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事]
북한군 특수부대 비화(秘話) 9.11테러, 김정일·조명록이 발상한 전술(戰術)에 기초 金泌材
북한은 17~18세의 남학생들을 군사동원부(병무청)에서 성분, 신체조건, 가정환경에 따라 특수부대로 선발한다.
교육내용은 우선 일상적인 정치사상교육 즉 당과 김정일을 위해서는 자신의 육신을 초개와 같이 버릴 수 있다는 사고의식을 심어준다. 이들 특수부대원은 다른 병종의 신병보다 신병훈련 기간이 4배나 길어 일 년 정도 된다. 특히 이들은 무술로 단련돼 맨손으로도 적군 몇 명쯤은 동시에 상대할 수 있으며, 저격(狙擊)소총을 가지면 15초 이내에 2백 미터 내에서 움직이는 표적 몇 개를 쓰러뜨릴 수 있다고 한다. 북한군 특수부대 18만 명, 세계최대 전력 보유 북한군 특수부대는 美해군 특수부대인 ‘씰’(SEAL)과 맞먹는 최정예 살상력을 갖췄지만, 작은 도시 하나를 이룰 수 있을 만큼 그 수도 엄청나다. 특히 북한은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특수부대를 최근 12만 명에서 18만 명으로 늘렸다. (숫자상으로 세계 최대 규모)
美정보당국은 또 북한군 특수부대는 유사시 소형 잠수정과 고속 보트, 약 20개의 지하터널, 레이더에 잘 안 잡히는 저고도 침투기인 AN-2등을 이용, 육상·해상·공중으로 대거 침투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01년 4월 美국무성이 발행한 보고서 <국제테러리즘의 양상 1999>에는 북한이 알 카에다 등 국제 테러조직과 유대관계를 유지해 왔다고 밝힌 바 있다. 복수의 정보에 의하면 오사마 빈 라덴은 이미 20대에 북한의 테러 교관으로부터 훈련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사시 舊式 미그 전투기로 對南 주요 목표물 겨냥 '自爆' 이 때문에 빈 라덴의 테러 기법과 북한의 그것은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실제로 북한은 과거 70년대 북한 공군의 주력 기종이었던 미그 15기 등 노후 전투기 1백 40여대를 대남 주요 목표물에 돌진시키는 ‘가미가제식’ 자살결사대를 지난 98년 창설했다. 이 부대는 98년 8월말 김정일 직속으로, 공군사령관 출신인 조명록(2010년 사망)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차수)이 직접 진두지휘 했었으며, 원산과 해주 등 휴전선과 인접한 지하공군기지에서 훈련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38항공육전여단의 경우 여자들로만 구성된 자살특공대가 있다. 이 부대는 군사퍼레이드 등 공식행사에 대비해 창설되었으나 일단 전쟁이 발발하면 폭탄을 안고 주요 시설물을 파괴하는 ‘인간폭탄’임무를 맡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총상으로 쏟아진 ‘창자’ 손으로 밀어 넣고 北으로 도주” 따라서 2001년 발생한 9.11 테러는 김정일과 조명록이 발상한 전술에 기초한 것으로, 북한의 테러 교육 과정에 따른 실습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日 월간지 정론, 2002년 3월호) 북한의 특수부대는 평화 시에도 위협이 되고 있다. 몇 번에 걸친 그들의 공격 중 가장 대담했던 것은 1968년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31명의 특공대가 남파됐던 이른바 1·21청와대 습격사건이다.
그들 중 28명은 청와대 근처에서 교전 중 사망했고, 한명은 생포됐으며, 둘은 부상을 입고 가까스로 북한으로 돌아갔다.
일본의 군사전문 언론인인 에야 오사무(惠谷治)씨는 “한 명은 총상으로 창자가 배 밖으로 쏟아져 나왔지만 창자를 다시 밀어 넣고 손으로 막은 채 북한까지 돌아갔다”고 말했다. 경보교도지국장 임태영 前 인민군 중장 27번이나 남파 북한군 특수부대원들의 ‘담력 훈련’중 하나는 비무장지대(DMZ)를 넘어 남쪽에 다녀왔다는 증거물을 한 가지씩 가지고 돌아오는 것이다. 그리고 임무에 실패했을 경우엔 그 자리에서 자살하도록 훈련받는다. 북한군 특수부대 출신의 탈북민 최승찬 씨는 “경보교도지국장이던 임태영 중장은 남한에 무려 27번이나 침투, ‘공화국 영웅’ 칭호를 두 차례나 받아 대남공작의 교과서라고 불린다”고 밝혔다.
최 씨에 따르면 “특수부대는 ‘남조선혁명 총사령관’ 김정일을 위한 총폭탄의 뇌관으로 특별대우를 받는다”며 “그들의 ‘독기와 적대감’은 가히 세계 최고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필재/spooner1@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