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李 대통령은 왜 잘한 일도 국민들에게 당당하게 설명하지 못하나?

淸山에 2012. 7. 9. 05:06

 

 

 

 

 

李 대통령은 왜 잘한 일도 국민들에게 당당하게 설명하지 못하나? 
  
趙甲濟    


 
 李明博 대통령은 잘한 일이 많다. 금융위기도 잘 넘겼고, 4大江 정비사업을 잘하였다. 북한정권에 뜯어먹히지 않았다. 한나라당은 지난 해 韓美FTA협정 비준 동의안 처리를 잘하였다. 한일군사정보 보호 협정도 필요한 것이다. 문제는 잘 해놓고 무슨 죄 지은 사람들처럼 행동하거나 옳은 일을 하면서도 당당하게 홍보하지 않고 쉬쉬 하다가 비난을 뒤집어 쓴다는 점이다.
 
 국회에서 최루탄을 던진 자는 영웅적 義擧를 한 것처럼 싸돌아다니는데 잘한 일을 왜 잘하였다고 홍보하지 못하는가?

 

이념부족 때문이다.

 

理念은 '자기 정당성에 대한 확신'이고 '공동체의 利害관계에 대한 自覺'이다. 이념은 敵과 동지, 善과 惡, 진실과 허위를 분별하게 해주어 행동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이념을 별것 아니라고 선언, 스스로 이념무장을 해제한 집단이니 자기 정당성에 대한 확신이 없고, 누가 대한민국이란 공동체의 敵인지 동지인지도 모른다. 잘 해놓고도 언론과 야당이 비판하면 "아 내가 잘못한 거로구나"라고 생각하여 숨을 구멍부터 찾는 꼴이다.
 
 
  6.25 南侵 보고를 받자 마자 "무슨 수를 써더라도 그 개새끼들을 막아야 합니다"라면서 미군 파병을 결심, 한국을 살려준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高卒 학력의 소유자였지만 '위대한 대통령 랭킹 6위'에 올라 있는 '결단의 사나이'이다. 그는 퇴임한 뒤 쓴 '책임이 머무는 곳'(Where The Buck Stops)이란 책에서 성공한 대통령을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은 '좋은 성격'과 역사적 교양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런 요지이다.
 
  <지도력을 양성하거나 가르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거의가 타고나는 것이다. 좋은 대통령과 나쁜 대통령을 가르는 제1 조건은 성격과 역사적 교양이다. 역사적 교양이란, 대통령의 권한에 대한 지식, 우리 정부의 역사에 대한 이해, 무엇이 자유로운 정부를 만드는가에 대한 인식이다. 대통령은 좋은 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전에 모든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다 들어야 한다.
 
  정확한 결정을 하였다고 확신하면 밀고 나가야 한다. 논란꺼리는 피할 수 없고 피할 필요도 없다. 큰 정책에선 논란이 커질수록 유리하다. 왜냐 하면 대통령이 직접 국민들을 상대로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의 입장과 자신의 입장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은 자신이 정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믿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실천해야 하는 사람이다. 대통령이 무엇을 하여서 국민이 손해보는 것보다는 대통령이 꼭 무엇을 해야 할 때 하지 않아서 국민이 손해를 보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점을 알려야 한다. 합리적인 사람들은 항상 올바른 생각과 지도력을 가진 사람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논란이 되는 것은 대통령에게 유리하다. 자신의 생각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할 기회가 생기니까 말이다.>
 
  트루먼은 자유세계에서 지도자의 定義는 '국민들이 하기 싫어하는 일이나 너무 게을러서 피하려고 하는 일들을 하도록 설득하는 사람'이라고 정리하였다.
 
  <그래서 나는 좋은 대통령은 세계에서 으뜸 가는 홍보맨이 되어야 한다는 느낌을 늘 가지고 살아왔다. 대통령은 자신이 하려는 일이 적절한 것이라는 믿음을 온 나라가 공유할 수 있도록 설득해야 한다. 몇 몇 대통령들의 문제는 보통 사람들이 옳은 일은 옳다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점을 무시함으로써 그런 설득 노력 자체를 포기한 점이다. 다른 몇 대통령들은 정책 집행을 함에 있어서 사람들에게 그 정당성을 알리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트루먼이 살아 있다면 李 대통령을 '최악의 홍보맨'이라고 惡評할 것 같다. 트루먼 대통령은 비록 대학교는 다니지 않았으나 어릴 때부터 독서를 통하여 깊은 역사적 교양을 터득하였다고 한다. 이런 人文的 지식이 큰 인물을 만드는 토양이다. 대통령의 필수 과목을 하나만 골라라고 한다면 그것은 역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