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대구문만 잘 알면 한문 절반을 아는 것이다

淸山에 2011. 10. 29. 04:59

 


 
 
 
대구문만 잘 알면 한문 절반을 아는 것이다
 
 
대구문
 
어떤 구절이 서로 대립을 이루는 대구문은 우리말에도 쓰이고 영어에도 쓰이지만, 특히 한문에 두드러지게 쓰인다. 이 대구문만 잘 알아도 한문의 절반은 알았다고 할 정도이다.
먼저 대구가 어떤 것인지 아래의 예문을 보라.

a. 善男 善女. (착한 남자와 착한 여자.)
b. 富益富, 貧益貧. (부유할수록 부유하고 가난할수록 가난하다.)
c. 少年易老, 學難成. (소년은 늙기는 쉽고, 학문은 이루기는 어렵다.)
 
대구를 이루는 대구문의 사이는 의미상 유사, 반대, 연결 등의 관계가 성립된다.
그래서 한문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이 대구문이 어떻게 쓰였나를
판단함이 상당히 중요하다.
  
a. 君子重義, 小人重利.
(군자는 의를 중히 여기고 소인은 이익을 중히 여긴다.)
b. 君子亦不厭富貴, 小人又不辭富貴.
(군자도 부귀를 싫어하지 않고 소인도 부귀를 마다하지 않는다.)
 
군자와 소인이 반대되는 개념이니까 위의 a 문장의 대구문이 서로 반대됨을 쉽게 알 수
 있는데, b문장의 대구문은 서로 유사하여 군자와 소인처럼 서로 반대되는 단어가 주체
(주어)로 쓰이는 대구문이 서로 반드시 반대되는 의미로 쓰인다고 고정관념을
가졌다면 혼란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대구문이 어떻게 쓰였는가는
그 대구문 전체를 보아야지 몇 단어만 보아서는 안 된다.
 
 
a. 衆男集美女, 蜂蝶集花也. (많은 남자가 미녀에게 모여들고, 벌과 나비는 꽃에 모여든다.)
a-1. 衆男集美女, 譬若蜂蝶集花. (많은 남자가 미녀에게 모여드는 것은 비유하면
벌과 나비가 꽃에 모여드는 것과 같다.)

그리고 딱히 위의 a-1 문장처럼 대구문이라고 할 수는 없어도, 한문에는 대구문 비슷한
것이 많아, 앞뒤 구절의 의미 관계를 잘 따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위의 a-1 문장은 a 문장처럼 대구를 이루는 것은 아니나, 앞구절의 의미를 잘 몰라도,
뒤구절의 의미를 참고하여, 그 의미를 알아낼  수 있디. 또 뒤구절의 의미를 모를 경우에는 앞구절의 의미를 참고하여, 뒤구절의 의미를 유추해낼 수 있다. 
 
그리고  a 문장은 대구를 이루는 표현이 쓰이고, a-1 문장은 비유적인 표현이 쓰여서,
겉보기에 문장의 형태는 달라 보이나, 두 문장의 의미는 비슷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