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의 암행어사 보고서 친필본 발견
연합뉴스
김규선 선문대 교수 발굴 공개
추사 김정희가 1826년 암행어사에 임명돼 활동한 내용을 정리해 조정에 제출한 보고서 친필본.
이에서 추사는 정자체인 해서체를 사용했다.
연합뉴스
조선 후기 금석학과 서예를 대표하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암행어사로 활동하면서 조정에 제출한 보고서 친필본이 발굴됐다.
추사학 연구자인 김규선 선문대 교양대학 교수는 최근 발간된 학술지 ’한민족문화연구’ 제38집에 기고한 ’새로 발굴된 추사 김정희 암행보고서’라는 논문에서 고서점을 통해 입수한 이 보고서를 해제하는 한편, 그 전문을 영인해 소개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이 자료는 김정희가 41세 때인 1826년(순조 26) 2월20일 충청우도 암행어사에 임명된 직후 110여 일 동안 충청우도와 경기도 일부를 암행하며 해당 고을 수령의 공과를 적어 같은 해 6월25일 조정에 올린 친필 보고서다.
이 보고서는 전 2책으로, 제1책은 16장(28쪽), 제2책은 11장(22면)이며 1쪽당 9행, 1행당 24자 분량으로 내용을 수록했다.
이 보고서는 조선왕조 공식 기록 중 하나인 ’일성록’에는 내용 전반이 수록돼 있긴 하지만 일부 표현에 차이가 보이는가 하면 기술 순서도 약간 다르고, 특히 보고서 서문 격인 서계(書啓)는 완전히 새로운 것이라고 김 교수는 덧붙였다.
서계에서 김정희는 “읍내와 저자의 중요한 곳과 산골짜기와 도서지방 외진 곳까지 두루 찾아 특별히 내용을 수사하고 감찰한 결과 관리들의 선정 여부와 백성의 고락 등을 직접 보고 들은 것을 토대로 하되, 반드시 충분히 정확함을 기하고 나서야…삼가 보고드립니다”라고 말했다.
문서 분석 결과 김정희가 암행 결과를 정리해 보고한 관리는 감사 1명, 목사 1명, 군수 9명, 판관 3명, 현령 1명, 현감 24명, 병사 1명, 수사 3명, 중군 2명, 영장 2명, 첨사 5명, 병우후 1명, 수우후 1명, 만호 1명, 찰방 4명 등 도합 59명으로 드러났다.
김 교수는 “보고서를 보면 선정을 펼친 관리에 대해서는 비교적 단순하고 명쾌한 짧은 문장을 구사한 반면, 문제가 많은 관리는 긴 문장으로 실례를 들어 구체적인 문제들을 적시했으니 암행어사로서 엄격한 감찰을 시행했음을 짐작게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보고서는 두 가지 점에서 의의가 있다”면서 “하나는 추사가 암행어사로 임명된 시점을 그간 1826년 6월25일로 봤지만 이는 암행어사 활동 보고서를 제출한 시점으로, 정확히는 2월20일임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조정에 올리는 공식보고서에 나타난 추사체의 새로운 면모를 엿볼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조정 제출용 보고서인 까닭에 추사는 이에서 정자체인 해서체를 썼다.
또 다른 추사학 연구자 김영복 문우서림 대표는 “추사의 작품 중 해서체는 희귀하다는 점에서 우선 이 자료를 의미가 자못 크다”면서 “더불어 지금까지는 간접적으로 알던 추사의 암행어사 활동 보고서를 생생해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번 자료 발굴은 추사의 구체적인 활동을 알려주는 데 긴요하다”고 평가했다.
| |