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ache.daylife.com/imageserve/04qqfRAeNi9b6/340x.jpg)
알프레드 브렌델,Alfred Brendel (January 5, 1931 - )
오스트리아 태생의 피아니스트.
금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하나로 꼽혔던 알프레드 브렌델(78).
“올해를 마지막으로 연주활동을 접겠다”고 이미 선언했던 브렌델이 생애 마지막 연주를 펼쳤다.
지난 1년 동안 미국·영국·독일 등에서 고별 순회 연주를 한 그는
2008년 12월18일 저녁 오스트리아 빈의 무지크페라인 홀에서 60여년 동안 그가 줄곧 견지했던
'사색의 연주'를 접었다.
.Beethoven - 5 Piano Concertos / Brendel, Rattle, Vienna Po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Sir Simon Rattle, Conductor,
Alfred Brendel, Piano
![](http://cover6.cduniverse.com/MuzeAudioArt/Large/04/316904.jpg)
그가 이날 빈 필하모닉(지휘 찰스 매커라스)과 함께 이틀 연속 연주한 곡목은
모차르트의 <협주곡 9번. ‘Jeunehomme(젊은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작품이다.
건강 이상도,부상도 아닌 “때가 됐다”며 떠나는 피아니스트의 은유적인 선곡이었다.
20세기 후반의 피아노 음악을 이끌어온 거장,알프레드 브렌델.
언제나 신뢰할 수 있었던 브렌델의 진지한 피아니즘이 마침내 ‘과거’라는 시간 속으로 떠났다.
알프레드 브렌델은 학구적이고 진지한 음악가이며 작품 해석의 권위자로 현존하는
피아니스트중 작품의 의도를 가장 잘 파악한다고 알려진 피아니스트이다.
60이 넘긴 나이에 새롭게 도전하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사이클의 3번째 전곡 연주와 녹음에 성공하였고,
피아노계에서 가장 관심의 촛점이되는 세계 최고의 피아니스트가 알프레드 브렌델이다.
브렌델이야말로 20세기의 피아니스트들 가운데서 가장 특이한 존재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유난히 개성이 강하고,신경질적이고,까다로워서 그렇다는 얘기가 아니고 오히려 그 반대라서 그렇다.
그는 언제 그렇게 되었는지도 모르게 소리 소문 없이 조용히 20세기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의 자리까지 올라와 있는 것이다.
하지만 누구도 그를 무시하지 못한다.
그는 어떻게 보면 공기와 같이 원래부터 ‘그저 그냥 있는’ 존재같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다른 연주가들의 떠들썩함에 비한다면 말이다.
그의 연주도 그렇다.
다른 연주가들처럼 자신의 개성을 담아내기 위해 노력한 흔적은 조금도 보이지 않는다.
어떻게 보면 무색,무미,무취의 연주라 할 수 있다.
다른 요소들을 다 배제하고 ‘남은 것은 그저 음악’인 셈이다.
무엇이 그의 연주를 그렇게 인식하도록 만드는 것일까?
그는 작품의 전체적인 구도를 읽어내는 탁월한 혜안을 가졌다.
따라서 다른 요소들을 많이 집어넣지 않고도 그저 구도를 잡아나가는 것에
의해서만 작품의 의미를 청중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표현해 내는 슈베르트와 베토벤은 다른 그 누구의 연주보다 강한 설득력을 지니게 된다.
그렇다고 그가 전혀 노력 없이 직관에 의해서만 그렇게 된 ‘신적인 천재’라는 얘기는 아니다.
브렌델 자신이 고백하길 자신은 절대로 신동이 아니었다 한다.
알프레드 브렌델은 1931년 1월 5일,모라비아(Moravia,
오늘 날의 체코 공화국)의 비젠베르크(Vizmberk)에서 태어났다.
브렌델이 3살 때에 가족들은 유고슬라비아로 이주하였고,
그곳에서 브렌델은 처음으로 축음기를 통하여 음악을 접했다.
이미 6살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한 그는 유고의 대표적인 음악교육기관인
자그레브 음악원을 거쳐 오스트리아의 그라츠 음악원에서 정식으로
피아노를 비롯하여 작곡,지휘를 수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