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號)에 대해서 여러 사람이 문의를 하기에 호를 짓는 방법과 실제에 대해서 설명드립니다.
호(號)란 무엇일까요?
호(號)는 자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2종 이상의 이름을 갖고자 한 풍속(復名俗)과 본이름 부르는 것을 피하는 풍속(實名敬避俗)에 의해 허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지어진 이름이지요.
중국은 당나라 때부터 시작되어 송나라 때에는 호를 가지는 것이 보편화 되었고,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호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원효의 호는 소성거사(小性居士) 였고, 낭산(狼山) 아래에 살면서 음악에 뛰어난 재주를 보였던 음악가는 우리가 잘 아는 백결선생(百結先生)이라는 기록들이 남아 있지요.
호는 누가 지을까요?
호는 자신이 짓기도 하고 남이 지어주기도 합니다. 추사는 오재봉선생이 수집한 <<추사선생아호집>>에 의하면 호가 무려 503개나 되었다고 하고, 이규보는 호가 6개나 되지요. 호의 종류는 오늘날에는 보통 아호(雅號)와 당호(堂號)를 많이 짓지요. 아호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시나 서화를 하는 작가들이 사용하는 우아한 호라는 뜻이고, 당호는 본래 집(正堂)의 호를 말하나 그 집의 주인을 일컫게도 되어 아호와 같이 통용됩니다. 저의 경우는 당호로 무심헌(無心軒:학문과 예술의 길에서 마음을 비우고 초발심을 유지하고자 하여서 스스로 지음)과 삼도헌(三道軒:학문, 예술, 인생의 세 가지 도를 이루도록 격려하는 뜻에서 다른 분이 지어줌) 등의 몇 가지 당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호와 당호는 자신이 짓기도 하고 남이 지어주기도 합니다.
호를 짓는 기준이나 방법이 있을까요?
고려시대 이규보는 그의 <<백운거사록(白雲居士綠)>>이란 책에서 "거처하는 바를 따라서 호로 한 사람도 있고, 그가 간직한 것을 근거로 하거나, 혹은 얻은 바의 실상을 기준으로 호를 지었다"라고 말하였지요.
여기에 하나를 덧붙여 신용호라는 사람은 호를 짓는데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요.
즉 첫째, 소처이호(所處以號): 생활하고 있거나 인연이 있는 처소를 호로 삼은 것(예컨대 도곡 김태정 선생은 도곡이란 지명을 호로 삼았지요)
둘째, 소지이호(所志以號): 이루어진 뜻이나 이루고자 하는 뜻을 호로 삼는 것(예컨대 여초 김응현 선생은 항상 처음과 같은 자세로 공부에 임하겠노라고 여초(如初:처음과 같이)라고 하였지요)
셋째, 소우이호(所遇以號):자신이 처한 환경이나 여건을 호로 삼은 것(퇴계 이황 선생은 고향으로 물러나 시내를 벗하면서 공부에 전념하겠노라고 퇴계(退溪)라고 하였지요)
넷째, 소축이호(所蓄以號): 자신이 간직하고 있는 것 가운데 특히 좋아하는 것으로 호를 삼은 것이지요.
호의 글자 수는 몇자가 알맞을까요?
호는 글자수가 두 자인 경우가 가장 많고, 한자,석자, 넉자로 된경우도 있고, 그 이상의 글자수로 된 것도 있지요. 추사 김정희는 10자호를 싸용한 경우도 있는데 '향각자다처로향각노인(香閣煮茶處로香閣老人)'이 그것이지요.
아울러 한글작품에 사용되는 한글 호에 대해서도 말씀드리지요. 주시경 선생의 '한흰샘', 이병기 선생의 '가람', 최현배 선생의 '외솔' 등은 널리 알려진 한글호이지요. 서예가 가운데도 '꽃뜰 이미경 선생, 갈물 이철경 선생께서 한글호를 사용하였지요. 이병기 선생은 자신의 호를 짓게 된 경위를 그의 일기장에서 술회한 바가 있었지요. 그의 일기장에는 "가람은 강이란 우리말이니 온갖 샘물이 모여 가람이 되고 가람물이 나아가 바다물이 된다. 샘과 바다 사이에 있는 것이니 근원도 무궁하고 끝도 무궁하다. ...중략...우리말로는 가람이라하고 한자로는 임당(任堂)이라 하겠다"라고 호를 지은 연유를 밝히고 있지요.
옛사람들은 이렇게 자신이 호를 지으면 호를 짓게 된 변(辨)이나 기(記)를 짓기도 하고, 남에게 호를 지어 줄때도 그 글자의 출전이나 뜻을 밝힌 글을 주기도 하였지요. 이런 종류의 글을 호변(號辨) 혹은 호기(號記)라고 하지요.
지금까지 호를 짓는 이유와 호를 짓는 기준 등등에 대해서 소략하게 답변 드렸습니다. 마지막으로 책 몇 권을 소개 드리지요. 우리나라 역대 명인들의 호를 적어 좋은 <<호보(號譜)>>는 좋은 자료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호에 대해서 더 자세한 것을 알고자 하시는 분께서는 이두희 외 저, <<한국인명자호사전>>, 계명문화사, 1988. 강헌규 외 저, <<한국인의 자, 호 연구>>, 1990.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삼도헌 정태수(한국서예사연구소장, 서예세상 카페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