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chard Strauss (1864-1949) Symphonic Poem 교향시 Also sprach Zarathustra Op.30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210.217.224.13/~bipoong/technote/./board/RStrauss/upfile/Richard_Strauss_짜아투스트라는_이렇게_말했다_1악장.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1곡 Einleitung(Sunrise)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pungwol.hubweb.net/music/s/strauss_r21.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true" EnableContextMenu="0">
Einleitung(Sunrise) Georg Solti, cond Berliner Philharmoniker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210.217.224.13/~bipoong/technote/./board/RStrauss/upfile/Richard_Strauss_짜아투스트라는_이렇게_말했다_2악장.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2곡 Von der Hinterweltlern 후세 사람들에 대해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pungwol.hubweb.net/music/s/strauss_r22.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Von den Hinterweltlern (Of the people of the unseen world) Herbert von Karajan, cond Berliner Philharmoniker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210.217.224.13/~bipoong/technote/./board/RStrauss/upfile/Richard_Strauss_짜아투스트라는_이렇게_말했다_3악장.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3곡 Von der grossen Sehnsucht 크나큰 동경에 대하여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210.217.224.13/~bipoong/technote/./board/RStrauss/upfile/Richard_Strauss_짜아투스트라는_이렇게_말했다_4악장.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4곡 Von den Freuden-und Leidenschaften 환희와 정열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210.217.224.13/~bipoong/technote/./board/RStrauss/upfile/Richard_Strauss_짜아투스트라는_이렇게_말했다_5악장.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5곡 Das Grablied 무덤의 노래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210.217.224.13/~bipoong/technote/./board/RStrauss/upfile/Richard_Strauss_짜투스트라는_이렇게_말했다_6악장.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6곡 Von der Wissenschaft 학문(과학)에 대하여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210.217.224.13/~bipoong/technote/./board/RStrauss/upfile/Richard_Strauss_짜아투스트라는_이렇게_말했다_7악장.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7곡 Der Genesende 평온한 자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210.217.224.13/~bipoong/technote/./board/RStrauss/upfile/Richard_Strauss_짜아투스트라는_이렇게_말했다_8악장.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8곡 Das Tanzlied 무도의 노래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210.217.224.13/~bipoong/technote/./board/RStrauss/upfile/Richard_Strauss_짜아투스트라는_이렇게_말했다_9악장.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9곡. Das Nachtwandler lied 몽유병자의 노래
x-text/html; charset=iso-8859-1" width=300 src=http://pungwol.hubweb.net/music/s/strauss_r23.mp3 showstatusbar="1" volume="0" loop="1" autostart="false" EnableContextMenu="0">
제9곡. Das Tanzlied - Nachtwandlerlied (Dance Song - Night Wanderer's Song : excerpt) Fritz Reiner, cond Chicago Symphony Orch
R. 슈트라우스 / 교향시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작품 30 독일의 철학자 니이체의 동명의 저서를 바탕으로 1896년에 완성한 교향시이다. 철학의 음악화를 시도한 이 작품엔 칭찬과 비난이 솥아졌다. 작곡가는 이 작품에 대해 초인만이 미래를 창조할 수 있다는 니이체의 초인 사상을 시적으로 그렸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 곡은 철학적 음악도 아니고 묘사, 표제 음악도 아니라고 설명했다. 짜라투스트라는 B. C. 6~7세기경 페르시아의 조르아스터교의 교주로 알려진 예언자이며 니이체는 그를 초인으로 보았다.
곡은 오르간이 포함된 대편성이며 서두의 오르간과 트럼펫에 의한 자연의 주제는 영화 주제가로 사용될 만큼 포풀러하다.
카라얀/베를린 PO (DG 83)는 강약의 진폭이 큰 치밀한 조형미를 구축한 연주다. 부드럽고 아름다운 현에 샤프한 관의 대비가 좋고 곡의 부분부분 에서 성격 묘사를 잘 살린 드라마틱한 연주다.
이전의 빈 PO (Dec 59)는 관능미가 뛰어나며 보스코프스키의 솔로 바이 올린이 크게 돋보인 연주이나 다채로운 표현은 전자에 미치지 못했다. 73년 베를린 PO (DG)의 연주도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