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開戰 나흘만에 파병… 확실히 옳은 결정이었다"[停戰 60年]

淸山에 2013. 7. 27. 04:56

 

 

 

 

[停戰 60年] "開戰 나흘만에 파병… 확실히 옳은 결정이었다"

  • 김진명 기자   
  •  

     

     

     

    ["Freedom is not free (자유는 공짜가 아니다)"]

    6·25 참전국인 뉴질랜드 존 키 총리 인터뷰

    "60년간 한국의 발전 감동적"… 6000명 파병, 45명 전사
    참전용사 30여명 함께 訪韓 "공헌에 합당한 예우 위한 것"


     
     

    
	존 키 뉴질랜드 총리.

    존 키 뉴질랜드 총리.   

     /이명원 기자  


    "현재의 한국을 봤을 때, 뉴질랜드가 6·25전쟁 발발 직후 한국을 돕기 위해 파병했던 것은 절대적으로 옳은 결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존 키(Key·52·사진) 뉴질랜드 총리는 26일 "지난 60년간 대한민국의 발전은 그야말로 감동적이었다"면서 말했다. 그는 "현재 한반도의 절반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이 살고 있고, 나머지 절반엔 가장 가난한 사람들이 살고 있다"며 "자유 민주주의와 올바른 정책이 성공한 국가를 만드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했다. 27일 열릴 정전협정 6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25~29일 4박 5일 일정으로 한국을 찾은 키 총리는 이날 박근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서울 용산구 동빙고동 뉴질랜드대사관저에서 본지 인터뷰에 응했다.

     

    한국과 뉴질랜드는 1962년 수교했다. 1950년 6·25전쟁이 발발했을 때 뉴질랜드 사람들에게 한국은 너무나도 낯선 나라였다. 하지만 유엔안보리가 대한민국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자, 뉴질랜드 정부는 개전 나흘 만인 1950년 6월 29일 북섬의 오클랜드(Auckland)항에서 파병 장병을 태운 소형 구축함 2대를 출발시켰다.

     

    "어떻게 그렇게 즉각 파병을 결정할 수 있었느냐"고 묻자, 키 총리는 "뉴질랜드는 오랜 유엔 회원국으로, 항상 자유와 같이 우리 국민이 믿는 가치들이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애써왔다"며 "당시 뉴질랜드 국민은 실질적이고 즉각적인 위협에 직면한 한국인들을 외면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질랜드는 한국에 총 6000명을 파병했고 그중 45명이 사망했다.


      
    
	1951년 2월 5일 한반도 서부 지역에서 전쟁을 피해 남쪽으로 가는 자매의 모습(왼쪽 큰 사진). 사진기자 버트 애시워스는 사진 뒷면에“이‘작은 나그네’들은 피란처를 찾아 이 땅을 헤매는 수많은 사람 중 일부일 뿐이었다”고 썼다. 경기도 수원 화성에 걸린 유엔군 환영 현수막(오른쪽 위 사진)과 1953년 6월 어느 피란민 움막촌의 모습(오른쪽 아래 사진),‘ 전쟁포로’명찰을 목에 걸고 있는 젊은이(오른쪽 아래 작은 사진).

    1951년 2월 5일 한반도 서부 지역에서 전쟁을 피해 남쪽으로 가는 자매의 모습(왼쪽 큰 사진).

    사진기자 버트 애시워스는 사진 뒷면에“이‘작은 나그네’들은 피란처를 찾아 이 땅을 헤매는 수많은 사람 중 일부일 뿐이었다”고 썼다. 경기도 수원 화성에 걸린 유엔군 환영 현수막(오른쪽 위 사진)과 1953년 6월 어느 피란민 움막촌의 모습(오른쪽 아래 사진),‘ 전쟁포로’명찰을 목에 걸고 있는 젊은이(오른쪽 아래 작은 사진).   

     1951년 2월 5일 한반도 서부 지역에서 전쟁을 피해 남쪽으로 가는 자매의 모습(왼쪽 큰 사진). 사진기자 버트 애시워스는 사진 뒷면에“이‘작은 나그네’들은 피란처를 찾아 이 땅을 헤매는 수많은 사람 중 일부일 뿐이었다”고 썼다. 경기도 수원 화성에 걸린 유엔군 환영 현수막(오른쪽 위 사진)과 1953년 6월 어느 피란민 움막촌의 모습(가운데 아래 사진),‘ 전쟁포로’명찰을 목에 걸고 있는 젊은이(오른쪽 아래 작은 사진). 유엔군 종군 사진기자들이 촬영한 사진들이다. /정성길 계명대 동산의료원 명예박물관장 제공, 눈빛출판사 제공. 

     

    이날 아침 일찍 서울 동작구 사당동의 국립서울현충원에 분향한 키 총리는 "이번 방한 기간 동안 비무장지대(DMZ)와 부산 유엔군 묘지도 찾을 예정"이라며 "여기서 싸웠던 분들, 특히 사망자 45명의 희생을 기리고 싶다"고 했다.

     

    "한국 보훈처는 이번 기념식에 뉴질랜드 참전용사 4명만 초청했는데 뉴질랜드 정부 부담으로 참전용사 30명을 더 모시고 온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키 총리는 "60년 전 한국에 왔던 용감한 분들의 공헌에 합당한 예우를 하기 위해"라고 말했다.

     

    키 총리는 "박 대통령이 대북 원칙을 잘 세웠다"며 "시간이 걸리겠지만 지금처럼 노력하면 언젠가 북핵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또 "만약 한국이 통일된다면 뉴질랜드도 북한 재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한국과 뉴질랜드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재개해야 한다"면서 "뉴질랜드의 농업은 강하지만 쌀처럼 한국에 핵심적인 농산물은 생산하지 않고 있다. 서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생각해 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