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한자(漢字)
1. 한자의 3요소
한자는 表意文字(표의문자)로, 글자가 만들어진 특성에 의하여 독립된 글 자 를 형성하고 있다
모든 글자는 모양(形). 소리(音). 뜻(義)의 세 요소를 함께 지니고 있다.
2. 육서(六書)
한자를 만드는 여섯 가지 기본 원칙을 六書라 한다.
|
象形(상형) |
- 글자의 창조 원리 |
|
指事(지사) |
육 서 |
會意(회의) |
- 글자의 결합 원리 |
形聲(형성) |
|
轉注(전주) |
- 글자의 운용 원리 |
|
假借(가차) |
가. 象形 : 눈으로 볼 수 있는 사물의 모습을 본 뜬 글자
예) 日-> 해의 모양을 본뜸 月 -> 초승달의 모습을 본뜸
日 月 山 川 火 水 雨 泉 人 身 臣 己 肉 子 女 兒 心 手 足 首 耳 目 口
力 毛 牛 馬 魚 貝 飛 虎 犬 羊 角 鳥 木 米 竹 門 高 干 車 立 石 皮 烏
曲 弓 刀 田
나. 指事 : 눈으로 볼 수 없는 추상적인 관념을 기호나 부호로써 나타낸 글자
예) 上 : 기준 위에 놓여 있는 것을 뜻함
本 : 나무의 뿌리를 가리킴
一 二 三 四 五 七 八 九 十 上 中 下 本 末 未 王
다. 會意 :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둘 이상 합쳐서 뜻을 확대시킨 글자.
같은 글자끼리 합치기도 하고 다른 글자끼리 합치기도 한다.
예) 木 + 木 = 林 火 + 火 = 炎 日 + 月 = 明
看 見 吉 困 男 東 鳴 明 伐 法 伏 信 意 初 設 加 各 間 開 改 耕 古
古 谷 坤 公 共 官 光 國 君 今 及 能 代 道 圖 同 等 兩 旅 連 禮 路
老 料 六 里 亡 無 尾 美 民 半 白 夫 婦 分
라. 形聲 :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가지고 뜻을 나타내는 부분과 소리를 나타
내는 부분으로 결합시켜 만든 글자.
예) 門 + 耳 = 聞[듣다] 水 + 可 = 河[물] 雨 + 相 = 霜[서리]
價 假 佳 脚 減 降 江 個 潔 結 決 警 輕 課 校 權 均 極 根 給 記 起
技 暖 短 但 端 談 到 獨 洞 燈 浪 冷 凉 練 例 綠 論 倫 理 晩 忙 妹
眠 妙 味 飯 防 訪 浮 扶 佛 仕 謝 惜 仙 性 城 誠 姓 聖 洗 俗 續 松
愁 授 誰 拾 時 詩 伸 神 洋 銀 依
마. 轉注 : 이미 만들어진 글자의 뜻을 확대하여 다른 뜻으로 쓰는 한자
글자마다 독립된 뜻을 가지게 하려면 한없이 많은 글자를 만들어야
하므로 전주의 운용 원리가 생김
예) 음이 변하지 않는 경우
老(로:늙다) - 老練(노련:익숙하다)
令(령: 명령) - 縣令(현령:우두머리)
음이 변하는 경우
樂(악:풍류) - 樂園(낙원:즐겁다) - 樂山(요산:좋아하다)
度(도:법도) - 度計(탁계:헤아리다)
바. 假借 :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뜻에 관계없이 소리만 빌려다 쓰며, 의성어
의태어, 외래어의 표기에 많이 쓰임
예) 佛蘭西(불란서:프랑스) 基督(기독:그리스도) 巴利(파리:Paris)
俄羅斯(아라사:러시아) 可口可樂(가구가락:코카콜라)
3.제부수 한자
一 (한일) 乙 (새을) 二 (둘이) 人 (사람인) 入 (들입)
八 (여덟팔) 刀 (칼도) 力 (힘력) 十 (열십) 又 (또우)
口 (입구) 士 (선비사) 夕 (저녁석) 大 (큰대) 女 (계집녀)
子 (아들자) 寸 (마디촌) 小 (작을소) 山 (뫼산) 工 (장인공)
己 (몸기) 干 (방패간) 弓 (활궁) 心 (마음심) 戶 (집호)
手(손수) 支 (지탱할지) 文 (글월문) 斗 (말두) 方 (모방)
日(날일) 曰 (가로왈) 月 (달월) 木 (나무목) 止 (그칠지)
比 (견줄비) 毛 (터럭모) 氏 (각시씨) 水 (물수) 火 (불화)
父 (아비부) 片 (조각편) 牛 (소우) 犬 (개견) 玉 (구슬옥)
瓦 (기와와) 甘 (달감) 生 (날생) 用 (쓸용) 田 (밭전)
白 (흰백) 皮 (가죽피) 目 (눈목) 石 (돌석) 示 (보일시)
禾 (벼화) 立 (설립) 竹 (대죽) 米 (쌀미) 羊 (양양)
老 (늙을로) 而(말이을이) 耳 (귀이) 肉 (고기육) 臣 (신하신)
自(스스로자) 至 (이를지) 舟 (배주) 色 (빛색) 血 (피혈)
行 (다닐행) 依 (옷의) 見 (볼견) 角 (뿔각) 言 (말씀언)
谷 (골곡) 豆 (콩두) 貝 (조개패) 赤 (붉을적) 足 (발족)
身 (몸신) 車 (수레거) 辛 (매울신) 辰 (별신) 邑 (고을읍)
酉 (닭유) 里 (마을리) 金 (쇠금) 長 (긴장) 門 (문문)
雨 (비우) 靑 (푸를청) 非 (아닐비) 面 (낯면) 音 (소리음)
風 (바람풍) 飛 (날비) 食 (먹을식) 首 (머리수) 香 (향기향)
馬 (말마) 骨 (뼈골) 高 (높을고) 魚 (물고기어) 鳥 (새조)
麥 (보리맥) 黃 (누를황) 黑 (검을흑) 鼻 (코비) 鹿 (사슴록)
鬼 (귀신귀) 鼎 (솥정) 鼓 (북고) 鼠 (쥐서) 齒 (이치)
齊(가지런할제) 龍 (용룡) 龜 (거북귀)
Ⅱ.한자와 한자어(성어) 및 한문
1. 한자(漢字)의 의미
'한자(漢字)'란, 뜻을 단위로 만들어진 표의 문자(表意文字)를 말한다. 따라서, 한자는 소리를 단위로 만들어진 표음 문자(表音文字)와는 달리, 한 글자가 곧 한 단위의 뜻을 반드시 나타내고 있고, 그 뜻에 해당하는 소리까지도 아울러 드러낸다.
그리고 한자는 각 글자마다 모양〔형(形)〕·소리〔음(音)〕·뜻〔의(義)〕의 3 요소를 갖추고 있다.
2. 한자어(漢字語)의 의미
'한자어(漢字語)'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한자가 결합하여, 한국어로서 사용되는 한국식 발음의 단어를 말한다. 우리 나라에 한자와 한문이 보급, 정착되어 실생활에 활용되면서 한자어라는 특수한 어휘가 생기게 되었다. 한자어는 지적(知的)인 개념어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조어력(造語力)이 뛰어나서 그 필요에 따라 계속 증가되었기 때문에 오늘날 한자어가 한국어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참고로 한국어 어휘 속에 얼마나 많은 한자어가 있는지 한글 학회『큰사전』에서 살펴보면 표준어의 경우로 볼 때, 수록된 항목 140,464 항목 중 순수 국어가 56,115 항목(40.0 %), 한자어가 81,362 항목(57.9 %), 외래어가 2,987 항목(2.1 %)이 수록되어 있다.
3.성어(成語)의 의미
한자(漢字)가 모여 말을 이룬 성어(成語)는 한자(漢字)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표의(表意; 각 글자마다 의미를 지닌 특징) 문자의 개념을 그대로 살려 우리의 언어생활에서 과거는 물론 현재까지 무한(無限)하게 사용되고 있는 우리의 생활 진실 자체라 할 수 있습니다. 한자 성어의 종류로는 오랜 세월에 걸쳐 생활 속에 굳어진 전래적(傳來的) 성어와 현대의 언어 생활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현대적(現代的) 성어가 다.
4.한문(漢文)의 의미
한문(漢文)은 한문장(漢文章)을 말한다. 즉 한자로 쓰여진 문장으로써, '문장'이란, 하나의 완결된 생각을 나타낸 언어 단위를 말한다. 문장은 일반적으로 주부(主部)와 술부(述部)로 이루어진다. 주부를 이루는 성분이 주어이고, 술부를 이루는 성분에는 서술어, 목적어, 보어가 있다. 이들 성분을 주성분(主成分)이라 한다. 주성분에 덧붙어 이를 수식하거나 한정하는 관형어, 부사어를 부속 성분(附屬成分)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