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사인암도(舍人巖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26.6 x 31.4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단원의 병진년화첩(丙辰年畵帖) 속에 들어 있는 산수 10폭 중에는 실경산수가 몇폭 있는데. 그중에는 도담삼봉(島潭三峯). 사인암(舍人巖). 옥순봉(玉荀峯) 등 단양(丹陽)의 절경을 그린 것이 있다. 병진년(1796년) 무렵의 단원 산수는 실경에 입각했으면서도. 실경을 넘어서 회화적인 재구성으로 관념산수(觀念山水)의 경지를 전개하였기 때문에, 이 사인암도도 실경과는 사뭇 거리가 있지만, 우람하고 장대한 병풍 같은 절벽바위의 위용을 한껏 강조하고 있다. 암준(岩皴)은 종횡으로 그은 선으로 바위 주름을 나타내고. 여기에 농담을 자유자재로 구사하여. 전후와 요철을 드러내고 또한 농담이 있는 태미점(笞米點)으로 운치를 더하고 있다. 화면 아래쪽 강면의 돌무더기와 수목들. 그리고 사인암 꼭대기의 수목 등도. 단원 산수에 나오는 정형으로. 농담을 구사하여 전후를 나타내고 있으며. 소나무 표현역시 예리하고 농묵과 담묵으로 잔가지 와 잎을 나타내어. 단원소나무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한계조수도(閑溪釣叟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26.6 x 31.4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화면 좌편 위쪽에 치우쳐 담묵으로 묘사된 절벽이. 가운데를 향해 원만한 곳선을 이루면서 물속에 바위들이 듬성듬성 보이는 냇가로 다가와 멈춘다. 시냇물은 전경에서 왼편으로 비스듬히 대각선을 이루는데. 이쪽 언덕 물가에 삿갓을 쓴 이와. 맨상투의 남자가 각각 낚싯대를 드리우고. 말을 주고 받는다. 절벽 중앙에는 발묵기법으로 암층의 일부가 크게 돌출하게 처리하면서. 역시 냇가로 흐르듯 내려오는데, 돌사이에 뿌리 박은 나무들이. 위아래로 기둥과 가지를 뻗으면서. 덩굴을 몇줄 드리우고 있다. 거의 밋밋한 절벽 자체에 비해. 아랫자락은 해삭준(解索皴)이 밀집되면서 농도를 더해 표현되고. 나뭇잎 등 여기저기에는 황갈색 담채를 썼다. 화폭 오른쪽 위의 절벽과 대칭이 되는 공간은. 자욱한 안개속에 무한히 비어 있을 뿐이다.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매작도(梅鵲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26.6 x 31.4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단원의 병진년화첩(丙辰年畵帖)에 들어있는 화조 10폭중의 하나인 이 매작도는. 단원 특유의 수목에 본홍꽃을 곁들인. 그예가 드문 춘경의 화조화 이다. 밑둥이 굵고 굴절한 매화나무가. 왼쪽으로 가지가 많이 뻗었는데. 그 오른쪽으로는 대나무 몇그루가 비껴 있어서. 화면에 안정감을 주고 있다. 굴절 하였다가 위로 뻗은 매화 줄기는. 그 윗부분에 이르러 다시 오른쪽으로 크게 휘어가다가. 거기에서 잔가지가 오른쪽과 위로 뻗어서. 좌측상단으로는 넓은 여백을 설정하고 있다. 매화나무는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향하는 비스듬한 포치이고. 주제인 까치는 매화나무 윗등걸에 세 마리가. 절묘한 포치로 앉아서 왼쪽 위의 시원한 공간을 바라보고 있는데. 한 마리가 벌써 그 공간을 날고 있어서. 균형이 잘잡혀 있는 명품이다. 전경의 배경은 은은한 담묵으로 부드럽게 처리한 반면에. 상단은 여백으로 처리하여. 무한한 공간감을 자아내는데. 거기에 매화꽃의 설채가 아주 선결하다.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기우도강도(騎牛渡江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담채
규격 : 26.6 x 31.4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화폭 전면이 가없는 잔잔한 강물인데. 가운데 큰 버드나무 한 그루가 물속에 잠기듯. 늙은 둥치를 드러내고, 오른편으로 누웠다가는 윗부분이 솟아오르고 있다. 이 나무 앞쪽에 세 그루의 작은 버드나무들이. 큰 버드나무 둥치와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자리를 잡는다. 그 뒤 물속을 한 목동이 소 등에 타고 왼편으로 유유히 강을 건너면서. 물에서 이제 막 날아가는 청둥오리 세 마리를 돌아다본다. 작은 버들과 큰 버드나무 둥치 사이 수면에. 아직 두 마리의 물오리가 헤엄치고. 전경에는 초록과 농묵으로. 아주 짧은 연속선과 점들을 찍어. 한 무더기의 수초(水草)를 잘 표현하고 있다. 나무들의 윤곽과 잔가지들 모두 농묵으로 거침없는 속필로 묘사해 가고. 버들잎들은 역시 황록으로 촘촘히 찍었다. 사람. 소. 물오리는 붓끝 세선을 썼으되, 비교적 빠르고도 간소한 선묘이고. 담청을 먹과 섞었거나 황갈색을 인물과 동물에 담채했다.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기우부신(騎牛負薪)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비단에 담채
규격 : 25.5 x 35.7 cm
소장 : 간송미술관
해설 : 檀園 金弘道는 玄齋 沈師正과 뜻을 같이하던 사대부 화가 표암(豹菴) 姜世晃의 문하에서 화도를 배워 화원으로 출사(出仕)한 화가였다. 강세황은 단원을 조선회화사상 제일의 인물로 높이 평가하고 있었는데, 특히 그의 풍속화 솜씨를 일컬어서는, “더욱 우리 동쪽나라 인물풍속을 잘하여, 선비가 공부하는 것이나, 장사치가 시장으로 치닫는 것. 규중의 여인. 농사꾼. 누에치는 여인 및 가옥의 규모와 산과 들 같으데 이르러서는. 물태형용(物態形容)을 곡진히 하여 어그러짐이 없었으니. 이는 곧 옛날에는 일찍이 없었던 것이다” 라고 극찬할 정도였다. 현존하는 그의 그림이 풍속화보다 산수화가 더 많지만. 풍속화가로서 더 유명한 것도 예나 다를바 없다 하겠다. 봄기운이 무르녹아 아지랑이가 원근 산야에 가득 피어오르면 하루해는 한없이 길고 심신은 나른하기만 하다. 그래도 그 긴긴 해를 양지쪽에서 졸고만 보낼수 없어 나무 한짐을 해 지고 풀 뜯기던 소 등에 올라타고 돌아오다 보니, 어살(漁蔱)을 매놓은 시냇가에는, 아직도 오리들이 떼지어 놀고있다. 우리 시골 어느 곳에서나 얼마 전까지 보아오던 흔한 장면이다. 나무를 소등에 싣지 않고 스스로 지고 타던 것이, 우리네 양심이었고 고통을 함께 하는 겸허한 자세였다.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낭구도(浪鷗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39.1 x 49.3 cm
소장 : 간송미술관
해설 : 김홍도는 파도에 매력을 느꼈던 모양으로, 파도를 주제로 한 비슷한 작품이 몇점 전해지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이 <낭구도>는 매우 뛰어난 작품으로. 왼편의 암초에 내려 앉아 있는 바닷새의 무리에. 흰 분채(粉彩)를 입혔을뿐. 어느 것이나 묵색이 그대로 드러나 보이는, 맑은 담청색으로 선염하고 있다. 단순한 주제이지만 단원(檀園) 김홍도의 대가로서의 관록을 유감없이 발휘한 작품이다.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만월대계회도(滿月臺契會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족자 비단에 수묵담채
규격 : 147.2 x 63.3 cm
소장 : 한국개인
해설 : 개성 송악산(松岳山) 기슭에 있는 고려 왕궁 옛터인 만월대 에서 열린 들잔치를 기념한 일종의 기록화 이다, 발문(跋文)에 의하면. 장준택(張俊宅) 등 칠순 노인 64명이 그들 자손의 주선으로 평소의 숙원을 풀어 만월대에 모여서 큰 잔치를 벌이는 장면을. 당시의 명가(名家) 金弘道에게 그리게 한 작품이다. 화면은 송악산 서쪽만 배경으로 되어있고. 들잔치는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인 회경전(會慶殿) 폐허 위에서 화려하게 펼쳐지고 있다. 그림속에 등장한 인물은 250명이 넘고, 저마다 다른 자세와 동작이 치밀한 관찰을 거쳐, 그사실적인 묘사에 정력을 기울인 자취가 역력히 드러나 있다. 이 작품은 단원 특유의 일종의 부벽준법(斧劈皴法)으 특색이 배경에 분명히 두드러져 있고. 설채도 매우 공을 들였으며. 군중이 입은 옷의 담소(淡素)한 색조까지 가려내서 그렸다.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무동(舞童)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28 x 23.5 cm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해설 : 한국 산수화에 새로운 경지를 연 단원 김홍도는. 한편으로 서민과 시정(市井)의 세속적인 일들을 다룬 풍속화를 개척하였다. 단원풍속도첩(檀園風俗圖帖)의 하나인 이 그림은, 풍악의 가락이 숨가쁘게 높아감에 따라 춤추며 돌아가는 소년의 옷자락에서 사뭇 바람이 이는 듯하고. 피리를 부는 말뚝 벙거지의 사내는 양볼이 입김으로 터질 듯 부풀었으며. 흥에 겨운 군상의 표현은 자못 열기찬 율동감을 멋지게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단원의 풍속도에는 구수하고도 익살스러운 흥겨움이 화면에 넘치고 있다. 천민으로 하대받던 대장장이. 풍각장이. 또는 마부나 머슴들의 생활에서 우러나오는 삶의 흥겨움을 해학적으로 다룬 점은 당시로는 파격적인 일이었으며. 단원의 한 걸음 앞선 사회관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씨름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화첩 종이에 수묵담채
규격 : 28 x 23.5 cm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해설 : 단원이 활약한 영.정조(英.正祖)시대는 실학(實學)사상이 크게 일어나 새로운 서민의식이 풍미하던 때로서. 이런 기류와 함께 단원의 풍속화는 서민사회의 생업과 그 생태를 해학적으로 다루어, 단원풍속도 라는 특이한 장르를 정립했다. 단원의 풍속도를 보고 있노라면 서민 사회의 구수하고도 익살스러운 흥겨움이 느껴져, 모르는 사이에 그림 속으로 빠져들고 만다. 이 씨름은 단원풍속도 중의 하나로서, 위아래 두 무리로 관중을 배치하고. 그 한가운데에 서로 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씨름꾼을 그렸으며. 왼편에는 목판을 멘 엿장수를 그렸다. 외면당한 엿장수. 벗어놓은 신발. 갓 따위가 화면의 단조로움을 덜어주며. 긴장된 분위기를 멋지게 조절하고 있다. 안간힘을 쓰는 씨름꾼의 모습과 표정. 흥을 돋구는 군중들의 구도가 자못 짜임새 있을 뿐 아니라. 흥분과 초조가 엇갈리는 가운데 서민적인 해학이 고조되고 있다.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관암도(冠巖圖) : 고산구곡도(高山九曲歌) 제1곡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병풍 종이에 담채
규격 : 60.3 x 35.2 cm
소장 : 한국개인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관암도(冠巖圖) : 고산구곡도(高山九曲歌) 제1곡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병풍 종이에 담채
규격 : 60.3 x 35.2 cm
소장 : 한국개인
해설 : 율곡(栗谷)의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중의 제1곡인 관암(冠巖)이다. 관암이란 시냇가에 있는 바위가 선비의 관모 같이 생겨 붙인 이름으로. 여기서부터 시냇물의 경치 좋은 아홉 군데 이름지으면서 상류로 거슬러올라가므로. 구곡중 가장 하류에 위치한 곳이다. 1803년경 그렸으므로 단원의 만년작이라 할수 있는데, 그가 실경을 그릴 때 쓰는 세필을 볼수 있으나, 맹추(孟秋)니 중추상한(仲秋上澣)이니 하여 7,8월에 걸쳐 여러 화가들이 서로 다른때에 그린 것을 한데 모아 표구한 것을 보면. 이미 있었던 다른 구곡도를 보고. 각자 나름대로 다시 그렸으리라 생각된다. 그림 전경에 조그만 시냇물이 있고.이쪽으로 는 다만 소나무 서너 그루와 잡나무들이 서있는 언덕이 있고, 내를 건너 바로 문제의 관암이 서 있다. 그뒤로 중경 왼편에 소나무 몇그루가 서 있는 평평한 언덕이 있어 동자를 거느린 선비가 소요하고. 아래편에서 율곡의 제자라고 생각되는 세 사람이 찾아오른다. 그 언덕뒤쪽 절벽이 오른편으로 기우뚱 솟아오르고 있는데. 가는 초묵갈필(焦墨渴筆)로 약식(略式)송림과 하엽준(荷葉皴)의 바위주름을 볼수 있다. 오른편 중경으로 질펀한 미지의 공간이 전개되면서 원경에 그릉이 몇줄기 가로 놓인다. 관암에는 한자로 바위이름이 써있고 단원의 사인암도(舍人巖圖) 같은 곳에서 볼수 있는 모난 바위준법(皴法)을 썼으며. 왼편아래 귀퉁이에 단원이 받들어 그렸다고 자서(自書)하고 있다. 글은 김조순(金祖淳)이 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