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배움/우리말 벗

잘못 사용된 우리말 사례

淸山에 2010. 12. 30. 05:06
 
 
 

 

 

 

잘못 사용된 우리말 사례  
    **아래에서 붉은 색 단어는 잘못사용된 말이고, 파란색 굵은 단어가 올바른 말입니다^^
  • 한문으로 자신의 이름을 서명하지 않은 것은; 한자로 <1992.8.26. ㅁ텔.뉴스>
    한문이란 한자(漢字)로 씌어진 글, 즉 문장을 뜻하므로 사람의 이름은 한자로 쓴다고 해야 옳다. 한자와 한문이 잘 구별되지 못하는 예로 이력서 양식의 한자로 쓰도록 된 난에 한문이라고 표시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 옛부터 전해 오는 밥상 문화를; 예부터 <1992.9.24. ㅎ텔. 탐방>
    오래 전이라는 뜻의 명사는 예이고 옛 사람, 옛 동산과 같이 관형사로 쓰일 때만 옛을 쓴다. 
     
  • 사고 많은 곳; 잦은 <1992.4.16. 도로 안내판>
    도로 안내 표지로 과거에 사고 다발 지역이라고 써 붙였던 것을 좀 친근한 말로 고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일정 기간 동안 사고 횟수가 많은 곳을 가리키므로 사고 잦은 곳이라고 써야 더 정확한 표현이 될 것이다. 
     
  • 출발 시간은 여덟 시 정각입니다; 시각 <1992.8.23. ㅌ관광 안내 방송>
    시각이라는 말을 써야 할 자리에 시간이라는 말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시간은 어느 때로부터 어느 때까지의 사이를 가리키며, 시각은 시간대 위의 한 점이라 할 수 있는 순간을 가리키므로 (4),(5)의 경우는 모두 시각이라는 말을 써야 옳다. 
     
  • 교복이 적어서 못 입는 학생들은; 작아서 <1992.11.19. ㅅ중학교 회의>
    작다와 적다, 크다와 많다가 혼동되어 쓰이는 경우이다. 
     
  • 가 박 미선이야. 우습게 생겼다. 등등으로 말해요; <1992.4.13. ㅇ신문 연예>
    저 아이의 줄임은 저 애이고, 이것을 더 줄이면 쟤가 된다. 
     
  • 맞는다고 생각하시면 동그라미, 틀리다고 생각하시면 가위표로; 가새표로 <1992.9.7. ㅎ텔. 공개 방송>
    ×표는 가위 모양이기 때문에 가위표라는 말을 흔히 쓰는데 표준말은 가새표이다. 가위는 표준말이지만, ×표는 가위표라 하지 않고 가새표를 표준말로 정하였다. 그러나 가새표를 표준말로 아는 사람은 드문 것 같다. 
     
  • 저의(희) 학교는 운동장이 좁아서; 우리 <1992.4.16. ㄱ중학교 회의>
    회사, 학교는 공공 집합체이므로 저의 회사, 저의 학교라는 말은 회사나 학교가 개인 소유물일 경우, 말하는 이가 손위의 듣는 이 앞에서 쓸 수 있다. 이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리 회사, 우리 학교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 사전 설명이 없었기 때문에 더욱 당황스러웠을 거예요; 당황했을 <1992.4.16. ㅎ텔. 극>
    명사 당황에 -스럽다를 붙여 형용사를 파생시켰는데 허용되지 않는 형태이다. 
     
  • 어둠 속을 날으는 일 역시 그만두게 되어; 나는 <소설: 갈매기의 꿈> 
     
  • 그가 서 있는 곳은 낯설은 해변이었다.; 낯선 <1992.9.30. 취급 설명서> 
     
  • 손잡이를 앞 방향으로 밀은 상태에서; <1992.9.30. 취급 설명서>
    날다, 낯설다, 밀다와 같은 단어는 학교 문법에서 불규칙 용언으로 다루지는 않으나 -는/-은과 같은 어미 앞에서 ㄹ 음운이 규칙적으로 탈락한다. 따라서 날다, 날고, 날아, 나는, 날면,…; 낯설다, 낯설고, 낯설어, 낯선, 낯설면,…; 밀다, 밀고, 밀어, 민, 미는, 밀면,… 과 같이 활용한다. 
     
  • 재현이네 들려 부모님을 만나 보았다; 들러 <1992.9.28. 상담 사례집> 
     
  • 농축된 가스를 여마셨을 때; 들이마셨을 <1992.9.25. ㅅ중학교 유인물>
    기본형은 들리다, 들여마시다가 아니라 들르다, 들이마시다이므로 들러, 들이마셨을과 같이 활용한다. 
     
  • 군것질을 삼가하고 불량 식품을 사 먹지 않는다; 삼가고 <1992.4.16. ㅅ중학교 유인물>
    삼가다라는 동사의 형태를 삼가하다로 잘못 알고 쓰는 경우가 많다. 삼가다는 삼가고, 삼가는, 삼가라, 삼가지,… 등으로 활용한다. 
     
  • 또 일거리 가지고 갈려고?; 가려고 <소설: 바람꽃은…> 
     
  • 책상 앞에 앉아 공부할려고 해도; 공부하려고 <1992.9.28. 상담 사례집> 가다, 공부하다는 가려고, 공부하려고로 활용한다. 

    ........................................
    [맨위로]
     
  • 푸짐한 음식을 운동장 주변에 벌려 놓고; 벌여
    벌이다와 벌리다를 혼동한 사례이다. 벌이다는 물건을 늘어놓다의 뜻이고, 벌리다는 두 사이를 넓게 하다의 뜻으로 팔을 벌리다처럼 쓰이므로 벌이다의 활용형인 벌여를 써야 한다. 
     
  • 롯데 아몬드 통채로 먹겠습니다; 통째, 통짜로 <1992.8.26. ㅁ텔. 광고>
    나누지 않고 덩어리 물건으로라는 뜻의 부사로는 통째, 통짜로라는 말이 표준이다. 산 채로처럼 의존 명사 채가 쓰이는 경우와 구별된다.
     
  • 출석 회원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과반수의 <1992.4.16. ㅇ친목회 규약> 
    과반수란 말에 이미 반이 넘는다는 뜻이 있으므로 뒤에 이상이란 말을 덧붙일 필요가 없다. 
     
  • 성원이 충족되었으므로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되었으므로 <1992.4.15. ㅅ텔. 코미디>
    성원(成員)이라는 말이 회의를 성립시키는 데 필요한 인원이 모였다는 뜻이므로 뒤에 충족되다라는 말을 덧붙이면 겹치기 말이 되어 어색하다. 이와 같이 필요없는 말을 덧붙임으로써 겹치기 말이 되는 경우로 (27)(29)와 같은 사례들이 있다
     
  • 참석한 연사들이 한 연사의 연설에 박수를 치고 있다; 하고 <1992.9.10. ㅈ신문 사진 설명> 
     
  • 문학 작품을 읽게 되면 감동을 느끼게 되고; 하게 되고 <1992. 중학 국어 2-1> 
     
  • 그렇게도 모진 결심을 먹고 삼년 동안이나; 결심을 하고 <소설: 김삿갓> 
     
  • 이혼 땐 부인 재산 반 줘라; 에게 <1992.6.24. ㅈ신문 표제>
    부사격 조사 -에는 모두 -에게로 고쳐야 한다. 앞에 붙은 체언이 [+사람]일 경우는 -에게를 써야 하고, [-사람]일 경우는 -에를 쓴다(엄밀히 말하면 [+동물]임). 그리고 -에는 -에게의 줄임으로 쓸 수 없다. 올바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사람] 등록금을 은행원에게 냈다.[-사람] 등록금을 은행에 냈다. 
     
  • 교장 선생님의 훈화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있으시겠습니다. <1992.9.28. ㅅ중학교 조회>
    위에서 계시겠습니다는 주어 말씀이에 대한 서술어이므로 높임의 호응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서술어 있다를 택하면 상대에게 존대하는 말로 있겠습니다가 되고, 이것을 다시 주체인 교장 선생님에 대해 간접 존대를 해 주면 있으시겠습니다로 쓰게 된다. 
     
  • 시험지 장만 더 주세요; <1992.9.16. ㅅ중학교 교실> 
     
  • 곗돈이 달치나 밀렸어요; <1992.10.8. ㅁ아파트>
    뒤따르는 단위 명사에 따라 앞에 쓰이는 수관형사의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인데, 자주 틀리는 예로 너 말, 서 돈; 넉 되, 석 자 와 같은 것들이 있다. 
     
  • 의사, 약사에게 상의하십시오; <1992.9.16. ㅎ텔. 광고 자막>
    서술어 상의하다는 서로 의논한다는 뜻이므로 앞 체언에 붙은 부사격 조사는 -와를 써야 어울린다. 만일 조사 -에게를 쓴다면 뒤에 오는 서술어로는 문의하다와 같은 동사를 써야 어울릴 것이다. 
     
  • 좋은 식단은 이렇게 실시합니다; 식단제는 <1992.9.29. 홍보 유인물>
    주어 식단은과 서술어 실시합니다의 호응 관계가 어색하다. 주어를 식단제는으로 고치든지, 주어 식단은을 살린다면 서술어로는 차립니다와 같은 동사를 취해야 자연스럽다. 
     
  • 이 종 때문에 귀가 멀었어요; 먹었어요 <1992.9.29. 영화: 노틀담의 꼽추>
    귀먹다로 써야 할 말을 눈멀다의 -멀다로 잘못 쓴 경우이다. 

    ........................................[맨위로]
     
  • 학생들에게 벌을 세우는 일이 없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벌씌우는, 벌주는 <1992.5.15. ㅅ중학교 회의>
    벌을 당하다라는 뜻의 동사는 벌쓰다이고, 이 말의 사동사는 벌씌우다이다. 
     
  • 맛있게 만들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바랍니다. <1992.10.3. ㅅ텔. 요리> 
    바라겠습니다는 텔레비전,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자들이 즐겨 쓰는 단골 말투이다. 바라겠습니다에서 -겠-이라는 형태소는 미래, 추측, 희망 등의 의미를 지닌 선어말 어미이다. 바라겠습니다는 바라다라는 낱말에 같은 의미를 지닌 -겠-을 겹쳐 썼기 때문에 부자연스럽게 들리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원하다라는 말에 -겠-을 붙여 원하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경우와 같다. 
     
  • 다음 주 교통 지도 학급은 2학년 7반이 되겠습니다; 2학년 7반입니다. <1992.6.18. ㅅ중학교 회의>
    되다라는 동사를 필요 없이 말꼬리에 덧붙이는 사례가 흔하다. 심지어는 1500원입니다. 하면 될 것을 1500원 되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 참석하지 못한 회원께도 년회비를 갹출하기로 하였습니다; 연회비 <1992.10.21. ㅇ친목회 안내문> 
     
  • ㄱ. 그림자; <1992.8.12. ㅁ텔. 가요 제목 자막> 
    ㄴ. 정든 ; <1992.10.6. ㅎ텔. 극 제목> 
     
  • 류 석우에게 박 진서의 존재가 뭐 그리 대단하길래; 유 석우 <소설: 바람꽃은…>
    년회비, 님, 류 석우 등은 맞춤법에 어긋난다. <한글 맞춤법> 제5절의 규정을 보면, 한자음 녀,뇨,뉴,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여,요,유,이로 적고(제10항), 랴,려,례,료,류,리는 야,여,예,요,유,이로(제11항), 그리고 라,래,로,뢰,루,르는 나,내,노,뇌,누,느로(제12항) 적도록 되어 있다. 님은 15세기 중세 국어에서는 님으로 적었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임으로 적는다. 사람 이름 류 석우처럼 버들 유 자 유(柳)씨들이 류로 적고 있는데 이것도 제11항에 따라 유로 적어야 할 것이다. 
     
  • 신 순여(申順女); 신 순녀 <1992.10.6. ㅎ텔. 주민등록표 화면> 
     
  • 신입생 환영회 야유회 때, 동구능으로 갔었던가?; 동구릉 <소설: 바람꽃은…>
    신 순여, 동구능은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본음대로 신 순녀, 동구릉으로 적어야 한다. 
     
  • 이를 실천하고 있아오니 고객 여러분의; 있사오니 <1992.8.27.ㅅ호텔 안내문>
    있사오니, 가겠사오니 따위는 있아오니, 가겠아오니라고 적더라도 발음이 같으니까 혼동을 일으키는 모양인데, 있사오니의 사는 낮춤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이므로 앞뒤의 음운 환경에 의해서 형태소가 바뀔 수 없다. 죽사오니를 죽아오니로 표기했을 경우를 보면, 형태소 사의 기능을 짐작할 수 있다. 
     
  • 집들이, , 백일, 개업식, 회갑 등의 행사를 치르실 수 있습니다; <1992.10.16. 광고 유인물>
    옛날 맞춤법에 주년(週年)을 나타낼 때는 돐이라고 쓰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현행 맞춤법에서는 첫돌의 줄임인 돌도 돌, 주년(週年)을 나타내는 돌도 돌이라고 표기한다. 
     
  • 일장기 새긴 셔츠, TV 방영이 말; <1992.8.4. ㅈ신문 표제>
    위는 TV 방영이 어찌 된 말이냐는 뜻이므로 웬을 써야 한다. 이것은 왜 그러느냐?의 왜에서 온 말이 아니기 때문이다. 
     
  • 지나온 자욱마다 눈물 고였다; 자국 <1992.10.11. ㅅ텔. 노래 가사 자막> 
     
  • 이제부터 치킨도 베스트 후랭크라고 불러 주십시요; 주십시오. <1992.9.22. 버스 안 광고> 
     
  • 어서 오십시요; 오십시오. <1992.8.16. ㅊ회관 출입구>................................................[맨위로]

          출처: 구법회 선생님(인천 산곡중학교)


[기타 알아둘 내용]

  • 값을 치루었다(x) 값을 치렀다
  • 거칠은(x) 거친
  • 곰곰히(x) 곰곰이
  • 껍질채 먹었다(x) 껍질째 먹었다
  • 끔찍히(x) 끔찍이
  • 가던지 오던지(x) 가든지 오든지
  • 구비구비(x) 굽이굽이
  • 금새 동나다(x) 금세 동나다
  • 객적다(x) 객쩍다
  • 까탈스럽게(x) 까탈지게
  • 꼭둑각시(x) 꼭두각시
  • 하는구료(x) 하는구려
  • 귓대기(x) 귀때기
  • 끄나불(x) 끄나풀
  • 낚지볶음(x) 낙지볶음
  • 내노라 하다(x) 내로라 하다
  • 넉넉치 않다(x) 넉넉지 않다
  • 넓다랗다(x) 널따랗다
  • 또아리(x) 똬리
  • 딱다구리(x) 딱따구리
  • 먹을껄(x) 먹을걸
  • 몇일 동안(x) 며칠 동안
  • 모자르지(x) 모자라지
  • 무릎쓰고(x) 무릅쓰고
  • 멀지 않아(x) 머지 않아
  • 무우(x)
  • 멋적다(x) 멋쩍다
  • 나의 바램(x) 나의 바람
  • 불나비(x) 부나비
  • 벌을 서다(x) 벌쓰다
  • 뻐꾹이(x) 뻐꾸기
  • 사죽을 못쓰고(x) 사족을 못쓰고
  • 삵괭이(x) 살쾡이
  • 새앙쥐(x) 생쥐
  • 시험을 치루다(x) 시험을 치르다
  • 삭월세(x) 사글세
  • 삼가하고(x) 삼가고
  • 서슴치 않고(x) 서슴지 않고
  • 등살에(x) 등쌀에
  • 어떻해(x) 어떡해
  • 에이는 듯한(x) 에는 듯한
  • 옛부터(x) 예(로)부터
  • 오랫만에(x) 오랜만에
  • 오손도손(x) 오순도순
  • 왠 일이니(x) 웬 일이니
  • 우뢰(x) 우레
  • 애닯다(x) 애달프다
  • 옳바르다(x) 올바르다
  • 익숙치 않아(x) 익숙지 않아
  • 잔듸밭(x) 잔디밭
  • 지리하다(x) 지루하다
  • 잠궜다(x) 잠갔다
  • 졸리거나(x) 졸립거나
  • 찌푸리쟎니(x) 찌푸리잖니
  • 칫과(x) 치과
  • 켸켸묵은(x) 케케묵은
  • 한갖(x) 한갓
  • 햇님(x) 해님
  • 할려고(x) 하려고
  • 힘겨웁다(x) 힘겹다

[맨위로]



국어 잘못된 표기 예  

    [참고] 국어 잘못된 표기

    잘못된 표기 -  바른 표기

    (우리의) 바램 / 바람
    가던지 오던지 / 가든지 오든지(선택은 '든')
    먹든 밥 / 먹던 밥 (과거는 '던')
    강남콩 / 강낭콩
    (자장면)곱빼기 / (자장면)곱배기
    곰곰히 / 곰곰이
    껍질채 먹었다 / 껍질째 먹었다
    금새 / 금세
    괴로와 / 괴로워
    끔찍히 / 끔찍이
    넉넉치 않다 / 넉넉지 않다
    네째 / 넷째
    멋장이 / 멋쟁이
    뒷편 / 뒤편
    머릿말 / 머리말
    미쟁이 / 미장이
    두째 / 둘째(열두째)
    아지랭이 / 아지랑이
    어떻해 / 어떡해
    실증 / 싫증
    아뭏든 / 아무튼
    설겆이 / 설거지
    우뢰(와 같은 박수) / 우레(와 같은 박수)
    웬지 / 왠지
    오랫만에 / 오랜만에
    왠 일이니 / 웬 일이니
    으례 / 으레
    저희 나라 / 우리 나라
    있슴 / 있음
    잠궜다 / 잠갔다
    햇님 / 해님
    한약을 다리다 / 한약을 달이다
    치루다 / (값을)치르다


 

 

'관심 & 배움 > 우리말 벗'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한문을 한글로 바꾸어 씁시다.  (0) 2010.12.30
이야기가 있는 고사성어  (0) 2010.12.30
[비] 에 관한 순 우리말  (0) 2010.12.30
틀리기 쉬운말 50여쌍   (0) 2010.12.30
한국어의 고저장단  (0) 201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