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는 3일 새벽 4시(한국시각) '우주생명체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생명체 필수 원소 중 하나인 인(P) 대신 독극물 비소(As)를 기반으로 살 수 있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나사에 따르면 펠리사 울프사이먼 우주생물학 박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동부 모노 호수의 침전물 속에서 박테리아 'GFAJ-1'을 발견, 인 대신 비소를 넣은 배양액을 기반으로 이 박테리아를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사이먼 박사와 애리조나 대학 연구진은 질량 분석을 포함한 여러 가지 연구를 통해 GFAJ-1의 단백질, 지질, 핵산, DNA 등 배양액에 포함된 비소가 인을 완전히 대체해 생체 활동에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지금까지 알려진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탄소(C), 수소(H), 질소(N), 산소(O), 인(P), 황(S) 등 이른바 '생명체 필수 6대 원소'를 기반으로 구성돼 있다.
기자회견에서 사이먼 박사는 "비소가 미생물의 인에 특히 관련돼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비소를 분리해 관찰했다"며 "그 결과 비소가 붙어 있는게 아니라 화학적 환경 형태로 있다는 점이 확인 됐다. 마치 인처럼 행동하는게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로 인해 우주 환경에서 생물체 존재 가능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비소가 인과 달리 태양계는 물론 우주 공간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는 원소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을 비롯한 태양계의 위성에서도 비소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 밝혀진 적이 있다.
앞서 나사 역시 지난달 29일 홈페이지를 통해 "외계 생명체에 대한 증거를 찾는 데 영향을 미칠 우주생물학적 발견에 대해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공지한 바 있다.
['GFAJ-1'. 사진 = 나사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