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유심조 [一切唯心造]
뜻 : 일체의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이 지어내는 것임을 뜻하는 불교 용어
一 : 한 일 切 : 모두 체 唯 : 오직 유 心 : 마음 심 造 : 지을 조
《화엄경(華嚴經)》의 중심 사상으로, 일체의 제법(諸法)은 그것을 인식하는 마음의 나타남이고, 존재의 본체는 오직 마음이 지어내는 것일 뿐이라는 뜻이다. 곧 일체의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에 있다는 것을 일컫는다.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80화엄경》 보살설게품(菩薩設偈品)에 다음과 같은 4구의 게송이 나온다.
"若人欲了知三世一切佛 만일 어떤 사람이 삼세 일체의 부처를 알고자 한다면,
應觀法界性 마땅히 법계의 본성을 관하라.
一切唯心造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이 지어내는 것이다."
《화엄경》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게송으로, 삼세불은 과거불·현재불·미래불을 가리킨다. 이 일체유심조의 경계는 모든 것이 마음으로 통찰해 보이는 경계로, 마음을 통해 생명이 충만함을 깨닫는 경계이다. 곧 유심은 절대 진리인 참 마음[眞如]과 중생의 마음[妄心]을 포괄하는 것으로, 일심(一心)과 같은 뜻이다.
일체유심조와 관련해 자주 인용되는 것이 신라의 고승 원효(元曉)와 관련된 얘기다. 원효는 661년(문무와 1) 의상(義湘)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올라, 당항성(唐項城:南陽)에 이르러 어느 무덤 앞에서 잠을 잤다.
잠결에 목이 말라 물을 마셨는데, 날이 새어서 깨어 보니 잠결에 마신 물이 해골에 괸 물이었음을 알고, 사물 자체에는 정(淨)도 부정(不淨)도 없고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에 달렸음을 깨달아 대오(大悟)했다는 이야기이다. 원효는 그 길로 유학을 포기하고 돌아왔다.
<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
================================================
위대한 소식 일체유심조
모든 깨달은 분들이 한결 같이 하신 법문이 일체가 마음이 만든다는 말씀입니다. 일체유심조 ... 이는 위대한 법문입니다. 사람은 무엇을 먹고 살까요? 마음을 먹고 삽니다. 지금 내가 어떤 마음을 먹고 있는가? 하는 것이 나의 삶을 결정합니다. 이는 대단히 중요합니다. 먼저 나 자신에 대해서 어떤 마음을 먹는가? 이것이 나의 인생을 결정합니다.
그동안 나는 나 자신에 대해서 무척 어두운 마음을 먹고 살았습니다. 나는 못났다. 무능하다. 부족하다. 나쁘다. 모자란다. 문제가 많다 등등의 마음을 먹고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는 삶을 살기 위해서 노력하였습니다. 나의 인생을 다른 사람이 결정하게 놓아두었습니다. 나의 가치를 다른 사람이 결정하였습니다. 이렇게 부정적이고 어두운 마음을 먹으면 삶이 어둡고 어려워집니다. 이런 나의 모습이 고정관념이 되어서 나를 비난하고 학대 합니다. 상처를 받고 고통을 느낍니다.
이제 조용히 깨어나서 다시 나 자신을 내가 결정해 봅니다. 나 자신을 최고로 마음먹어 봅니다. 영양가 있는 마음을 먹읍시다. 나는 최고이다. 나는 경이롭다. 나는 멋지고 아름답다. 나는 유일하다. 특별하다. 이렇게 마음을 먹어봅시다. 그러면 나는 나 자신이 충족됨을 느낍니다. 마음의 배가 부르게 됩니다. 힘이 생기고 당당해 집니다. 나 스스로 먹은 좋은 마음의 음식이 나를 배부르게 합니다. 그러면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보아도 나는 괜찮습니다.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이것이 건강한 사람의 모습입니다.
나라는 존재는 진흙 반죽과 같습니다. 이를 내 손으로 어떻게 만드느냐로 나의 가치가 결정됩니다. 모든 것은 고정된 실체가 없습니다. 공합니다. 소태산 대종사님은 유와 무가 구공이라 하셨습니다. 그리고 내 마음먹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것이 구족입니다. 내가 결정한 대로의 삶이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나의 삶은 내가 책임져야 합니다.
펌......정토주보...
< 네이버에서 >
==========================================================
◆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
自己(자기)가 自身(자신) 스스로를 尊重(존중)하면,
他人(타인)도 그렇게 尊重(존중)합니다.
自身(자신) 스스로의 價値(가치)를 잘 알고 貴(귀)히 여기면,
他人(타인)도 그렇게 貴(귀)히 對(대)합니다.
自己(자기) 家族(가족)에 對(대)한
配慮(배려)와, 사랑이 至極(지극)하면,
他人(타인)도 똑같이 配慮(배려)와, 사랑으로 對(대)합니다.
그처럼 自己(자기) 마음에
燦爛(찬란)한 佛性(불성)을 믿으면,
佛性(불성)은 스스로 빛을 發(발)합니다.
하여, 自己(자기)를 尊重(존중)하는 사람은,
他人(타인)도 尊重(존중)할 줄 압니다.
自己(자기)의 價値(가치)가 所重(소중)한 사람은,
他人(타인)의 價値(가치)의 所重(소중)함도 압니다.
自身(자신)의 家族(가족)을
配慮(배려)하고, 사랑하는 사람은,
他人(타인)을 그렇게 配慮(배려)하고, 사랑할 수 있습니다.
自己(자기) 마음의 佛性(불성)이 빛을 發(발)하면,
온 世間(세간)을 서로 서로 밝히는 힘이 됩니다.
또한 一切(일체) 衆生(중생)을 濟度(제도) 한다는 말은,
自己(자기) 自身(자신)을 濟度(제도)하는 일의,
또 다른 이름이어서,
自身(자신)을 濟度(제도)하는 것은,
一切(일체) 衆生(중생)을 濟度(제도)하는 것이 됩니다.
그러므로 이 한 몸, 아주 작은 몸일지언정,
無限極數(무한극수)의 生命(생명)들이,
含藏(함장)된 宇宙(우주)이고,
이 한 마음에는 本來無一物(본래무일물)이라 하지만,
永劫(영겁)의 秘密(비밀)스런 符號(부호)가
다 들어 있습니다.
하여, 스스로가 法界(법계) 性品(성품)을 보아,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를 아는 者(자)가
바로 부처입니다.
부처님이 여러 가지 衆生(중생)의 모습을 하고,
한바탕 遊戱(유희)와, 演劇(연극)의 主人公(주인공)이 되고,
助演(조연)과, 幕後(막후)의, 뒷바라지 하는 者(자)가 될지언정,
根本(근본)은 전혀 달라 지지 않습니다. 喜怒哀樂(희노애락), 愛惡慾(애오욕)의 갖가지 모습과,
扮裝(분장)과, 配役(배역)은,
觀客(관객)들을 달래고, 웃기기 爲(위)한,
作爲的(작위적)인 行動(행동)일뿐,
劇(극)이 破(파)하면,
텅 빈 舞臺(무대)와, 客席(객석)만 홀로 남습니다.
하여, 裟婆世界(사바세계)를 舞臺(무대)로,
한바탕 멋지게 살아가시기를 祈願(기원)합니다.
南無(나무) 阿彌陀佛(아미타불)
成佛(성불)하십시오.
慈光(자광) 居士(거사)
合掌(합장) 拜禮(배례)
< 네이버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