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으로 가는 길
왕세자인 장헌세자(사도세자)의 회강(會講)을 참관하기 위해 영화당으로 향하는 영조의 행차 재현 모습.
영화당(暎花堂)에 임금이 참석한 가운데 장헌세자(사도세자)의 회강(왕세자가 매달 두 번씩
서연관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그간 배운 내용을 평가받는 자리)을 재현하고 있다.
영화당(暎花堂) 앞마당인 춘당대에서는 임금이 참석한 가운데 인재 등용을 위한 과거를 실시하였다.
주합루(宙合樓)-정조가 1776년(즉위년)에 짓고 편액까지 썼다. 1층은 책을 보관하는 규장각으로
쓰이고, 2층은 열람실로 인재양성의 산실이 되었다.
왕과 신하를 물과 물고기로 비유한 어수문(魚水門)
부용지(芙蓉池)-천원지방(天圓地方) 사상에 의해서 땅을 상징하는 네모난 연못 속에 하늘을 상징하는
둥근 섬을 만들었다.
부용정(芙蓉亭)
부용정(芙蓉亭)은 +자형을 기본으로 하되 남쪽으로 양쪽에 한 칸씩 보태 다각을 이루고 있는
독특한 형태의 정자이다.
부용정(芙蓉亭)
사정기비각(四井記碑閣)-세조 때 만든 네 우물(마니, 파려, 유리, 옥정)과 관련된 기록을 새긴
금마문(金馬門)-의두합의 출입문
의두합(倚斗閤)-순조의 아들 효명세자가 세운 단청도 하지 않은 소박한 건물로 효명세자는
불로문(不老門)-하나의 돌로 깎아 세운 문으로 임금이 무병장수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애련지(愛蓮池)-1692년(숙종 18년)에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애련정(愛蓮亭)
연경당(演慶堂) 솟을대문인 장락문(長樂門)
연경당(演慶堂) 안채-연경당은 효명세자(1809~1830)가 세도정치에 시달리는 아버지 순조를
연경당 사랑채 앞의 공연
부녀자들이 드나들던 연경당 청인문
승재정(勝在亭)-반도지의 남쪽 언덕에 위치한 정자로 정면과 측면이 각 1칸씩인 익공계 사모지붕이다.
반도지(半島池)의 관람정(觀纜亭)-
평면이 부채꼴 모양으로 되어 있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형태의 정자이다.
반월지(半月池)의 존덕정(尊德亭)
존덕정(尊德亭)-보기 드문 6각형 정자이다. 굵은 기둥 6개로 본건물을 세우고 그 밖으로 귀퉁이마다
반월지의 반영
폄우사(砭愚榭)-효명세자의 사색과 휴식 공간으로 '자신을 되돌아보고 어리석음에
돌침을 놓는 정자’라는 의미이다.
취규정(聚奎亭)
취한정(翠寒亭)
소요정(消遙亭)-청의정, 태극정과 함께 인조 14년(1636)에 건립
청의정(淸漪亭)-창덕궁에 남아있는 유일한 초가지붕이다.
태극정(太極亭)
옥류천(玉流川)은 창덕궁 후원 북쪽 골짜기 깊숙이 흐르는 개울이다. 인조 14년(1636)에 커다란
소요암을 깎아 맑은 물이 바위를 돌아 폭포로 떨어지게 하였다.
숙종의 오언절구
飛流三百尺 폭포는 삼백척인데
遙落九天來 멀리 구천에서 내리네
看是白虹起 보고 있으면 흰 무지개 일고
飜成萬壑雷 골짜기마다 우뢰소리 가득하네
'관심 & 배움 > 명소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마을'오미야콘'마을 풍경 (0) | 2011.01.24 |
---|---|
중국의 10대 명소 (0) | 2011.01.22 |
다시 가고 싶은 뉴질잴드 (0) | 2011.01.22 |
中國 五大 名山 (0) | 2011.01.22 |
중국 청도 노산 (0) | 2011.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