람보다 큰 권한을 가지게 되는 체제를

'자본이 토지나 노동보다 중요한 사회', 즉 '자본주의 사회'라고 부르면서 자본주의를 뜻하는 capitalism이라는 단어도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