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野性을 잃은 거란 貴族 (11) - 鄭淳台

淸山에 2011. 9. 22. 15:26

 


 
 
野性을 잃은 거란 貴族
제11장 여진족의 擡頭: 거란은 北만주 松花江 유역에 산출되는 砂金에 눈독을 들였는데, 이것이 여진인의 민족적 자각을 자극했다.
中國 史上 처음으로 ‘近代’를 호흡했던 나라. 敵에게 돈을 바치고 平和를 사려다가 결국 비참하게 패망한 나라. ‘남’의 힘을 빌려 敵을 죽이려는 以夷制夷(이이제이)와 遠交近攻(원교근공)을 좋아하다가 輕蔑(경멸)당한 나라. 富國强兵을 위한 개혁을 시도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지만, 기득권층의 代案 없는 반대에 부딪쳐 不毛의 당파싸움만 일삼았던 나라. 끝내는 風流天子가 등장해, 든든한 인프라는 깔지 않고 國都와 궁궐의 디자인에만 골몰했다가 野性에 불타는 北方의 騎馬民族 국가들의 ‘밥’이 되었던 나라. 그것이 오늘의 韓國에 던지는 敎訓.
鄭淳台
鄭淳台의 北宋 기행-開封/‘경제·문화大國’ 北宋 - 그들은 왜 ‘야만’이라 경멸했던 騎馬民族에게 능욕을 당했던가

키타이(거란) 제국은 만주로부터 몽골 전역에 걸쳐 광대한 영토를 보유하고, 남쪽 宋朝와 무역을 하는 이외에도 中央아시아의 투르크계 諸國과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래서 長城 이남에 중국식 성곽을 갖추고, 중국식 정부를 설치하여, 王公의 생활이 사치에 흐르게 되면 거란의 官·私 경제는 점차 궁핍해졌다. 광대한 영토에도 불구하고 자원이 빈약했기 때문이다.

이를 보충하기 위해 거란은 북만주 松花江 유역에 산출되는 砂金에 눈독을 들였지만, 이것은 오지에 사는 여진인의 민족적 자각을 자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즉, 거란의 관리는 여진의 조공품인 名鷹(명응: 海東靑)을 징수한다는 명목으로 여진 부족의 주거지에 들어가 사금 헌납을 강제했기 때문에 여진족은 단결하여 거란의 지배에 반항하게 되었다.

국제정세는 실로 宋에게 유리했다. 그러나 바로 그 유리함 때문에 北宋이 멸망당하는 비운을 맞게 된다. 宋의 숙적은 거란이었다. 거란에 빼앗긴 燕雲 16州의 회복은 宋 건국 이래 비원이었다. 悲願(비원) 실현의 好機(호기)가 도래했다. 그때 宋의 황제가 휘종이 아니고 좀 英明한 군주였다면 그 호기를 옳게 이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때까지 거란에 착취당했던 만주의 女眞族이 두드러지게 대두했음은 앞에서 썼다. 1101년, 거란에서는 道宗이 병사했다. 도종은 47년간 재위했지만, 그의 治世에는 파벌사움이 치열했다. 같은 시기에 宋에서는 신법·구법의 싸움이 있었던 것처럼 거란에서는 國粹派(국수파)와 漢化派(한화파)의 당쟁이 끊임없이 전개되었다.

宋으로부터 취득하고 있던 歲幣(세폐)는 거란을 타락시키는 역할을 하는 一面(일면)도 없지 않았다. 초원에서 유목하던 尙武(상무)의 거란족이 비단 옷을 입고 차를 마심으로써 점차로 野性(야성)을 잃고 있었던 것이다. 燕雲 16州는 漢族의 거주구이지만, 자국의 영토 내에 漢文化圈(한문화권)을 껴안고 있는 것으로서 그 문화적 영향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道宗의 황태손인 耶律延禧(야율연희)가 즉위했는데, 그가 곧 天祚帝(천조제)이다. 천조제는 유흥에 골몰했으며, 특히 수렵을 좋아했다. 정치는 간신들에게 맡긴 것도 휘종과 비슷했다.

반면, 신흥 여진은 野性(야성)을 잃지 않았다. 그들의 용맹성은 일찍부터 “여진사람, 1만 이면 對敵할 수 없다”는 속담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그들이 부락 단위의 생활을 한다면 컨트럴이 가능하나 단결하면 자못 위협적 세력이 될 것이라는 점은 거란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城塞(성새)를 설치하는 등의 대비책과 동시에 여진족의 수장을 절도사로 임명하는 등의 회유책도 구사했다.


기사본문 이미지
女眞文字와 金의 초대 황제 阿骨打



그러나 阿骨打(아골타)가 등장하여 부족을 단결시키면 여진은 대번에 强盛(강성)하게 되었다. 1114년, 아골타는 여진족을 규합·거병하여 현재 吉林의 拉林河(납림하)에서 거란軍을 격파했다. 거병 익년(1115년) 1월, 아골타는 金의 초대 황제로 즉위했다. 국호를 金이라 했다.

국호를 金(금)이라 한 것은 여진의 按出虎水(안출호수)에서 砂金(사금)이 채취되어 그것이 부족의 유력한 자금원이 되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그들이 新羅金 씨 函普(함보)의 후손이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필자는 두 가지 뜻을 다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아골타는 고려에 대해 형제지국을 맺자고 제의했으나 고려는 이를 거절했다. 이런 金의 역사를 한국사의 外史에라도 포함시키지 못한 것은 그 후 고려·조선의 국력이 약했기 때문이었다.

거란의 천조제는 70만 대군을 동원하여 친정했다. 그러나 금의 太祖 아골타는 이것을 混同江(혼동강)에서 迎擊(영격)하여 패퇴시켰다. 遼陽府(요양부)에서 黃龍府(황룡부)에 이르는 遼東(요동)의 땅은 모두 金의 판도가 되고, 거란에 멸망당했던 渤海國(발해국)의 유민들도 대거 金의 깃발 아래 모여들었다.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섬긴 女眞—그 急성장 과정

기사본문 이미지
漢字와 비슷한 女眞文字
<金史> 등에 따르면 完顔阿骨打(완안아골타)는 원래 新羅 金씨로서 만주 땅으로 넘어간 金함보의 6代孫이다. 한반도 동북의 여진족들은 그들이 東아시아의 覇權(폐권)을 장악하기 전에는 新羅를 계승한 高麗를 부모의 나라로 섬겼다. 여기서 여진족의 발흥을 짚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고려가 거란과 여러 차례 싸우는 동안 滿洲(만주) 북쪽 오지에서는 여진족의 세력이 커지기 시작했다. 여진족은 형세가 궁하면 고려에 朝貢(조공)을 바치고, 여러 가지로 도움을 받았다. 그러다가 조금 세력이 커지면 변방을 침략하는 귀찮은 존재였다.

肅宗(숙종)이 즉위하자 여진 추장 盈歌(영가)는 자주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쳤다. 그런데 숙종 8년(1103) 醫員(의원) 한 사람이 여진 땅에 붙들려 있다가 풀려나 돌아왔다고 하면서 여진이 고려를 침입할 것이라고 알려 주었다. 숙종 9년(1104) 정월, 東여진의 추장 烏雅束(오아속)의 부대가 내전을 치르면서 定州 관문 밖에 군사를 집결시키기에 이른다.

이에 고려 조정은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문하시랑 평장사 林幹(임간)을 東北面 병마사로 임명하여 여진군을 물리치도록 했다. 하지만 임간은 여진군과의 싸움에서 대패하고 말았다. 步兵 중심의 고려군이 騎兵 중심의 여진군에게 野戰(야전)에서 이긴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었다. 고려의 허점을 알게 된 여진은 더욱 날뛰며 우리 변방에 대한 약탈을 자행했다.


기사본문 이미지
<金史> 世紀. 卷一의 冒頭부분



하지만 고려 조정은 敗將 임간을 탄핵하고, 尹瓘(윤관)을 東北面 行營兵馬都統으로 임명하여 다시 여진과 대적하게 했다. 그러나 윤관 역시 여진군과 싸워 많은 병력을 잃고 그들과 和議조약을 맺는 것으로 일단 전운을 잠재웠다. 윤관은 歸朝(귀조)하여 숙종에게 아뢰었다.

“臣이 지난번 여진에게 패한 것은 그들이 모두 말을 탄 騎兵이고, 우리는 步兵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조정에서는 곧 別武班(별무반)이라는 제도를 신설했다. 無보직 관리로서 말을 가진 사람, 심지어 노예라도 말을 가진 사람은 神騎軍(신기군)이 되고, 말이 없는 사람은 步兵에 편입되었다. 또한 승려를 선발하여 降魔軍(항마군)이라는 별도 부대로 편성했다.

숙종 10년(1105) 9월 왕은 병사했다. 숙종은 눈을 감으면서 태자 俁(우)에게 여진 정벌을 기어이 이룩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왕위에 오른 睿宗(예종)은 父王의 유언에 따라 여진 정벌을 첫째 목표로 삼았다. 예종은 뛰어난 족장 아골타의 영도 아래 여진의 성장이 가속화하고, 반대로 遼제국의 힘이 약해지자 그 틈을 이용하여 서쪽으로는 遼에 내주었던 압록강변의 두 성을 되찾고, 동쪽으로는 두만강으로 진출하려고 기도했다. 이러한 영토 확장 계획은 2년 뒤의 북벌을 통해 구체화된다.


高麗, 여진에게 9城을 반환

예종 2년(1107) 윤10월, 고려 조정은 여진의 동태가 심상찮다는 국경 경비 군관의 보고에 따라 선제공격을 결정하고, 17만 대군으로 여진 정벌을 단행한다. 尹瓘(윤관)을 上원수, 吳延寵(오연총)을 副원수로 임명했다, 예종은 친히 西京으로 가서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었다.


기사본문 이미지
윤관이 개척한 9城



윤관은 17만 대군을 몇 개 부대로 나누어 일제히 북진했다. 그 해 12월, 고려군은 웅주, 영주, 복주, 길주 등을 장악하고, 그곳에 성을 쌓았으며, 이듬해(1108)년 초에 咸州와 공험진에 城을 쌓고, 3월에는 의주, 통태, 평융 등에도 성을 쌓아 백성을 이주시켰다. 이로써 고려는 동북 지역에 9城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부원수 오연총이 吉州에 침입한 여진족에게 패했고 윤관도 적의 매복작전에 걸려 고전하기도 했다.

9城을 유지하는 일은 고려로서는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여진이 9城을 회복하기 위해 거의 매일 같이 싸움을 걸어왔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공방전이 계속되자 고려는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상황이 되었고, 이를 눈치 챈 여진은 대대적 攻勢(공세)로 고려군을 守勢(수세)에 빠트린 다음 화친을 제의해 왔다.

여진은 北界의 9城을 돌려주면 고려에 공물을 바치는 것은 물론이고 다시는 변방을 넘보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고려 조정에서는 9城의 반환파와 반대파로 갈려 논란을 거듭했다. 결국, 조정의 결론은 9城 반환이었다. 고려는 여진으로부터 대대손손 공물을 바치고 국경을 침입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뒤 1109년 7월 철수 작업에 돌입했다.

철수작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여진과의 전투에서 기습을 당해 많은 병력을 잃은 윤관과 오연총에 대한 탄핵 상소가 이어졌다. 재상 최홍사도 윤관·오연총의 패전에 대한 죄를 청했다. 이에 예종은 오연총을 일단 파면하여 反북벌파를 무마하고, 윤관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지 않는 것으로 절충했다. 그러나 이듬해 인사에서 睿宗은 윤관을 문하시중, 오연총은 중서시랑 평장사에 임명하는 등 北伐(북벌) 세력을 重用했다.

예종 10년(1115), 遼(요)의 사신이 고려에 들어와 金을 협공할 것을 요청했다. 이 해에 阿骨打는 金國을 세우고, 스스로 황제에 올랐음은 앞에서 썼다. 2년 후인 예종 12년(1117), 金國이 國書를 보내 金은 형, 고려는 아우가 되어 世世無窮(세세무궁)의 우호관계를 맺자고 청했다. 이렇게 고려는 송·거란·금의 잇단 ‘러브 콜’을 일단 거절하고 사태를 관망했다.


以夷制夷 정책의 파탄

신흥국 金이 거란을 몰아부치고 있다는 뉴스에 宋의 휘종은 짜릿한 흥분을 느꼈다. 왜냐하면 宋·거란 관계는 ‘전연의 體制’ 이래 평화를 지켜오긴 했지만, 宋으로서는 거란에 빼앗긴 燕雲 16州의 탈환은 오랜 꿈이었다.

휘종이 신임하는 환관인 童貫(동관)은 거란에 使行하기도 하여 나름으로 국제 정세에 밝은 편이었다. 거란의 국력이 종전 같지 않으며, 內訌(내홍)이 심각하며 각지에 반란도 있다는 것을 알고 燕雲 16州의 회복을 꾀하게 되었다.

童貫은 거란에 使行했다가 귀국할 때 遼의 燕京(燕京) 주민인 馬植(마식)과 알게 되어 그를 데리고 開封에 돌아와 휘종에게 推擧(추거)했다. 신흥 金과 협력, 거란을 협격한다는 것은 馬植의 헌책이었다. 휘종은 그를 신임하고 國姓인 趙씨를 하사했다. 이후 馬植은 趙良嗣(조양사)라 칭했다. 趙良嗣의 등장은 1111년의 일이었다.

以夷制夷(이이제이), 즉 오랑캐로써 오랑캐를 제압한다는 외교전략은 중국에게는 傳家(전가)의 寶刀(보도)였다.

1118년, 武義大夫 馬政이라는 자가 密使(밀사)로서 金에 파견되었다. 馬政이 海路(해로)로 金나라에 갔기 때문에 宋과 金의 밀약은 ‘海上의 盟’이라 불린다. 2년 후인 1120년 2월 趙良嗣가 金나라에 들어가 金使를 대동하여 귀국했다.

宋과 金의 동맹이 체결되었다. 그 조건은 宋이 이때까지 거란에 바쳤던 歲幣(세폐) 그대로를 金에 증정한다는 것, 挾擊(협격) 때 金은 長城을 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 후, 宋으로부터 거란의 南京(현재의 北京)은 宋이 공격하고, 西京(현재의 山西省 大同)은 金의 공격에 맡기고 싶다는 요청이 들어왔다.

宋은 군사력에 自信이 없었다. 大同은 長城 바로 以南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래 협정대로라면 金軍이 진공하지 못하는 지역이었다. 宋은 스스로가 金軍에게 長城 이남의 진격을 허락한 것이었다.

燕雲 16州의 회복은 성공할 듯했다. 그러나, 조양사가 金에 갔던 해(1120년)의 10월, 浙江(절강) 지방에서 ‘方臘(방랍)의 亂’이 일어났다. 동관이 浙江宣撫使(절강선무사)로서 거느리고 남하한 15만 명의 병력은 원래 金과의 약속에 따라 거란을 공격하기 위해 편제된 부대였다. 宋 조정에 즉각 투입할 부대가 준비되어 있었다는 것은 方臘에 대해 불행한 일이었다. 동시에 그 부대를 轉用(전용)하지 않으면 아니 되었던 宋의 불행도 심각한 것이었다.

1121년, 금은 이미 거란의 中京大定府(중경대정부: 지금의 요녕성 朝陽)를 공격하고 있는데도 宋은 아직 ‘방랍의 난’ 평정을 위해 大병력을 멀리 浙江(절강)에 투입시시킬 수밖에 없었다. 또 梁山泊(양산박)의 수령 宋江을 토벌하기 위해 병력을 나누어야만 했다. 그 사정이야 어떻든 宋은 金에 대해 동맹국으로서의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

宋이 본격적으로 거란에 대한 공격을 개시한 것은 1122년부터였다. 환관 童貫이 河北東路宣撫使로서 宋의 원정군 총사령관이 되었다. 그때 이미 金은 거란의 中京을 공격했고, 거란의 天祚帝는 雲中(운중)으로 패주했다. 金軍이 맹추격하자 거란의 天祚帝는 陰山(음산)에 숨어버렸다. 陰山은 內몽골의 초원과 外몽골의 사막을 이어주는 군사적 요충이었다. 천조제가 음산에 들어갔다는 것은 여러 北族(북족)들과의 동맹을 노린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기사본문 이미지
武川(무천)의 초원 지역


수년 전 필자는 음산산맥 중의 요새인 武川鎭(무천진)을 답사했다. 무천진은 隋·唐 황실의 발상지이다. 隋의 국성인 楊씨는 원래 鮮卑族(선비족)의 3字 複姓(복성)인 普六茹(보륙여)씨, 唐의 國姓인 李씨는 선비족의 복성인 大野씨로 자처했으며, 둘 다 선비족 국가 西魏-北周의 최고 귀족인 八柱國(팔주국) 가문 출신이었다.

수 양제와 당 고조 아연은 이종사촌간이다. 隋 왕조의 창시자 문제 楊堅의 처 獨孤씨는 北周의 重臣(중신)이며 선비족의 명문인 獨孤信(독고신)의 제4녀이다. 唐 왕조의 창시자 고조 李淵(이연)의 어머니는 獨孤信의 제9녀이다.

당초 약속에서 金은 長城線을 넘지 않기로 했지만, 宋 측에서 먼저 大同 공격을 金 측에 요청했다. 金은 장성을 넘어서 대번에 大同(현재의 山西省 북부)을 점령했다. 燕雲 16州는 대부분 金軍에 의해 점령되었다.

燕京(연경)은 燕雲 16州 가운데 가장 중요한 땅이었다. 宋軍의 공격목표는 물론 燕京이었다. 여기서 燕雲 16州의 민심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宋은 이곳을 失地로 생각했지만, 燕雲 지방에 사는 漢族은 이미 200년 가까이 遼의 지배 下에 있으면서 遼의 통치에 익숙해 있었다. 앞에서도 거론했지만, 遼는 유목민에 대한 北面官制(북면관제)와 농민에 대한 南面官制라는 二元的 정치제제를 시행했다.

더욱이 遼의 지배층은 문화적으로 漢化되어 그 정책도 漢族에 대해 반드시 가혹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유목민 쪽에 불리했다. 왜냐하면 遼는 농업 진흥에 힘써 농경지를 확대함으로써 유목민의 牧地(목지)가 좁아지고 생활도 어려워졌다. 帝國의 根幹(근간)민족인 거란족의 궁핍화는 遼 멸망의 一因이 되었다.

천조제의 도주를 알게 된 燕京의 주민들은 그 땅에 있던 遼의 황족 1인을 황제로 세웠는데, 그가 天錫황제이다. 그를 옹립했던 인물은 漢族인 李處溫(이처온)이었다.

이와 같은 국제정세 속에서도 휘종의 지도력은 대단히 부족했다. 開封에서는 강남의 奇岩珍石(기암진석)을 여기저기에 박는 人工의 萬歲山(만세산)이 만들어져 艮嶽(간악)이라고 불렀다. 이와 같은 낭비를 하지 않으면 花石綱의 필요도 없고, 公田法에 의한 착취도 없어 ‘方臘의 난’ 등 반란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결정적 시기에 휘종이 황제였다는 것이 宋왕조의 불행이었다. 특히 그의 人事는 가장 실패작이었다. 예컨대 《수호전》에서 대표적 ‘奸臣’으로 점 찍힌 高俅(고구)는 蹴鞠(축국: 폴로)의 재주가 端王(단왕) 시절 휘종의 눈에 띄어 출세하게 된 인간이었다.

<宋史>에 의하면 아첨꾼인 고구는 휘종이 즉위한 뒤 계속 측근에서 시종하면서 禁軍에 입대했는데, 20년도 못돼 절도사를 거쳐 太尉(태위: 國防相)에 올랐다(1117년 10월). 그가 北宋 멸망 6개월 전에 病死했는데, 휘종은 그에게 開府儀同三司 簡國公(개부의동삼사 간국공)에 封하면서 喪服(상복)을 입고 애도하는 한심한 작태를 보였다. 이에 靖康 원년(1126), 훗날 ‘北宋의 유일한 忠臣’이 된 李若水가 다음과 같이 상소했다.

“고구는 幸臣(행신)으로 顯位(현위)에 올라, 軍政을 무너뜨리고, 金人의 침입을 초래하였으니, 그 죄가 童貫(동관)과 같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