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50세 이상이 막판에 대거 투표장에 나갔다!

淸山에 2012. 6. 20. 20:01

 

 

 

 

 

50세 이상이 막판에 대거 투표장에 나갔다!

선관위 투표율 분석을 통하여 본 새누리당 逆轉勝의 비밀.

趙甲濟

지난 4.11 총선이 왜 새누리당의 막판 逆轉勝을 결과하였는가에 대하여 암시를 주는 자료가 발표되었다. 중앙선관위가 어제 공개한 4.11 총선 투표율 분석 통계표이다. 선관위는 투표 2주 전인 지난 3월28일 투표의향을 조사하였다. 50세 이상층은 71.9%가 투표하겠다고 대답하였는데, 이는 2008년의 총선 때보다 3.2%가 줄어든 수치였다. 반면 40代의 투표의향은 18대 총선 때보다 4.5%, 30代는 16.5%, 19~29세층은 6.7%나 높았다. 새누리당 지지층인 50代 이상의 투표율이 낮아지고 反새누리당 여론이 높은 19~49세층의 투표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으로 전문가들은 대체로 새누리당의 참패가 확실하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어제 발표된 투표율 조사를 보면 선거 막판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알게 된다. 50세 이상 유권자들의 실제 투표율은 18대보다 2.1%, 60세 이상은 3.3% 포인트가 늘었다. 40대는 4.7%, 30대는 9.7%, 20대는 13.1% 포인트가 늘었다. 보름 전의 선관위 투표율 增減(증감) 예측치보다 상대적으로 50세 이상은 늘었고, 30대는 줄었으며, 20대는 늘었다. 40대는 비슷하였다. 보수 지지 성향이 높은 50세 이상층이 막판에 투표장에 많이 갔고, 좌파 지지 성향이 높은 30대는 예측보다 덜 갔다. 20대는 예측치보다 훨씬 투표장에 많이 갔으나 20代는 이념성향이 30代보다 우경화되어 있어 이 층의 투표율의 증가가 그대로 민주당-진보당 지지로 전환된 것은 아니다.

민주당-진보당의 종북좌파 연대가 선거운동기간에 보여준 오만-저질-반역의 本性이 50세 이상층을 자극, 투표장으로 많이 가게 만든 반면, 좌파 지지 성향이 강한 30代는 從北좌파의 행태에서 실망감을 느끼고 예상만큼 투표장에 많이 나가지 않았다는 분석을 하게 만든다.

2012년 12월 대통령 선거 때 50세 이상은 전체 유권자의 42%이다. 이 층의 투표율이 높아 실제 투표자 가운데선 50% 前後를 점하게 될 것이다. 국군의 政訓 교육 강화로 20代 군인들이 從北을 싫어하게 된 것은 軍 복무 세대인 20대 남자의 투표 성향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20대가 30대를 따라가지 않고 아버지-할아버지 세대를 따라가면 종북 대통령의 등장은 어려워질 것이다.

50세 이상 유권자들의 투표율이 결정적이다.


1. 조사 개요


가. 조사목적

본 조사는 2012년 4월 11일 실시한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율을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로 분석․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앞으로 실시될 각종 선거의 투표율 제고 등 선거관련 제반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나. 조사 ․ 분석 내용

성별, 연령대별 투표율

선거인 및 투표자의 성별, 연령대별 분포

- 시․도별 분포

- 행정구역 크기(도․농)별 분포


다. 조사방법

모집단 : 전국 13,470개 투표구 / 선거인 40,181,623명

표본수 : 투표구 1,410개 / 선거인 4,132,112명 (전체 선거인의 10.3%)

표본추출방법 : 체계적 무작위 추출법(Systematic Random Sampling)

조사대상 표본은 다음과 같이 4단계를 거쳐 선정됨.
- 제1단계 : 구․시․군선거관리위원회별 투표구를 실제 투표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
- 제2단계 : 구․시․군선거관리위원회마다 전체 투표구 수의 10%를 조사대상으로 산출
- 제3단계 : 전체 투표구를 조사대상 투표구 수로 나누어 체계적인 무작위 추출을 위한
등간격 산출
- 제4단계 : 산출된 등간격 수의 1/2에 해당하는 수를 산출하여 조사대상 최초 투표구로
선정하고 매 등간격 마다의 투표구를 조사대상 투표구로 선정

<예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경우

 

□ 제 1단계 : 실제 투표율 내림차순으로 정렬

No

위원회명

투표구명

선거인수

(A)

부재자수

(B)

일반선거인수

(C=A-B)

투표자수

(D)

투표율

(D/C*100)

1

종로구

무악동제2투

2,119

37

2,082

1,298

62.34

2

종로구

창신제3동제3투

2,388

57

2,331

1,425

61.13

3

종로구

청운동제1투

1,959

40

1,919

1,157

60.29

4

종로구

사직동제3투

2,032

39

1,993

1,182

59.31

5

종로구

삼청동제2투

1,523

28

1,495

869

58.13

6

종로구

청운동제2투

1,496

31

1,465

847

57.82

7

종로구

평창동제4투

2,464

49

2,415

1,373

56.85

8

종로구

삼청동제1투

1,893

22

1,871

1,062

56.76

9

종로구

혜화동제3투

3,160

77

3,083

1,745

56.60

52

종로구

이화동제2투

2,665

46

2,619

1,216

46.43

53

종로구

숭인제2동제2투

2,460

42

2,418

1,096

45.33

54

종로구

숭인제2동제1투

1,640

15

1,625

733

45.11

제 2단계 : 조사대상 투표구수 산출 (540.1 = 5.45개)

제 3단계 : 등간격 산출 (54 ÷ 5 = 10.811)

제 4단계 : 조사대상 최초 투표구 선정과 그 다음 조사대상 투표구 선정

- 최초 투표구 : 11 ÷ 2 = 5.5 6

- 2번째 투표구 : 6 + 11 = 17, 3번째 투표구 : 6 + 11 + 11 = 28,…

- 최종 표본 투표구 : 617283950



2. 투표율 비교분석

가. 실제 투표율과 표본조사 투표율과의 오차

표본조사에 의한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의 전국 투표율은 54.4%로 실제 투표율 54.3%와 0.1%p의 오차가 발생함.


지역별로 오차를 살펴보면 부산, 인천, 울산, 경기, 강원, 경남은 오차가 0.1%p 이내로 낮은 반면, 광주, 전북 지역의 경우 오차가 1.0%p 이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남.

<표 1> 실제 투표율과 표본조사 투표율 비교

(단위:%)

구 분

실제 투표율(A)

표본조사 투표율(B)

(B)-(A)

전 국

54.3

54.4

+0.1

서 울

55.5

55.2

-0.3

소 계(특별시)

55.5

55.2

-0.3

부 산

54.6

54.6

0.0

대 구

52.3

52.5

+0.2

인 천

51.4

51.3

-0.1

광 주

52.7

53.7

+1.0

대 전

54.3

54.8

+0.5

울 산

56.1

55.8

-0.3

세종특별자치시

59.2

58.7

-0.5

소 계(광역시)

53.4

53.6

+0.2

경 기

52.6

52.5

-0.1

강 원

55.8

55.9

+0.1

충 북

54.6

55.3

+0.7

충 남

52.4

52.2

-0.2

전 북

53.6

54.7

+1.1

전 남

56.8

57.2

+0.4

경 북

56.0

56.7

+0.7

경 남

57.2

57.3

+0.1

제주특별자치도

54.5

55.4

+0.9

소 계(도)

54.2

54.5

+0.3

이번 조사의 경우 시․도별 전체 평균 오차가 0.1%p로 최근 실시한 제 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6월 2일)의 오차 0.4%p 보다 다소 낮았음.

나. 선거인수 분석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의 확정된 선거인수는 40,181,623명으로 전체 인구 50,848,706명의 79.0%이며, 선거인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그림 1> 최근 선거의 인구수 및 선거인수 변화


인구수(A)

47,424,300

48,139,782

48,191,877

48,426,757

48,855,598

49,219,516

49,315,006

49,974,331

50,848,706

선거인수(B)

33,482,387

34,744,232

34,991,529

35,596,497

37,064,282

37,653,518

37,796,035

38,851,159

40,181,623

(B)/(A)

70.6%

72.2%

72.6%

73.5%

75.9%

76.5%

76.6%

77.7%

79.0%


선거인의 남녀 구성비는 남자의 비율이 49.4%(2,040,358명), 여자의 비율이 50.6%(2,091,754명)로 나타나 여자의 비율이 다소 높았음.


연령대별 선거인수 비율은 40대가 21.9%(905,166명)로 가장 많았고, 60세 이상 20.7%(854,131명), 30대 20.4%(842,609명), 50대 18.9%(778,942명), 20대 16.4%(676,760명)순으로 나타났으며 19세 유권자는 74,504명으로 전체의 1.8%를 차지함.


<그림 2> 선거인의 성별 분포 <그림 3> 선거인의 연령별 분포

※ 선거인의 성별, 연령별 분포는 표본조사의 선거인 자료에 따름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경기에서 전체 선거인의 23.0%(9,241,648명), 서울이 20.9%(8,387,222명)로 나타나 두 지역이 43.9%를 차지하고 있음.


서울을 포함한 광역시 이상의 선거인수(18,716,648명)가 전체 선거인의 46.6%를 차지하고 있음.


<그림 4>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


다. 선거별 실제 투표율 비교

1) 역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비교

19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율은 54.3%로 18대 선거(46.1%) 대비 8.2%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그림 5> 역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변화

2) 최근 선거간의 투표율 비교

1998년 이후 실시된 각종 선거의 투표율을 분석한 결과 대통령선거의 경우 60% 이상으로 타 선거에 비해 높은 투표율을 보임.


지방선거는 최근 선거에서 투표율이 다소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48.9%→51.6%→54.5%) 있으나, 국회의원 선거는 투표율이 일정한 추세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57.2%→60.6%→46.1%→54.3%).


2010년 5회 지방선거의 투표율은 54.5%, 이번 19대 국회의원 선거의 투표율은 54.3%로 비슷하였음.


<그림 6> 최근 선거의 투표율 변화

4.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율 비교

가. 성별 투표율

이번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의 남자 투표율은 55.7%, 여자 투표율은 53.1%로 남자 투표율이 여자 대비 2.6%p 높은 것으로 나타남.


2002년 대선 이후 모든 선거에서 남자의 투표율이 다소 높은 특징을 보이고 있음.


<그림 7> 최근 선거의 성별 투표율 변화



나. 연령대별 투표율

연령대별 투표율은 60세 이상이 68.6%로 가장 높고, 20대 후반이 37.9%로 가장 낮았음. 20대 후반이후 연령대가 높을수록 투표율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임.


한편 20대의 경우, 20대 전반이 20대 후반보다 높은 투표율을 보이고 있음. 이는 20대 전반 군 복무자의 부재자투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처음으로 선거권이 부여된 19세의 투표율은 47.2%로 투표율이 가장 낮은 연령대인 20대 후반(37.9%)보다 9.3%p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8> 연령대별 투표율


이번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연령대별 투표자수 비율을 살펴보면, 60세 이상(26.1%)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50대(21.6%), 40대(21.2%), 30대(17.0%) 순으로 나타남. 선거인수 비율은 40대가 21.9%로 가장 높았으나, 투표자수 비율은 60세 이상(26.1%)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됨.


<그림 9> 연령대별 선거인수/투표자수 비율 비교


제18대 국회의원선거와 비교시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투표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19세(33.2%→47.2%), 20대 전반(32.9%→45.4%), 20대 후반(24.2%→37.9%) 등 젊은 층의 투표율이 대폭 상승하였음.



20대, 30대 등 저연령층의 경우 투표율이 높은 대통령선거와 타 선거간의 투표율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반면, 60세 이상의 고연령층의 경우 선거별 투표율이 70% 내외로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10> 최근 선거의 연령대별 투표율 변화

19세

20대 전반

20대 후반

30대 전반

30대 후반

40대

50대

60세 이상

‘12 19대 국선

47.2

45.4

37.9

41.8

49.1

52.6

62.4

68.6

‘10 5회 지선

47.4

45.8

37.1

41.9

50.0

55.0

64.1

69.3

‘08 18대 국선

33.2

32.9

24.2

31.0

39.4

47.9

60.3

65.5

‘07 17대 대선

54.2

51.1

42.9

51.3

58.5

66.3

76.6

76.3

‘06 4회 지선

37.9

38.3

29.6

37.0

45.6

55.4

68.2

70.9

‘04 17대 국선

-

46.0

43.3

53.2

59.8

66.0

74.8

71.5

‘02 16대 대선

-

57.9

55.2

64.3

70.8

76.3

83.7

78.7


다. 지역별 투표율

1) 시도별 투표율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율은 세종자치시를 포함한 시 단위 지역 투표율이 54.3%, 9개 도 단위 지역의 투표율이 54.2%로 비슷하게 나타남.


시 단위 지역 중에는 세종특별자치시가 59.2%로 가장 높았고, 인천이 51.4%로 가장 낮았음.


9개 도지역 중에서는 경남이 57.2%로 가장 높았고, 충남이 52.4%로 가장 낮았음.

<그림 11> 시도별 투표율


지난 18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율 대비 19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율은 모든 시도에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부산(42.9%→54.6%), 광주(42.4%→52.7%)는 10%p 이상 상승하였음.

<표 2> 최근 선거의 시도별 투표율 변화

(단위:%)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2

19대 국선

55.5

54.6

52.3

51.4

52.7

54.3

56.1

59.2

52.6

55.8

54.6

52.4

53.6

56.8

56.0

57.2

54.5

‘10

5회 지선

53.9

49.5

45.9

50.9

49.8

52.9

55.1

-

51.8

62.3

58.8

56.5

59.3

64.3

59.4

61.8

65.1

‘08

18대 국선

45.8

42.9

45.1

42.5

42.4

45.3

45.8

-

43.7

51.5

49.3

48.2

47.5

50.0

53.1

48.3

53.5

‘07

17대 대선

62.9

62.1

66.8

60.3

64.3

61.9

64.6

-

61.2

62.6

61.3

60.3

67.2

64.7

68.5

64.1

60.9

‘06

4회 지선

49.8

48.5

48.5

44.3

46.3

49.4

52.8

-

46.7

58.7

54.7

55.8

57.9

64.3

61.5

57.8

67.3

‘04

17대 국선

62.2

61.9

59.3

57.4

60.2

58.9

62.0

-

59.7

59.7

58.2

56.0

61.2

63.4

61.5

62.3

61.1

‘02

16대 대선

71.4

71.2

71.1

67.8

78.1

67.6

70.0

-

69.6

68.4

68.0

66.0

74.6

76.4

71.6

72.4

68.6


2)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행정구역 크기별로 투표율을 살펴보면 면지역이 58.7%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특별시로 55.2%로 나타남. 그 외 광역시(53.6%), 읍지역(53.5%), 중소도시(53.3%)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표 3> 최근 선거의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구분

전국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12

19대 국선

54.4

55.2

53.6

53.3

53.5

58.7

‘10

5회 지선

54.9

53.8

50.2

54.2

60.5

66.5

‘08

18대 국선

46.3

46.0

43.7

45.1

47.9

55.1

‘07

17대 대선

63.2

62.9

63.2

62.0

63.8

66.1

‘06

4회 지선

52.1

49.9

48.0

49.2

59.6

66.7

‘04

17대 국선

61.1

62.4

60.4

60.3

59.8

63.1

‘02

16대 대선

70.8

71.4

70.7

70.3

69.5

72.3


라.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성별․연령대별 투표율의 경우, 남자 60세 이상이 76.4%로 가장 높은 반면, 남자 20대 후반이 36.3%로 가장 낮게 나타남.


남자 투표율의 경우 20대 후반이 36.3%로 매우 낮은 투표율을 보인 가운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투표율도 점차 높아짐.


여자의 경우에도, 20대 후반이 39.5%로 가장 낮고, 60세 이상이 62.7%로 가장 높아 남자의 경우와 비슷한 특성을 보임.


19세와 20대 전반, 40대, 50대, 60세 이상에서는 남자 투표율이, 20대 후반과 30대의 경우 여자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남자 20대 전반(50.0%)의 경우 군 복무로 인한 부재자투표의 영향으로 20대 전반 여자(40.4%), 20대 후반 남자(36.3%)에 비해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임.

<그림 12> 최근 선거의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남자

55.7

50.6

50.0

36.3

39.9

47.4

53.2

64.2

76.4

여자

53.1

43.4

40.4

39.5

43.7

50.8

52.1

60.5

62.7

전체

54.4

47.2

45.4

37.9

41.8

49.1

52.6

62.4

68.6


제18대 국회의원선거 대비 모든 성/연령대별에서 1%p이상 투표율이 증가한 가운데, 여자 20대전반(+16.3%p), 여자 19세(+16.1%p)에서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40대 이상 장․노년층 대비 30대이하 연령층에서 투표율 증가가 두드러졌음.


<표 4> 최근 선거의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변화

(단위:%)

남자

여자

19세

20대

전반

20대

후반

30대

전반

30대

후반

40대

50대

60세

이상

19세

20대

전반

20대

후반

30대

전반

30대

후반

40대

50대

60세

이상

‘12

19대 국선

50.6

50.0

36.3

39.9

47.4

53.2

64.2

76.4

43.4

40.4

39.5

43.7

50.8

52.1

60.5

62.7

‘10

5회 지선

51.2

50.8

34.9

38.8

46.7

54.2

64.9

76.3

43.1

40.3

39.5

45.1

53.3

55.9

63.4

64.0

‘08

18대 국선

38.6

40.9

23.4

29.6

38.9

49.6

63.1

74.3

27.3

24.1

25.0

32.5

40.0

46.1

57.5

59.1

‘07

17대 대선

55.2

55.6

39.9

47.9

56.2

66.0

77.3

83.3

53.1

46.2

46.0

54.7

60.8

66.7

75.8

71.2

‘06

4회 지선

41.3

44.8

27.4

33.7

43.0

54.8

68.9

78.7

34.2

31.3

31.9

40.4

48.3

56.1

67.5

65.4

‘04

17대 국선

-

52.6

41.1

51.5

60.0

67.5

77.2

80.7

-

39.0

45.6

54.9

59.7

64.4

72.3

65.0

‘02

16대 대선

-

63.1

51.9

61.5

69.6

76.5

84.7

85.6

-

52.3

58.6

67.1

72.0

76.2

82.7

73.9

마. 성별 ․ 시도별 투표율

이번 제 19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을 성별․시도별로 분석해 보면 모든 지역에서 남자가 여자 보다 투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특히, 제주(5.0%p), 강원(4.9%p), 충남(4.8%p) 지역의 성별 격차가 컸음.

남, 녀 모두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로 남․녀 각각의 투표율은 59.4%, 58.1%였음.


<그림 13> 성별 ․ 시도별 투표율


<표 5> 성별 ․ 시도별 투표율 비교

(단위:%)

구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남자

(A)

55.7

56.6

54.9

53.0

52.3

55.0

56.6

57.7

59.4

53.9

58.4

57.4

54.6

56.7

58.7

57.2

57.8

57.9

여자

(B)

53.1

53.9

54.3

52.1

50.2

52.5

53.1

53.9

58.1

51.1

53.5

53.3

49.8

52.8

55.7

56.2

56.8

52.9

격차

(A-B)

+2.6

+2.7

+0.6

+0.9

+2.1

+2.5

+3.5

+3.8

+1.3

+2.8

+4.9

+4.1

+4.8

+3.9

+3.0

+1.0

+1.0

+5.0


성별 투표율 상위 3개 지역을 꼽아보면, 남자의 경우에는 세종(59.4%), 전남(58.7%), 강원(58.4%)으로 나타났고, 여자의 경우에는 세종(58.1%), 경남(56.8%), 경북(56.2%)으로 나타남.


반면 투표율 하위 3개 지역은, 남자의 경우 인천(52.3%)이 가장 낮았고, 이어 대구(53.0%), 경기(53.9%) 순이었음. 여자의 경우 가 가장 낮았고, 충남(49.8%), 인천(50.2%), 경기(51.1%) 순으로 낮게 나타남.


<표 6> 성별 투표율 상․하위 3개 지역

(단위:%)

투표율 상위 3개 지역

투표율 하위 3개 지역

남자 전체

(55.7)

여자 전체

(53.1)

남자 전체

(55.7)

여자 전체

(53.1)

1위

세종(59.4)

세종(58.1)

인천(52.3)

충남(49.8)

2위

전남(58.7)

경남(56.8)

대구(53.0)

인천(50.2)

3위

강원(58.4)

경북(56.2)

경기(53.9)

경기(51.1)



바. 성별 ․ 행정구역 크기별(도 ․ 농별) 투표율

이번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투표율을 성별․ 행정구역 크기별로 분석해 보면, 면단위지역과 특별시의 경우 전국 평균 대비 남녀 모두 투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14> 최근 선거의 성별 ․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제 18대 국회의원선거와 비교했을 때 모든 행정구역 단위에서 남녀 모두 투표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한편 제 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비교했을 시에는 특별시와 광역시의 경우 남녀 모두 투표율이 상승한 반면, 도 단위 지역은 남녀 모두 감소한 특징을 보임.

<표 7> 최근 선거의 성별 ․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변화

(단위:%)

구 분

전체

특별시

광역시

소계

중소도시

‘12 19대 국선

남자

55.7

56.6

54.5

55.9

54.9

55.0

59.5

여자

53.1

53.9

52.7

53.0

51.7

52.0

57.8

‘10 5회 지선

남자

55.1

53.9

50.1

57.9

54.6

60.6

66.3

여자

54.7

53.6

50.2

57.3

53.8

60.3

66.7

‘08 18대 국선

남자

48.4

48.0

45.9

49.8

47.3

50.2

56.3

여자

44.3

44.1

41.5

45.8

42.9

45.6

54.0

‘07 17대 대선

남자

63.3

62.9

62.9

63.6

62.4

64.3

66.4

여자

63.1

62.9

63.5

62.9

61.7

63.4

65.9

‘06 4회 지선

남자

52.3

49.8

48.1

55.1

49.8

59.8

66.3

여자

51.9

50.1

48.0

54.5

48.7

59.5

67.2

‘04 17대 국선

남자

63.0

64.2

62.1

63.0

62.6

61.9

64.7

여자

59.2

60.7

58.8

58.8

58.0

57.7

61.5

‘02 16대 대선

남자

71.3

71.8

70.9

71.4

71.1

70.3

72.8

여자

70.3

71.0

70.6

69.9

69.5

68.8

71.8



사. 연령대별 ․ 행정구역 크기별(도농별) 투표율

연령대별․행정구역 크기별로 분석해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편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40대이상의 경우 면단위 지역의 투표율이 가장 높았으나 30대 이하 층에서는 면단위 지역의 투표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됨.



<그림 15> 최근 선거의 연령대별 ․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제 18대 국회의원선거와 비교했을 때 모든 행정구역 단위에서 연령대 모두 투표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한편 제 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비교했을 시에는 특별시와 광역시의 경우 연령대 모두 투표율이 상승한 반면, 도 단위 지역은 연령대 모두 감소한 특징을 보임.




<표 8> 최근 선거의 연령대별 ․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변화

(단위:%)

구분

전국

특별시

광역시

소계

중소도시

‘12

19대 국선

19세

47.2

49.6

51.7

44.2

47.0

38.0

36.8

20대

41.5

46.2

42.6

38.9

40.8

35.4

33.5

30대

45.5

49.0

43.8

44.7

46.3

41.7

40.0

40대 이상

61.0

60.6

59.9

61.7

59.8

61.5

66.2

‘10

5회 지선

19세

47.4

49.3

47.7

46.5

46.8

44.8

46.6

20대

41.1

43.6

38.3

41.4

40.9

41.2

43.5

30대

46.2

46.8

41.5

48.3

47.6

50.6

49.4

40대 이상

62.4

60.3

57.1

65.6

61.4

68.8

74.2

‘08

18대 국선

19세

33.2

35.5

34.7

31.6

33.0

28.2

29.6

20대

28.1

30.5

27.3

27.4

27.8

26.0

27.3

30대

35.5

36.2

32.8

36.5

36.4

36.9

36.9

40대 이상

57.1

56.8

54.0

58.6

55.5

59.0

64.8

‘07

17대 대선

19세

54.2

57.8

56.5

51.7

54.0

48.3

46.0

20대

46.6

49.9

48.0

44.3

45.7

43.1

40.2

30대

55.1

54.4

55.2

55.3

55.6

56.7

52.2

40대 이상

72.4

72.1

72.2

72.6

71.4

73.1

75.0

‘06

4회 지선

19세

37.9

40.9

38.6

36.3

35.7

36.5

38.4

20대

33.8

35.3

32.1

33.9

31.9

37.3

38.4

30대

41.4

40.0

37.8

43.7

40.9

49.6

50.8

40대 이상

63.8

61.3

59.0

66.8

60.7

71.3

77.0

‘04

17대 국선

20대

44.7

50.6

45.4

41.4

43.4

39.4

36.2

30대

56.5

57.8

55.5

56.4

57.6

55.2

51.3

40대 이상

69.9

70.3

69.3

70.1

69.1

69.1

72.5

‘02

16대 대선

20대

56.5

61.5

57.3

53.6

55.9

51.0

48.5

30대

67.4

66.9

67.2

67.6

68.5

66.2

65.0

40대 이상

78.9

78.8

78.9

79.0

78.1

78.5

81.1


아. 성별 ․ 연령대별 ․ 시도별 투표율

19세 남자 중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부산(57.7%),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41.5%)로 나타났고, 19대 여자 중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광주(53.4%)인 반면,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27.0%)으로 나타남.

20대 층에서는 남녀 모두 서울 투표율이 가장 높은 반면, 충남 투표율이 가장 낮았음.

30대 층에서는 남자의 경우 서울(48.5%)이 가장 높았고, 경북(36.4%)이 가장 낮은 반면, 여자의 경우 울산(49.8%)이 가장 높고, 세종(41.7%)이 가장 낮았음.

40대 층에서는 남녀 모두 세종시가 가장 높고 인천이 가장 낮게 나타남.

<표 9> 성별 ․ 연령대별 ․ 시도별 투표율

가장 낮은 투표율

가장 높은 투표율 (단위:%)

구분

19세

20대

30대

40대이상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전국

47.2

50.6

43.4

41.5

43.0

39.9

45.5

43.7

47.3

61.0

63.7

58.5

서울

49.6

48.9

50.4

46.2

47.1

45.4

49.0

48.5

49.6

60.6

63.2

58.2

부산

54.0

57.7

49.3

44.0

45.1

42.8

43.7

40.8

46.6

60.5

62.0

59.2

대구

50.9

53.9

47.1

40.7

42.6

38.5

40.9

38.2

43.6

59.3

60.9

57.9

인천

50.1

51.1

49.1

42.1

42.4

41.7

42.4

40.1

44.8

57.1

59.9

54.5

광주

54.7

55.9

53.4

43.1

44.3

41.8

46.4

44.1

48.7

59.5

62.7

56.7

대전

51.2

53.8

48.3

42.3

43.9

40.6

46.2

44.5

47.8

61.6

65.0

58.5

울산

47.9

56.4

37.0

43.5

46.6

39.7

47.2

44.9

49.8

63.1

66.4

59.8

세종

35.5

41.5

27.5

38.7

39.1

37.9

43.1

44.2

41.7

66.4

68.2

64.6

경기

47.9

49.7

46.0

41.7

42.5

41.0

46.4

44.7

48.2

57.9

60.9

55.0

강원

35.8

42.8

27.0

36.2

40.6

30.8

43.3

43.1

43.5

63.7

67.2

60.4

충북

44.3

51.0

36.5

38.0

41.0

34.5

44.2

42.7

45.7

63.4

66.9

60.2

충남

38.2

44.9

30.4

32.5

34.9

29.7

40.6

38.7

42.8

60.8

65.3

56.5

전북

45.4

48.7

41.4

37.6

40.0

35.0

43.5

42.0

45.0

61.8

65.5

58.5

전남

36.8

45.2

28.2

36.0

39.6

31.7

44.4

42.4

46.7

65.2

68.0

62.6

경북

38.4

47.3

27.3

33.8

36.8

30.1

39.1

36.4

42.2

66.1

68.0

64.4

경남

46.2

54.9

36.1

40.5

42.6

37.9

46.0

42.7

49.6

65.2

67.2

63.5

제주

45.5

50.8

39.0

39.0

43.3

34.6

46.3

46.3

46.4

62.6

66.1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