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再錄: 2004년 3월8일자 보도]
대한민국 초대 내각의 면면을 보면 이승만(李承晩) 대통령 본인이 독립운동가였고, 각료들 역시 대부분 항일(抗日)운동 지도자로 채워져 있다.
다만 이승만 대통령은 실무적으로 행정능력이 있는 일제시대 관료나 친일파를 일부 등용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당시 건국 후 좌우(左右)대립이 극심했던 시기에 국내치안을 확고히 하기 위해 군(軍)과 경찰, 행정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일부 채용했을 뿐이다.
이승만 대통령이 제헌국회(制憲國會)에서 세웠던 반민족행위특별군사위원회(이하 ‘반민특위’)를 불법으로 해산하고 친일파를 재판 없이 석방했다는 것도 사실과 다르다. 반민특위는 산하에 수사권을 부여한 특경대를 두어 친일혐의가 있는 인사들을 체포하는 일을 했다.
이 특경대가 시경 사찰과장 최운하(崔雲霞), 종로서 사찰주임 조응헌 등을 체포하자 자구책을 강구하려던 경찰은 1949년 병력 40여 명을 동원해 반민특위 사무실을 습격, 특경대원, 반민특위위원들을 폭행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그러나 반민특위는 이 같은 소동과 관계없이 활동을 계속해 1949년 9월 5일 스스로 공식 활동을 정지하기까지 4백 8건의 영장을 발부했고, 이 가운데 3백 5명을 체포했으며 23건을 기소해 사형 1명, 무기징역 1명, 유기징역 10명의 판결을 받게 했다.
소련 공산당 '꼭두각시' 김일성, 권력 핵심에 친일파 대거 기용
김일성과 김정일이 한국 근-현대사를 자신들 가족의 혁명역사로 모두 왜곡해 버린 사실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일례로 1871년 신미양요의 발단이 된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북한은 김일성의 증조부인 김응우가 주도한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조선력사 3권 93~94쪽)
김일성은 또 자신의 경력을 조작해 북한 인민공화국의 창건을 합법화 하고 스스로 수상이 됐다. 김일성은 대한민국 정권을 가리켜 “친일 부역 배들인 한민당과 이승만이 결탁하여 세운 미제의 괴뢰(傀儡)정부이므로 정통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면서 민족사적 정통성은 북한에 있고 그 근거는 항일 빨치산 투쟁을 했던 김일성 자신을 구심점으로 삼고 있다.
1941년 이후 김일성은 소련군에 입대해 대위가 됐으며, 해방 후 평양으로 돌아와 모든 권력을 혼자서 독식하는 스탈린식 독재체제를 이룩했다. 실제로 그는 스탈린에게 충성을 맹세했으며 북한이 제대로 된 군대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부탁해 10,000여명의 젊은이를 뽑아 소련 군사학교에 위탁교육 시켜 미래 장교들을 양성했으며, 병사들을 징집했다.
특히 1945년 10월 14일 김일성의 입국환영 평양 군중대회에서 사진을 보면 그의 뒤에는 여러 명의 소련군 고위 장교들이 소련기 아래 서 있다. 이것은 김일성이 소련군의 영향력 하에 움직이고 있었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북한의 공식간행물에 나오는 바로 이 동일한 사진에는 당시 소련군 장교들과 소련기를 지워 놓고 있다.
김일성은 권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다면 친일파를 등용했다. 김일성의 동생이자 현재까지 북한의 실력자인 김영주(金英柱)는 과거 일본 관동군 소속이었으며 국가부주석을 지낸 김일성의 외척 강양욱(康良煜)도 종교-문화부문의 친일파였다.
이와 함께 과거 남로당 실력자로 6.25 전쟁기간 중 서울시 인민 위원장이었던 이승엽(李承燁)의 경우 일제시대 인천양곡조합 간부였다. 남로당 간부였던 정백(鄭栢)등도 친일파였다.
마적(馬賊)두목 김일성과 ‘보천보 전투의 실체’
북한은 그동안 김일성의 ‘보천보 전투’를 역사적 사변으로 일컬으며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사 가운데 가장 큰 업적으로 여겨왔다.
일례로 북한의 중학교 교과서는 ‘김일성이 1937년 3월 서강(西崗)에서 조선인민혁명군 군정간부회의를 열고 조선인민혁명군의 국내진공작전 계획을 제시하고 행동에 옮긴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교과서는 “경찰주재소, 면사무소를 비롯한 일제의 통치기관들을 습격소탕하고 보천보 일대를 해방했다. 거리에 떨쳐나선 인민들은 ‘김일성 장군 만세!’, ‘조선독립 만세!’를 소리높이 외치며 환영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교과서를 유심히 읽어보면 이상한 구석이 발견된다.
몇 명의 전투원이 참가하고 몇 명을 사살했다는 등 구체적 전과(戰果)에 대해서는 일절 설명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보천보 전투를 통해 “조선 사람은 죽지 않고 살아있으며 일본제국주의에 항거할 것을 외쳤고 일제의 식민통치에 치명적 타격을 주었다”는 주장만 있다.
김일성 및 북한연구가들에 따르면, 당시 보천보에는 일본인 26호에 50명, 조선인이 280호에 1,323명, 중국인이 2호에 10명 등 총 308호에 1,383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무장인원으로는 5명의 경찰이 주재소에 있었을 뿐이다.
1937년 6월 4일 김일성은 90여명을 인솔해 보천보를 습격했다고 한다.
우선 전화선을 절단한 후 주재소부터 공격했다. 먼 거리에서부터 기관총 사격을 하며 들어가는 바람에 총소리에 놀란 경찰관들은 모두 피신했다. 그 과정에서 엄마의 등 뒤로 피하던 어느 경찰관의 딸이 총탄을 맞고 숨졌다.
김일성은 총기고에서 경기관총 1자루, 소총 6자루, 권총 2자루, 탄약 수백 발을 탈취했다. 이어 농사 시험장, 삼림보호구, 면사무소와 우편소를 습격하여 불을 질렀다.
보천보 전투는 전과로 치면 미미한 전투였다. 적의 무기를 탈취한 것이 전과라면 전과지만 2명의 민간인도 희생됐다. 북한 교과서가 보천보 전투의 구체적인 전과를 설명하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보천보 전투는 동북항일연군 1군 2사, 4사와 2군 6사(김일성 부대)의 연합 부대의 작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김일성 부대 단독 작전인 것처럼 조작되어 왔다.
한편, 보천보 전투에서 항일투쟁을 했던 김일성 장군을 연구하다 수년 전 타계한 이명영 전 성균관대 정치학과 교수는 ‘김일성 열전’을 통해 북한의 이 같은 역사조작을 밝힌 바 있다.
이 교수는 자신의 저서에서 “보천보 전투의 김일성 장군은 1887년 태어난 일본육사 출신의 본명이 김광서라는 사람”이고 “북한 김일성이 보천보 항일투쟁의 김일성장군으로 둔갑한 것은, 소련정권이 해방 후 북한의 공산정권수립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지명도 높은 이름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당시 소련의 지휘 하에서 훈련받았던 만주의 공산유격대 출신인 김일성의 본명은 김성주(金聖柱)로 북한에 들어와서 처음엔 김영환(金英煥)이란 변명(變名)으로 행세했다.
이후 1945년 10월 11~12일, 소련군 정치사령부 로마넨코 소장의 각본으로 평양시내 ‘다미야’라는 일본 요리집 자리에서 평남인민정치위원회(위원장 조만식) 멤버들에게 가짜 김일성은 처음으로 ‘김일성 장군’으로 소개됐다.
이런 과정을 거쳐 그해 10월14일 평양공설운동장에서 이른바 ‘김일성장군 환영 평양시 군중대회’가 열렸고, 김성주로 하여금 김일성으로 행세케 해 김성주가 김일성 장군으로 둔갑한 것.
당시 현장에 있었던 평안남도 양덕이 고향인 전 평안남도지사 박인각씨는 “연설에 앞서 스티코프 점령군사령관(대장)이 그를 김일성장군이라고 소개했으나 참석했던 사람들은 33세의 젊은 김성주가 김일성 장군이라는 사실을 믿지 않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 신의주가 고향인 전직 교장 이영훈씨는 “군중들의 술렁이는 분위기를 파악한 스티코프는 여기 있는 김일성이 항일투쟁의 김일성 장군이 맞거나 틀리거나가 중요한 게 아니라 앞으로 잘만 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말해 소련도, 김성주 자신도 보천보 전투의 김일성 장군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증언했다.
김성주가 항일투쟁의 김일성장군이 아니라는 점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증언이 있다. 증언의 주인공은 ‘김일성 평전 속(續)’을 내며 김일성을 연구하고 있는 허동찬 고려대 교수.
재일동포로 조총련 전문가인 허 교수는 “보천보 전투 후 김일성장군을 뒤쫓던 일본군이 그해 11월 무송현에서 그가 죽었다고 공식 발표했다”며 “그 후 4개월 뒤에 김일성이라는 이름으로 행세하는 사람이 다시 나타났는데, 이 사람이 평소 우쭐대기 좋아하는 성격의 김성주였다”고 말했다. (인용: 2002년 8월 27일자 미래한국신문)
또 1945년 해방신문의 기자로 동란 후 월북, 북한 외무성의 국장까지 지냈던 박갑동(82)씨도 있다.
그는 “평양에서 있었던 김일성장군 환영식 사진을 보천보 전투에 참가했다 일본군에게 잡혀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 중이던 박달과 박금철에게 확인시켰더니, 사진 속 인물이 김일성장군이 아니라는 사실을 증언했다”며 “박달과 박금철에 관해서는 보천보전투의 일본 측 판결문인 ‘혜산사건 판결’에 기록돼 있다”고 밝혔다.
결국 위와 같은 증언과 기록들은 모두 북한에서 주장하는 김일성의 항일투쟁이 조작임을 나타내고 있다.
김필재 기자 spooner1@hanmail.net
▲대한민국 초대 내각 독립운동가
*대통령-이승만(李承晩, 상해임시정부 초대 대통령)
*부통령-이시영(李始榮, 임정내무총장)
*국무총리*국방장관-이범석(李範奭, 광복군 참모장)
*국회의장-신익희(申翼熙, 임정내무총장)
*대법원장-김병로(金炳魯, 항일변호사)
*무임소장관-이윤영(李允榮, 국내항일)
*무임소 장관-이청천(李靑天*광복군 총사령관)
*외무장관-장택상(張澤相, 청구구락부사건)
*내무장관-윤치영(尹致映, 홍업구락부사건)
*법무장관-이 인(李 仁, 항일변호사, 한글학회사건)
*재무장관-김도연(金度演, 2.8독립사건)
*상공장관-임영신(任永信, 독립운동가-교육가)
*문교장관-안호상(安浩相, 항일교육)
*사회장관-전진한(錢鎭漢, 국내항일)
*체신장관-윤석구(尹錫龜, 국내항일, 6.25전쟁 중 인민군에게 총살)
*교통장관-민희식(閔熙植, 재미항일)
*총무처장-김병연(국내항일)
*기획처장-이순탁(국내항일)
*공보처장-김동성(국내항일)
▲북한 김일성 내각의 친일파
*김영주-북한 부주석, 당시 서열 2위, 김일성 동생 (일제시대 헌병 보조원)
*장헌근-북한 임시 인민위원회 사법부장, 당시 서열 10위 (일제시대 중추원 참의)
*강양욱-북한 인민위원회 상임위원장, 당시 서열 11위 (일제시대 도의원)
*정국은-북한 문화선전성 부부상 (아사히 서울지국 기자)
*김정제-북한 보위성 부상 (일제시대 양주군수)
*조일명-북한 문화선전성 부상 (친일단체 ‘대화숙’ 출신, 학도병 지원유세 주도)
*홍명희-북한 부수상 (일제시대 임전대책협의회 가입 활동)
*이 활-북한군 초대공군 사령관 (일제 일본군 나고야 항공학교 정예 출신)
*허민국-북한 인민군 9사단장 (일제시대 일본군 나고야 항공학교 정예 출신)
*강치우-북한 인민군 기술 부사단장 (일제시대 일본군 나고야 항공학교 정예 출신)
*김달삼-조선로동당 4.3사건 주동자 (일제시대 소위)
*박팔양-북한 노동신문 창간발기인, 노동신문 편집부장 (일제시대 만선일보 편집부장)
*한낙규-북한 김일성대 교수 (일제시대 검찰총장)
*정준택-북한 행정10국 산업국장 (일제시대 광산지배인 출신, 일본군 복무)
*한희진-북한 임시인민위원회 교통국장 (일제시대 함흥철도 국장)
*이승엽-남조선 로동당 서열 2위, 월북 후 빨치산 유격투쟁 지도 (일제시대 식량수탈기관인 ‘식량영단’ 이사)
<조갑제닷컴> 컨텐츠의 외부 게재시 제목과 내용을 수정하지 마십시오.
'역사.정치.사회 > 파헤친 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세기 조선은 얼마나 가난했나? (중국, 일본과 비교) (0) | 2013.08.15 |
---|---|
조선시대 왕들의 사망 원인 (0) | 2013.08.14 |
조선 왕들, 백성 금기어 한 자라도 줄이려 ‘한 글자’ 이름 썼다 (0) | 2013.08.12 |
하기아 소피아 (0) | 2013.08.12 |
오벨리스크(obelisk)와 프리메이슨 (0) | 201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