寶物 巡禮
寶物 1호 서울 興仁之 門 (東大門)
동대문이라고도 부르는데,
조선 태조 7년(1398)에 완성하였다가
단종 원년(1453)에 고쳐 지었고,
지금 있는 문은 고종 6년(1869)에 새로 지은 것이다.
寶物 402호 水原 八達門
수원성은 조선 정조 18년(1794)에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양주에서 수원으로 옮기면서 짓기 시작하여
정조 20년(1796)에 완성한 성곽이다.
중국성의 모습을 본뜨기는 했지만 과학적인 방법으로
성을 쌓아 훨씬 발달한 모습을 하며
한국 성곽을 대표하는 뛰어난 유적이다.
寶物 308호 全州 豊南門
옛 전주읍성의 남쪽문으로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1734)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 불렀다.
‘풍남문(豊南門)’이라는 이름은
영조 43년(1767)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1768) 다시 지으면서 붙인 것이다.
寶物 322호 濟州市 觀德亭
관덕(觀德)이란 문무의 올바른 정신을 본받기 위해
‘사자소이관성덕야(射者所以觀盛德也)’에서 따온 말로,
평소에 마음을 바르게 하고 훌륭한 덕을 쌓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누정 건물은 『탐라지』에 의하면
조선 세종 30년(1448) 병사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웠다.
성종 11년(1480) 목사 양찬이 고친 뒤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쳤다.
寶物 147호 密陽 嶺南樓
이 건물은 조선시대 밀양도호부 객사에 속했던 곳으로
손님을 맞거나 휴식을 취하던 곳이다.
고려 공민왕 14년(1365)에 밀양군수 김주(金湊)가
통일신라 때 있었던 영남사라는 절터에 지은 누로,
절 이름을 빌어 영남루라 불렀다.
그 뒤 여러 차례 고치고 전쟁으로 불탄 것을 다시 세웠는데,
지금 건물은 조선 헌종 10년(1844)
밀양부사 이인재가 새로 지은 것이다.
寶物 165호 江陵 烏竹軒
신사임당(1504∼1551)과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유서 깊은 집이다.
사임당 신씨는 뛰어난 여류 예술가였고
현모양처의 본보기가 되는 인물이며,
신씨의 아들 율곡 이이는
조선시대 퇴계 이황과 쌍벽을 이루는 훌륭한 학자였다.
오죽헌은 조선시대 문신이었던 최치운(1390∼1440)이 지었다.
寶物209호 懷德 同春堂 (대전 대덕구)
조선 효종 때 대사헌, 이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1606∼1672)선생의 별당(別堂)이다.
늘 봄과 같다는 뜻의 동춘당(同春堂)은 그의 호를 따서 지은 것으로
이곳에 걸린 현판은 송준길 선생이 돌아가신 6년 후
숙종 4년(1678)에 우암 송시열이 쓴 것이다.
寶物210호 陶山書院 典敎堂 (安東市)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그 중 전교당은 유생들의 자기수양과
자제들의 교육을 하는 강당으로서,
전교당의 앞 마당 좌우에는 유생들이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자리하고 있다
寶物 211호 陶山書院 尙德祠 附正門 및 四周土병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1501∼1570)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이황 선생은 조선 중기의 유명한 문신으로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치고
평생을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쓴 분이다.
도산서원 제일 뒤쪽에 있는 상덕사는 이황 선생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 선조 7년(1574)에 지었고 지금 있는 건물은 1969년 수리한 것이다.
寶物213호 三陟 竹西樓
이 건물은 고려 충렬왕 1년(1275)에
대학자 이승휴 선생이 세웠다.
그 뒤 조선 태종 3년(1403)에 삼척부의 수령인 김효손이
고쳐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름은 누의 동쪽으로 죽장사라는 절과
이름난 기생 죽죽선녀의 집이 있어 ‘죽서루’라 하였다고 한다.
寶物 835호 雲門寺 大雄寶殿
신라시대에 세운 운문사는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쳤는데
지금의 절은 조선 숙종 44년(1718)에 있었던
네 번째 보수 때의 것이다.
대웅보전도 이때 세운 것으로 추정한다
寶物 400호 仙岩寺 昇仙橋
선암사의 부도(浮屠)를 지나 경내에 이르면
시냇물을 건너야 되는데
그 건널목에 놓인 다리가 승선교이다.
시냇물의 너비가 넓은 편이라서 다리의 규모도 큰 편인데,
커다란 무지개 모양으로 아름답게 놓여있다.
寶物214호 江陵 文廟大成殿
강릉향교는 옛 성현께 제사를 드리고 학문을 갈고 닦는 곳으로,
성균관을 제외한 지방 향교로는 규모가 가장크다
고려 충선왕 5년(1313) 강릉 존무사(存撫使)였던 김승인이 세웠다
寶物 281호 廣寒樓 (전북 南原市)
이 건물은 조선시대 이름난 황희정승이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처음엔 광통루(廣通樓)라 불렀다고 한다.
광한루(廣寒樓)라는 이름은
세종 16년(1434) 정인지가 고쳐 세운 뒤 바꾼 이름이다.
지금 있는 건물은 정유재란 때 불에 탄 것을
인조 16년(1638) 다시 지은 것으로 부속건물은 정조 때 세운 것이다.
춘향전의 무대로도 널리 알려진 곳으로
넓은 인공 정원이 주변 경치를 한층 돋구고 있어
한국 누정의 대표가 되는 문화재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寶物 414호 安東市 忠孝堂
조선 중기 이름난 문신이었던
서애 유성룡(1542∼1607) 선생의 집이다.
유성룡 선생은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치고 임진왜란 때에는
영의정으로 전쟁의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는데
많은 공헌을 한 분이다.
선생이 쓴『징비록』과『서애집』은 임진왜란사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자료로도 평가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