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9표차로 발발한 아편전쟁

淸山에 2012. 9. 19. 03:59

 

 

 

 

 

9표차로 발발한 아편전쟁

 


 

 

 1840년 3월 19일 영국 하원.
   중국 정부가 아편을 선적한 영국 선박에 식량과 음료제공을 거부한 사태를 두고 격론이 벌어지고 있었다.  즉각 전쟁 개시를  주장하는 쪽과 평화적 해결을  주장하는 쪽이 맞서 다음달 10일 표결에 들어가기까지 토론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계속됐다. 자본가 집단의 모임인 인도 중국협회의 강력한 압력을 받은 정부와 상원의 웰링턴 공작등은 파병동의안을 가결시키기 위해 하원을 집요하게 설득하고 있었다.


   이때 당시 30세에 불과한  자유당의 글래드스톤이 연단에 올라 좌중을 쏘아보며 연설을 시작했다.
   “중국 영토에 체제하고 있으면서 그 법률에 복종하지 않는 외국인에 대해 중국이 식량과 음료 공급을 거절한 것이 어째서 중국의 죄가 되는지 본인은 잘 모르겠습니다. 정부는 이 전쟁이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 이 작전 행동이 어느 정도까지 확대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어떠한  판단도 내릴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만은 확신을 가지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즉,  그 기원과 원인을 놓고 볼때 이것만큼 부정한 전쟁,  이것만큼 영국을 불명예로 빠뜨리게 될 전쟁을  나는 이제껏 보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광동에 나부끼는 영국기를 볼 때마다  벅찬 감격을 느끼는 것은 그것이 정의의 상징이고 압제에  대한 반항, 공정한 경제 행동을 격려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고귀하신 귀족 파머스턴경(당시  외상, 아편전쟁의 주동자)의  후원 아래 우리 국기가  부끄러운 밀무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중국 연안에서 나부끼고 있습니다. 위풍당당한 영국국기를  볼 때마다 느꼈던 벅찬 감동을 앞으로  다시는 느낄수 없게 될  것을 생각하면 전율스러울 따름입니다.”
  


 

 
의사당 밖에서도 전쟁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평화협회 등 여러 시민단체들이 무력에  의한 해결을 반대했고 맑스도  <뉴욕 데일리 트리뷴>지를 통해 “아편 무역에 비하면  노예 무역은 그래도 인정이  남아 있다”며 영국 정부를 비판했다.


   그러나 외상 파머스턴은 “아편은 술보다 해독이 덜하다”고 강변하면서 “중국인의 도덕심을  회복시켜 주기 위해서라도 군대를  파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워털루 전쟁의 영웅 웰링턴 공작은“50년  공직 생활에서 영국 국기가 광동에서 당한 것과 같은  모욕을 본 일이 없다”며 중국 응징을  열렬히 지지, 의회의 여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결국 온 세계의 주시 속에  4월 10일 실시된 표결에서 파병안은 불과 9표차로 통과되었다. 전 동양인의 운명을 뒤바꿔 놓은  아편 전쟁은 이렇게 어처구니없이 시작된 것이다.


   영국 정부가 이 같은 강한  반대 여론을 무릅쓰고 명분없는 전쟁을 감행한 이유는 무엇일까.
   해답은 바로 당시 중,영간의 무역 상태에서 찾을 수 있다. 1689년 영국이 중국 차를 처음으로 구입해 간 이후로는 차는 중국의  최대 수출품이 되었다. 당시 영국에서는 상류 계층뿐 아니라  노동자까지도 차를 즐겨 마시는 풍속이 확산되어 중국에서 수입하는 상품의 90%를 차가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18세기 말이 되면 차의 평균 수입량은 영국이 중국에  수출하던 3대 상품(모직물,금속,면화)의 수출량과 맞먹었다. 

 

영국 정부는 높은 관세로 차의 수입을 줄이려 했으나 오히려 밀무역만 초래하여 1784년 경감법을 관세를 대폭 내리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1820년대가 되면 중국 차 총생산량의 70~80%가 영국으로 흘러 들어갔다.  이에 비해 영국이 크게 기대했던 상품인 모직물은 중국 시장을 휘어잡지 못하고 있었다. 모직물은 중국인에게는 아직 사치품에 속했기 때문이다. 또한 부유한 사람들도 실크와 털옷을  더 선호했다. 더욱이 중국이 외국에 개항하고  있던 광동은 중국의 남부 지역으로 날씨가 춥지 않았으므로 모직물의 판매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영국은 인도 면화를 새 상품으로 개발하여  모직물의 부진을 만회하려고 했다. 그러나 인도 면화도 1817~19년을 차의 수출액을 휠씬 밑돌았다.  이처럼 영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항상 적자를 면치 못했는데 이에 따라 결제수단이었던 은이 대량으로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는 사태가 벌어졌고 영국의 자본가들은 이를 보고만 있지 않았다.  그들이 인도 면화 대신 새로 개발한 `상품`이 바로 아편이었던 것이다.  인도,중국협회를 비롯한 자본가들이  자신들의 적자를 훌륭해 해소해  주고 있는 아편이 중국 관리에  의해 소각되는 것을 그냥 보고 있을리  없었다. 더 나아가 이들은 이 기회에 아예  중국의 개항장을 북부의 추운 지역으로 확대해 모직물을 팔아 먹을 속샘도 키우게 된 것이다. 그리고 영국 정부는 이에 앞장 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